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V 화면 디자인 요소의 형태 따른 시청자 채널 재점유율 차이

        서유진(You-Jin Seo),이주환(Ju-Hwan Lee)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방송은 시간성을 동반하는 경험재이고 한 번 흘러간 시간은 돌이킬 수 없기 때문에 제한된 방송 시간에 최대한 많은 수익을 내고 싶어 한다. 이에 버그는 시청자들을 채널의 정보를 얻고 다른 채널 시청 후에도 손쉽게 이전 채널로 돌아가는 채구매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버그는 시청자에게 가장 근접해 있는 디자인 형태인만큼 네트워크 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한 시점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버그의 형태중에서, 위치(상하좌우), 크기, 색, 움직임의 차이가 시청자들의 채널 재점유(구매)율에 어떠한 관계를 미치는지 측정 평가하였다. 그 결과, 스포츠채널의 경우, (가설)우상단 채널 로고 아래, 채널 로고 크기, 채널 로고색, 움직임이 있을 때 시청자들에게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broadcasting company wants to earn as much profit as possible in the limited broadcast time because it is time to experience the time-consuming experience. This can be seen as having the audience pick up the viewer`s information and increase the rate of return to the previous channel easily after the other channel viewing. It is clear that Bug is the most important moment in the network design, as it is the most prominent design form for viewers.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in location (i.e., vertical), size, color, and motion of a competitor was measured to mea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er`s reposition rate (purchase) ratios of the viewer.

      • KCI등재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중재연구 분석: 질적지표와 증거기반 중재 기준을 중심으로

        서유진 ( You Jin Seo ),나경은 ( Kyong Eun Na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주요 교과영역 중재연구에서 제공된 중재의 특성과 효과크기를 살펴보고, Gersten 외(2005)와 Horner 외(2005)의 질적지표를 기준으로 각 중재연구의 질을 평가하여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영역별 증거기반 중재가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첫째,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총 27편의 국어, 수학, 사회, 과학 교과 중재연구의 특성과 효과크기 분석결과, 국어교과는 읽기와 유창성 영역에서, 수학교과는 연산과 문장제 문제풀이 영역에서 인지과정 전략에 관련된 중재를 제공한 연구가 많았다. 또한, 1편을 제외한 모든 연구에서 중재의 효과성을 입증하는 결과를 제시하였으나, 단일대상연구의 경우, 기초선 기간에서 자료점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낮은 효과크기를 보인 연구가 많았다. 둘째, 질적지표 충족도 평가결과, 증거기반 실제의 기준을 만족하는 연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지적장애 학생의 주요 교과영역별 학업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증거기반 중재를 선정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기술, 실험효과와 결과 제시의 질적지표를 충족하는 연구는 많은 편으로 나타나, 앞으로 중재제공자와 측정도구 정보제시, 중재 충실도 측정, 중재의 사회적 타당도와 일반화 측정의 질적지표를 고려한 중재연구가 좀 더 활발히 수행된다면, 지적장애 학생에게 일반교육과정에 기초한 교과교육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증거기반 중재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 sizes of intervention studies in main subject area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valuated the quality of the studies based on the quality indicators of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provided by Gestern et al.(2005) and Horner et al.(2005) to identify the evidence-based intervention for the improvement of academic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main subject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s: Firs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 sizes of a total of 27 intervention studies, intervention studies for reading and fluency skills in the area of Korean literature, and intervention studies for arithmetic and word problem-solving skills in the area of mathematics were frequently provided focusing on cognitive processing strategies. All intervention studies, except for one, demonstrated the positive findings, but many single subject design studies showed low-level effect sizes due to the inconsistent data points during the baseline periods. Second,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intervention studies, no study was met with the criteria of evidence-based practice. Therefore, the evidence-based interventions for the improvement of academic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main subject areas were not able to be identified. However, several quality indicators, for example, description of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nd demonstration of intervention effects and results were sufficiently provided in the many studies, so that if the studies carefully consider the quality indicators, such as provision of information on intervention provider, measure of intervention fidelity, provision of information on measure, and measure of social validity and generalization, the evidence-based interventions for the improvement of academic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main subject areas are successfully identified.

      • KCI등재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교사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 인식 수준과 요구도 분석

        서유진 ( You Jin Seo ),남숙경 ( Suk Kyung Na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3

        통합교육을 제공받는 장애학생 수가 증가됨에 따라 장애학생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상담 제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학생 상담을 위한 교사의 역할을 총 6개의 영역, 36개의 세부역할로 분류하고, 초등학교 통합교사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장애학생 상담을 위한 교사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의 인식수준을 살펴보았다. 또한 Borich의 요구도 공식으로 교사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 간 인식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총 6개영역에 포함된 36개 세부역할의 역할 필요도 인식 수준은 수행역량 인식 수준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고, 36개의 세부역할 중 32개 세부역할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 간 인식 수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p<.05이상)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각 영역별로 ``집단 따돌림, 성폭력, 알코올, 약물, 학업중단 등의 문제예방과 해결을 위한 상담``, ``장애학생 평가와 심리검사 실시와 해석``, ``장애학생의 (조)부모를 위한 상담``,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상담’,‘자기옹호 기술, 독립성 습득을 위한 상담``의 역할은 요구도 순위가 높게 나타나 교사의 수행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이 가장 많이 요구되는 역할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통합교사의 장애학생 상담수행 능력을 계발하고, 장애학생 상담 활성화를 통해 성공적인 장애학생의 사회적 통합을 이루기 위한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As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have increase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counseling for those students for social inclusion has been emphasized.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teacher``s roles for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6 areas and 32 specific roles, and surveyed with 168 element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educ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perceptions of the require- and present- performance levels of school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so, the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require- and presentperformance levels by using the need assessment formula. The results indicated that for all of the 36 roles, the teachers`` perceptions of require-performance levels were higher than present-performance levels and for 32 out of the 36 rol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require- and present- performance leve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or more). Also, the levels of need assessment regarding counseling for bullying, alcohol, drug, and drop-out, implementing assessment for disabilities and psychological problems, counseling for (grand)parents and siblings, counseling for problem-solving, counseling for self-advocacy and independence were pretty high in each area for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a variety of ways to improve teacher``s competency of providing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moreover, successful social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장애학생 대상 국내 수학 중재연구의 특징 및 질적수준 분석

        서유진 ( Seo You-ji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0년 12월까지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수학중재를 제공한 국내 학술연구를 수집하고, 연구의 특성과 질적수준을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방법: 국내 특수교육 분야에서 발표된 총 73편의 수학 중재연구가 선정되었고, 6개의 연구특징 분석기준과 CEC 질적지표에 따라 연구의 특징과 질적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약 20년 동안 46편의 단일대상연구, 20편의 준집단연구, 7편의 사례연구를 통한 수학중재가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제공되었고, 그 중 약 50% 이상이 초등학교 지적장애 또는 학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제공된 중재였다. 둘째, 수학중재는 인지활용 전략(41%)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고, 수학영역은 수와 연산(95%) 영역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편의 단일대상연구와 2편의 준집단연구를 제외한 모든 연구에서 중재의 효과가 입증되었고, 대부분 중재의 효과크기는 큰 것으로 측정되었다. 넷째, CEC 질적지표에 따른 연구의 질적수준 분석결과 단일대상연구는 총평가점수 44점을 기준으로 26-30점으로 평가된 연구(38%)가, 준집단연구는 총평가점수 48점을 기준으로 21-25점으로 평가된 연구(66%)가 가장 많이 나타나 질적수준이 중간정도인 연구가 많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논의점과 후속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mathematics intervention stud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and quality level, using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December of 2020. Method: A total of 73 mathematics intervention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6 research-analysis criteria and CEC quality indicators.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46 single-subject studies, 20 quasi-experimental group studies, and 7 case studies were identified, and more than 50%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or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41% of the mathematics interventions were related to cognitive strategy and 95% of the mathematical domains were related to number and calculation. Third, all of the studies except for 2 single-subject studies and 2 quasi-experimental group studies demonstrated their intervention effects with high levels of effect sizes. Fourth, with CEC quality indicators, 38% of the single-subject studies were given scores of 26 to 30 out of a total score of 44, and 66% of the quasi-experimental group studies were given scores of 21 to 25 out of a total score of 48.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 and research direction for future mathematics intervention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중재반응 모델 실행을 위한 초등수학 중재연구의 실제 분석

        서유진 ( You Jin Seo ),이주영 ( Joo Young Lee ),문주영 ( Ju Yeong Moon ),손승현 ( Seung Hyun S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수학중재 연구논문 총 55편을 선정하고, 논문분석을 통해 각 논문에서 제시된 중재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각 중재의 중재제공 특성과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또한 수학 중재반응 모델의 3단계 중재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크기가 높은 중재와 중재제공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중재제공의 주요특성, 즉, 연구 대상자, 중재강도, 중재제공 집단구성 형태를 각각 3단계로 나누고, 이를 기준으로 중재들을 분류하여 중재의 각 단계별 평균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첫째,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수학중재의 종류는 총 17개로 나타났고, 각 중재의 해당 연구논문 수는 대부분 5편 미만이었다. 중재는 준집단 설계연구로 대그룹 중재를 통해, 학급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칙연산 영역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해 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둘째, 3단계 중재분류와 평균 효과크기 분석 결과, 17개의 중재 중 특히 소집단·또래협동학습, 인지·메타인지전략, 직접교수법, 구체물·표상기반 중재가 연구 대상자, 중재강도, 중재시간, 중재제공 집단구성 형태에 관계없이 효과크기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차후 연구에 대한 제안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55 intervention studies in mathematics for elementary students and analyzed the intervention implementation features and effect sizes.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vention effects based on three-level intervention implementation features, such as, intervention participants, duration of intervention, grouping in order to identify the evidence-based practices for Response-To-Intervention(RTI) implem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the follows: First, there were a total of 17 types of mathematics interventions for elementary students. In general, less than five intervention studies were available for each type of mathematics interventions. Most of the mathematics interventions were used quasi-experimental design and provided intervention in large group, teaching computation skills for all students in the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Second, among the 17 types of mathematics interventions, small-group group·cooperative cooperative interventions, cognitive ·meta-cognitive meta-interventions, Direct Instruction, and concrete concrete·representation representation intervention were effective across the different participants, intensity, or the type of intervention.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영유아 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선별을 위한 BITSEA(Brief InfantㅡToddler Social Emotional Assessment)의 타당도 검증 예비연구

        서유진 ( You-jin Seo ),이경숙 ( Kyung-sook Lee ),김용훈 ( Yong-hun K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21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영유아의 사회, 정서적 행동 문제를 선별하는 도구인 간편 영유아 사회정서 평가척도(BITSEA)가 영유아의 자폐스펙트럼장애(ASD)의 특성을 조기 선별하는 도구로 유용한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ASD 집단 50명과 일반집단 100명 총 150명으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정을 진행하였다. 측정 도구는 간편 영유아 사회정서 평가척도(BITSEA) 중 ASD-하위척도(BITSEA-ASD 문제, BITSEA-ASD 유능성), 아동기 자폐 평정척도, 한국판 영유아 자폐 선별검사, 멀런 초기학습기능 척도, 부모 작성형 유아 모니터링체계, 유아 행동평가척도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BITSEA-ASD 하위척도에서 ASD 집단과 일반집단의 영역별 차이 검정에서 ASD 집단이 일반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공인타당도 검정 결과 CBCL1.5-5와 BITSEA-ASD 하위척도 비교에서 CBCL1.5-5의 문제행동 총점이 .81, 내재화가 .81, 외현화가 .81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p<.01) . M-CHAT 와 BITSEA-ASD 하위척도와의 상관은 .451, CARS와 BITSEA 하위척도와의 상관은 .587로 비교적 양호한 상관을 보였다(p< .01) . 본연구결과 BITSEA-ASD 하위척도가 ASD 영유아를 조기 선별할 수 있는 검사 도구로써 활용 가능성이 예비적 수준에서 검정 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usefulness of the Brief Infant-Toddler Social and Emotional Assessment, a screening instrument for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as an early screening tool for the characteristic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150 subjects: 50 in the ASD group and 100 in the general group. Measuring instruments used were the BITSEA ASD subscales (BITSEA-ASD problems and BITSEA-ASD competence), CARS, KM-CHAT, MSEL, K-ASQ, and CBCL. The result of the study show that in the BITSEA ASD subscale, the ASD group recorded a higher disparity in each domain compared to the general group. In the concurrent validity test, the correlations between CBCL1.5-5 and the BITSEA ASD subscales were .81 for the entire CBCL1.5-5 domain, .81 for the internalization domain, and .81 for externalization domain, showing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m. The correlation between M-CHAT and the BITSEA-ASD subscale was .451, while the correlation between CARS and the BITSEA subscale was .587, showing a relatively good correlation. In summary, this study test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BITSEA-ASD subscale as a screening instrument for early screening of ASD infants at a preliminary level.

      • KCI등재

        특수교육 분야에서의 자문화기술지 연구 동향분석 및 향후과제

        서유진 ( Seo You-ji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2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분야에서 꾸준히 수행되고 있는 질적연구 유형인 자문화기술지 연구를 수집하고 연구의 일반적 특성과 연구방법적 특성을 살펴보고 후속 자문화기술지 연구의 질적향상을 위한 연구방향과 과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특수교육 분야에서 발표된 총 20편의 자문화기술지를 8개의 논문분석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문화기술지의 연구자는 대부분 교사로, 연구주제는 장애학생을 위한 교과지도가 8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자료수집은 자기회상과 자기성찰/반성, 문화적 인공물 자료가, 자료분석은 감정코딩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연구의 신뢰도는 동료검토와 충분한 연구기간 확보, 다양한 자료수집 등을 통해 검증되었고, 고백적-감성적 글쓰기 방법이 많이 활용되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윤리성 검증은 기술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의 분석대상 자문화기술지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방법적 제한점을 토대로 앞으로 자문화기술지 연구를 수행하고자 할 때 어떤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지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autoethnography studi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nd then analyze them based on their general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Also, the study suggested research directions and task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future autoethnography studies. Method: A total of 20 autoethnography stud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8 research-analysis criterion of this study. Results: The results identified that most researchers of the studies were teachers who taugh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pics of 8 studies were related to teach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lf-recall, self-reflection, and cultural artifact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emotional coding was used for data analysis. Peer check, sufficient research period, and various data collection were used for study reliability. Most of the studies did not explain their ethical verific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research efforts necessary for future autoethnography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