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스마트폰 집착 이유 연구

        서석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8

        This study is aimed at preventing smartphone addiction and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included 119 students enrolled at D University in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research method was a survey using questionnaire, and six questions concerning the use of smartphones were closed, and statistics were processed through SPSS 12.0. Open question 1 that allows one to freely describe why one is obsessed with Smartphones was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smartphone use times were the most common for less than three to four hours, and smartphone use incentives were the most for wider communication with people around the world. Both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used social network service(sns) the most among the functions of smartphones. Most students were aware of the dangers of smartphone addiction, more likely to experience conflicts with their parents due to their use of smartphones, and more often than not have been trained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Analysis of open questions that describe reasons for Smartphone obsession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anxiety and depression, benefits and enjoyment, and relationships.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proposals were made for further study. 이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은 경북에 위치한 D대학교 재학생 119명이었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로 스마트폰 사용 실태와 관련된 6문항은 폐쇄형 문항으로 SPSS 12.0을 통한 통계처리를 하였다. 스마트폰에 집착하는 이유를 자유롭게 서술하도록 한 개방형 문항 1문항은 질적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3~4시간 미만이 가장 많았고, 스마트폰 사용 동기는 주변 사람들과의 폭넓은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가 가장 많았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스마트폰의 기능 중에서 SNS 사용이 가장 많았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스마트폰 사용 때문에 부모와 갈등을 경험한 비율이 더 높았으며, 스마트폰 중독 예방 교육을 받지 못한 경우가 더 많았다. 스마트폰 집착 이유를 기술한 개방형 문항을 분석한 결과에는 불안 및 우울, 유익 및 즐거움, 인간관계, 이렇게 3가지 범주로 요약될 수 있다. 이상의 결론을 근거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실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적 사용 분석

        서석진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6

        이 연구는 증가하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치료와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시도하였다. 그러므로 중독 치료와 예방을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해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양적연구가 아닌 현상학에 따른 기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를 실시함으로 스마트폰 중독의 요인을 분석하는 것에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K도 K시에 위치한 D대학교 재학생 중에서 특별히 신입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2017년 3월 7일~17일까지 스마트폰중독 자가척도에서 50점 이상을 받은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자 8명을 선정하였다. 2017년 3월 21일~4월 10일까지 연구참여자들과의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후에 면담 내용에 대한 전사 작업을 하였다. 전사한 내용에서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다양한 진술을 토대로 4개의 주요 개념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 인식, 스마트폰 중독 때문에 일상에서 다양한 문제의 경험, 문제가 되는 것을 알면서도 스마트폰을 줄이지 못하는 이유, 스마트폰 중독 해결의 곤란이다. 이러한 4개의 주요 개념을 제시하면서 그와 관련된 제언을 한 후, 연구의 후속방향에 대해서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develop a program for a treatment and prevention of a college student’s addiction to Smart phone, which is steadily increasing. To the end, this study intended to grasp the factors related to addiction of Smart phone to collect the data for a curative treatment and prevention to Smart phone. This study put its significance in the analysis of Smartphone addiction factors by doing a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technique consequent on phenomenology other than the existing quantitative research. This study proceeded with the research specially targeting new students among the enrolled students at D University located in K city, K Province. Then, this study selected 8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work targeting the freshmen who received more than 50 points in Smartphone addiction self-scale from March 7 to 17, 2017. Next, this study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from March 21 ~April 10, 2017. Afterwards, this study did transcription work on the interview contents. This study deducted and presented 4 major concepts on the basis of diverse statements related to addiction to Smartphone among the transcribed contents. The 4 major concepts include perception of addiction to Smartphone, experience of diverse problems in a daily life due to the addiction to Smartphone, reasons for the failure to reduce the use of Smartphone despite the perception of troublesome Smartphone, and difficulty in finding a solution to addiction to Smartphone. This study presented also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es while putting fortward these four major concepts.

      • KCI등재

        Effect of frozen-storage period on quality of American sirloin and mackerel (Scomber japonicus)

        서석진,김영은,신동재,고상훈 한국식품과학회 2017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6 No.4

        This study aimed to study the effect of frozenstorage period on the quality of sirloin and mackerel (Scomber japonicus). The samples were evaluated after being kept in frozen storage at -17.9 C for different periods of time (1, 8, 15, 22, and 29 days). The frozen storage resulted in increase in ice crystal formation on the surface of both sirloin and mackerel. Frozen-storage period had an effect on the increase in the drip loss of both sirloin and mackerel with a positive correlation (p\0.05) as well as on the decrease in the hardness of sirloin with a negative correlation (p\0.05). During the frozen-storage period, the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level was increased in mackerel while the level in sirloin was maintained; both levels were within safe limits. Consequently, a 29-day freezing period is postulated to have little effect on the quality of sirloin and mackerel.

      • KCI등재후보
      • KCI등재

        CO<sub>2</sub>-갈탄 가스화 반응에 미치는 폐촉매의 영향 및 반응속도론 연구

        서석진,이소정,손정민,Seo, Seok-Jin,Lee, So-Jung,Sohn, Jung Min 한국청정기술학회 2014 청정기술 Vol.20 No.1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reaction rate constant and activation energy of $CO_2$ lignite gasification by using waste catalysts (I, II, III) and $K_2CO_3$. The gasific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the lignite which was mixed physically with the catalysts of 1 wt%, 5 wt%, 10 wt% by thermogravimetry with TGA at $800^{\circ}C$, $850^{\circ}C$ and $900^{\circ}C$. The experimental data was analyzed with kinetic models (VRM, SCM and MVRM). MVRM was the most suitable among the three models. It was confirmed that gasification r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the activation energies of $CO_2$ gasification of lignite with mixed waste catalysts were lower than that of lignite alone at all temperatures. Especially, 10 wt% of waste catalyst III showed the lowest activation energy, 92.37 kJ/mol, among all lignite-char with catalysts. 본 연구에서는 갈탄에 폐촉매(I, II, III) 및 $K_2CO_3$를 이용한 $CO_2$ 가스화의 반응속도상수 및 활성화 에너지를 조사하였다. 가스화 실험은 1 wt%, 5 wt%, 10 wt%의 촉매를 물리적으로 혼합한 갈탄을 열중량분석(Thermogravity analysis, TGA)을 이용하여 가스화 온도 $800^{\circ}C$, $850^{\circ}C$, $900^{\circ}C$ 범위에서 수행하였다. 실험 데이터를 세 가지 반응속도 모델(volumetric reaction model, VRM; shrinking core model, SCM; modified volumetric reaction model, MVRM)에 적용한 결과 MVRM이 가장 적합하였다. 가스화 속도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모든 실험 온도에서 폐촉매를 이용한 가스화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는 촉매를 혼합하지 않은 갈탄 보다 낮게 나타났다. 특히, 폐촉매 III 10 wt%의 경우 활성화 에너지가 92.37 kJ/mol로 가장 낮게 얻어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