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부산광역시와 부산지역 환경NGO간의 관계유형: 후견인적 관계유형? 혹은 무관심적 관계유형?

        상구,이원일 한국거버넌스학회 2006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3 No.1

        김상구-이원일(2005)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환경NGO들은 지방정부인 부산광역시와의 관계를 무관심적 관계유형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부산광역시의 환경관련 행정부서 공무원들은 환경NGO와의 관계를 후견인적 관계유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지방정부인 부산광역시와 부산지역 환경NGO들간의 관계유형은 진정 무엇인가?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을 지방정부인 부산광역시와 부산지역 환경NGO들간의 관계유형은 진정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데에 두었다. 그리고 관계유형을 규명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의 NGO 지원사업’을 분석하여 양자간의 입장차이를 분석하고, 양자가 상대방과의 관계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부산광역시의 입장은 NGO 지원사업이 부산시정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직접적인 재정지원과 함께 간접적으로는 NGO의 책임성, 전문성 및 NGO 공익활동의 제고 등의 도움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당연히 부산지역 환경NGO와의 관계를 후견인적 관계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환경NGO들은 부산광역시의 NGO 지원사업에 따라 지원되는 재정은 회계검사 중심의 지원통제방식이고, NGO에 대한 인건비 지원이 없는 상태이며, 게다가 지원사업에 참여함으로써 거꾸로 부산광역시의 회계검사를 받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이결과 환경NGO들의 사업참여 비율은 해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었고, 이러한 맥락에서 부산지역 환경NGO들은 부산광역시와의 관계를 무관심적 관계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type betwee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Environment-NGO in Busan Region. An alyze the “Busan Metropolitan City's business suports NGO" for inquire i nto relationships type. Busan Metropolitan City's basic stance : Guardian Relations.First : NGO's business is useles to municipal administration .

      • KCI등재

        Breakdown Characteristics of a Zener Diode with n+p+n-p+ Structure

        상구,S. W. Song,Y. I. Choi 한국물리학회 2003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42 No.III

        Breakdown characteristics of a Zener diode with n+p+p-n+ structure are analyzed with two-dimensional device simulation. Effects of base doping concentration and profile on the breakdown are presented. An analytical expression of a maximum base doping level for the punch-through breakdown is derived. The diode with a linearly graded base doping shows superior leakage current and capacitance is satisfactory for applications for low-voltage circuits.

      • KCI등재
      • KCI등재

        고속도로 엇갈림 교통와해 발생 여건 분석

        상구,김영춘 한국ITS학회 2007 한국ITS학회논문지 Vol.6 No.3

        엇갈림 현상은 고속도로에서 동일 방향을 진행하는 두 교통류가 연결로에 의해 다른 도로와 연결됨으로써 교통류간에 합류 또는 분류가 일어남에 따라 발생하는 교차현상을 말한다. 엇갈림 현상은 짧은 구간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운영 특성 때문에 다른 도로구간에서 발생하는 교통혼란보다 더 과도한 혼란이 생기기 쉬우며 이는 도로 전체 서비스수준 저하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개별차량에 대한 미시적 분석이 가능한 고속도로의 항공사진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교통와해 발생시 고속도로 엇갈림구간의 교통류 특성을 차로별로 미시적인 방법을 통하여 관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엇갈림구간의 진출입교통량으로 인한 본선 교통류의 정체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고속도로의 엇갈림구간에서 수집한 항공사진 원시 자료를 차로별 30초 단위의 교통량, 속도, 밀도자료로 생성하고, 이 자료를 토대로 차로별 안정류에서 정체류로 변화하는 시간대와 구간을 파악하여 교통와해 특성을 분석하며, 또한, 개별차량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과 거리에 따른 시공간도를 작성하여 엇갈림구간의 특성에 대해 해석하여 교통와해 발생 여건을 분석하고 차로 별 교통류 전파과정을 면밀히 관찰한다. 본 연구는 혼잡교통류 상태의 고속도로 엇갈림 구간에 대한 미시적 분석을 수행하여 교통와해 현상을 실제 자료를 토대로 확인하고,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개발 가능한 개별차량들의 교통특성과 알고리즘개발에 대한 기초이론을 제공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Weaving is defined as the crossing of two or more traffic streams traveling in the same general direction along a significant length of highway without the aid of traffic control devices. Compared with other freeway sections, perturbation is easy to happen at weaving section. Because there are a lot of lane-changing maneuvers at the weaving section, traffic is subject to turbulence in excess of that normally presents on freeway basic section. This turbulence causes operational problems and its impact must be consider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erform a basic study on flow characteristics by lane, which can be achieved through analyzing breakdown phenomenon in the microscopic approach. The study made use of data derived from the aerial photography for the microscopic analysis. This research produced the 30-second interval data such as flows, speeds, and densities for the macroscopic analysis and derived the vehicular data to draw time-space diagram for the microscopic analysis. The paper analyzed the traffic characteristics using flows, speeds and densities variation and investigated the conditions of breakdown occurrence with the time-space diagrams. The breakdown phenomenon was identified at weaving section and the propagation from free flow to synchronized flow was observed in this study. In the future, the findings help develop the traffic operational algorithm to manage the traffic congestion under ubiquitous circumstance since the conditions of breakdown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more.

      • KCI우수등재

        한반도 남동부 경상호의 조구조 배경과 호화산작용

        상구(Sang Koo Hwang) 한국암석학회 2012 암석학회지 Vol.21 No.3

        한반도에는 백악기에 북동-남서 방향으로 달리는 여러 화산호들을 형성하였으며 그 중에서 경상분지의 남동부를 지나는 경상호가 가장 우세하다. 백악기 전기 화산작용은 하양층군의 여러 층준에 대체로 알칼리 혹은 칼크알칼리 현무암질 용암류로 구성되는 화산층을 협재시켰다. 백악기 후기 화산작용은 경상호 내에 두꺼운 칼크알칼리 안산암질 및 유문암질 화산층을 형성하였다. 이 화산작용은 (1) 먼저 현무암질 및 안산암 질 용암류의 분출로 특징되며, (2) 후에 데사이트질-유문암질 화쇄강하, 대규모 화쇄류의 분출로 이어지고 이에 관련하여 칼데라와 칼데라후 암맥과 돔의 형성으로 특징되어진다. 백악기 전기(약 120Ma)에 북쪽에서 북북서 방향으로 약간 변화됨으로서 사각방향의 이자나기판 섭입작용은 북동내지 북북동 방향의 좌수향 주향이동 단층을 형성하면서 경상호의 배호 지역에 인리형 분지가 열리고 동쪽으로 확장되어 배호분지를 형성하였다. 이때 배호분지에는 암압의 감소와 함께 마그마 생성의 촉진으로 용암류를 분출시켰으며, 하양층군의 여러 층준에 화산성 협재층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경상분지는 대륙 열곡작용에 의해 형성된 배호분지로 해석된다. 배호분지의 확장과 더불어 경상분지에서는 호화산작용이 100Ma 무렵부터 이미 시작되었으며, 백악기 후기로 가면서 격렬하게 지속되었고 화산호를 형성하였다. 백악기 후기(약 90Ma)에 이자나기판의 섭입방향은 북북서 방향에서 북서 방향으로 변화됨으로서 분지발달이 종식되었으며, 대륙연변부에 대해 사각에서 직각방향으로의 변화는 마그마 생성이 용이하게 유도되어 백악기 후기 동안에 화산작용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게 하였다. 한편 대구-부산 사이에 북서 방향의 폭넓은 화산대는 이자나기-태평양 해령의 빠른 북서향 섭입작용으로 슬랩창의 높은 열원에 의한 화산작용과 무관하지 않다. The Gyeongsang Arc is the most notable of the Korea Arc that is composed of several volcanic arcs trending to NE-SW direction in the Korean peninsula. The Hayang Group has many volcanogenic interbeds of lava flows by alkaline or calc-alkaline basaltic volcanisms during early Cretaceous. Late Cretaceous calc-alkaline andesitic and rhyolitic volcanisms reconstructed the Gyeongsang Arc that consist of thick volcanic strata on the Hayang Group in The Gyeongsang Basin. The volcanisms characterize first eruptions of basaltic and andesitic lavas with small pyroclastics, and continue later eruptions of dacitic and rhyolitic ash-fall and voluminous ash-flow with some calderas and then domes and dykes. During the Early Cretaceous (about 120 Ma), oblique subduction of the Izanagi plate to NNW from N direction results in sinistral strike-slip faults to open a pull-apart basin in back-arc area of the Gyeongsang Arc, in which erupted lava flows from generation of magma by a decrease in lithostatic pressure. Therefore the Gyeongsang Basin is interpreted into back-arc basin reconstructed by a continental rifting. Arc volcanism began in about 100 Ma with exaggeration of the back-arc basin in the Gyeongsang, and then changed violently to construct volcanic arcs. During the Late Cretaceous (about 90 Ma), orthogonal subduction of the Izanagi plate to NW from NNW direction ceased development of the basin to prolong violent volcanisms.

      • SpaceWire를 이용한 탑재체 데이터 전송 방법 설계

        상구,김중표,임원규,이선익,이상곤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4

        위성은 기상 관측, 과학탐사, 통신, 군사적 목적 등 다양한 임무 수행을 위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보다 정교하고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이미지 데이터, 관측 자료의 수요에 따라 대용량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탑재체가 선택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해 높은 전송률을 지원하는 위성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으며, 위성 내부에서도 고속의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한 SpaceWire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SpaceWire 패킷 레벨에서 데이터 전송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GRDDP 방식과 함께 사용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paceWire와 GRDDP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탑재체로부터 생성되는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Satellites have developed with the object of a purpose for meteorological image, science explorations, communications, military. Recently, payloads which generate huge image, video and observation data for high reliability are required. Therefore,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transmitting data in high data rate is needed and spacewire is used for high speed internal process between payloads and spacecraft. Moreover, it has been studied to improve transmission reliability and efficiency using GRDDP in packet layer. In this paper, we design the transmission method using spacewire and GRDDP between several payloads and spacecraft.

      • KCI등재

        울릉도 알봉 용암돔의 미정 조직분석으로부터 폭발성 및 분류성 분출 간의 전환 해석

        상구,김기범,손영우,현혜원,Hwang, Sang Koo,Kim, Ki Beom,Son, Young Woo,Hyeon, Hye Weo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0 자원환경지질 Vol.53 No.5

        울릉도에서 폭발성 및 분류성 분출 간의 전환은 돔형성 분출을 나타내는 나리분석층과 알봉조면안산암(용암돔)에서 관찰되며, 유동성 마그마, 상승률 및 탈기작용과 같은 요인과 연관된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해석은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분출과정에서의 거동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금까지 해결되지 않았다. 이 논문은 나리 칼데라에서 알봉 용암돔 형성과정에서 인지되는 폭발성 및 분류성 분출에 초점을 두었다. 시료는 분석층과 용암돔에서 시간에 따라 채취하였으며, 분출 단계 및 활동 양식과 연계되어 있다. 이 시료들에서 석기 장석미정의 조직은 면적 개수밀도, 평균 미정크기, 결정 종횡비, 석기 결정률 등을 포함하며 정량적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미정의 조직은 천부에서 분출전 및 분출동시 마그마 과정이 분출 동안 거동변화를 제어하면서 진행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폭발성 및 분류성 분출 간의 전환은 주로 화도 내 마그마 상승의 역학관계에 의해 일어났으며, 탈기작용과 결정작용이 피드백 메카니즘을 통해 일어남으로서 분류성 및 폭발성 분출의 한 윤회를 초래했다. Transition between explosive and effusive eruption in Ulleung Island is observed in the Nari Scoria Deposits and Albong Trachyandesite (lava dome) origined by dome-building eruption and may be related to factors such as magma influx, ascent rate and degassing. However, the interpretation of them has not been resolved yet because the interaction between these factors is not complex but also the resulting behaviour during eruption is unpredictable. This paper focuses on the explosive and effusive activity perceived during building the Albong lava dome in Nari caldera. Samples were collected along with time from the scoria deposits and lava dome, linked to eruption stage and style of activity. Textures of groundmass feldspar microlites from these samples are quantitatively analyzed, including measurements of areal number density, mean microlite size, crystal aspect ratio, groundmass crystallinity and crystal size. The microlite textures show that shallow pre- and syn-eruptive magmatic processes acted to govern the changing behaviour during the eruption. Transition between explosive and effusive eruption was driven by the dynamics of magma ascent in the conduit, with degassing and crystallisation acting via feedback mechanisms, resulting in a cycle of effusive and explosive eru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