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고속 통신망을 이용한 CSCW 기반 CALS 시스템 개발

        배재호,왕지남 한국정보처리학회 1998 정보처리학회지 Vol.5 No.1

        This paper deals with developing a remote & realtime Computer-Aided Logistics Support (CALS) Systems through Information Super-Highway. A prototype of CALS is designed and implemented considering the environment of Information Super Highway. The concept of CSCW based virtual enterprise is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four different activities: development of remote & virtual equipment controller, remote monitoring & inspection, real time tracking of logistics information, and web-based bidding and delivery system A real implemented system is demonstrated under the Information Super-Highway with the corresponding software and hardware configurations.

      • KCI등재후보

        일 대학병원에서 5개년간 섬망의 발생 및 치료 경향의 변화

        배재호,강원섭,백종우,김종우,Bae, Jae Ho,Kang, Won Sub,Paik, Jong Woo,Kim, Jong Woo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2 정신신체의학 Vol.20 No.2

        연구목적 : 섬망은 의식 수준과 인지기능 변화로 인해 사고, 언어, 행동, 수면 양상 등에 갑작스러운 지장을 초래하는 장애로 정의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5개년간 일 대학병원의 정신과로 자문 의뢰된 섬망 환자들의 특성과 치료 방법을 분석하여 향후 섬망 연구에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섬망의 발생과 치료에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방 법 : 2007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서울 회기동 소재의 경희대학교 병원에서 정신과로 자문 의뢰된 환자를 대상으로 섬망으로 진단된 475명의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환자의 성별, 연령, 의뢰과, 의뢰 이유, 섬망의 원인, 섬망의 분류, 의뢰의의 오진율, 치료 방법, 처방 약물 종류 등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결 과 : 5년간 섬망으로 진단된 475명의 환자 중 남성이 61.7%로 여성보다 더 많았다. 섬망 환자를 정신과로 의뢰하게 된 이유는 수면 장애가 80.8%로 가장 많았고 섬망이 발생한 원인으로는 수술 후 섬망이 30.9%로 가장 많았다. 전체 치료 건수 중 약물 처방이 76.6%이었으며 연도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약물 처방 건수 중 항정신병 약물의 사용 빈도는 76.4%였으며 항정신병 약물중 Quetiapine의 사용 비율이 46.8%으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타과 의뢰의가 섬망의 진단을 놓치게 된 이유는 환자가 이전에 치매를 진단받았을 경우가 6.8%로 가장 많았다. 결 론 : 근 5개년간 일 종합병원에서 정신과로 의뢰되는 섬망은 수술 후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약물 처방율이 높아지는 추세였다. 환자에게 이전 치매 병력이 있을 경우 섬망이 아닌 다른 질환으로 오진되기 쉬웠다. 본 연구를 통해 섬망의 임상 증상 및 원인, 의뢰 이유, 치료 경향에 대해 평가하고, 수면 주기의 변화에 대한 주의를 기울이며, 수술 후 섬망에 대한 예방전략 수립 및 약물 치료에 따른 치료 근거를 확립하는데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 Delirium is a disorder defined as a sudden disturbance in thinking, speaking, acting and sleep pattern due to altered level of consciousness and cognitive fun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and therapeutic methods of the delirious patients during the recent 5 years, and provide basic data for further studies and investigation regarding delirium in the occurrence and treatment.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475 patients who were consulted for delirium in Kyung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11. Results : During the 5 years, among the 475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delirium, men were more common(61.7%). The most commonly consulted reason and cause were sleep disturbance(80.8%) and post-operational delirium(30.9%), respectively. The medication prescription percentage was 76.6% an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year after year. Ratio of using antipsychotics were 76.4% among prescribed medication and the most frequently prescribed antipsychotic drug was quetiapine(46.8%). Other specialists commonly misdiagnosed delirium when the patient was previously diagnosed as dementia(6.8%). Conclusions : In our study, post-operational delirium was the most commonly referred reason and the percentage of medication prescription tended to increase. Patients with history of dementia were more easily misdiagnosed as diseases other than delirium. Our study suggests that we should evaluate symptoms, causes, reasons of consultation, management tendency of delirium. We should also closely observe changes in sleep patterns and establish the prevention strategies for post-operational delirium and therapeutic bases for pharmacotherapy.

      • KCI등재

        玄奘의 귀국과 摩訶菩提寺 正覺像: 西安 출토 善業泥 佛像을 중심으로

        배재호 국립중앙박물관 2019 미술자료 Vol.- No.95

        현장은 인도 구법 여행 중 고타마 싯다르타 태자가 보드가야의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음을 이루어 석가모니 붓다(여래)가 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조성한 마하보리사 정각상을 예불하였다. 그가 정각상을 예불하면서 기록했던 불상의 모습, 재질, 크기는 『대당서역기』에서 확인된다. 이를 계기로 당나라 7세기 후반에 도상적·신앙적·재질적으로 정각상을 답습한 많은 불상이 조성되었다. 당의 수도 시안에서 출토된 선업니 불상 중 “진여묘색신”명 불상과 “인도불상”명 불상도 이러한 예로, 크기는 작지만 정각상이 지닌 “여래 출현”의 모습을 도상적·신앙적으로 가장 잘 보여준다. 선업니 불상에 보이는 불좌상은 『대당서역기』에 기록된 마하보리사 정각상과 같이 편단우견 식으로 법의를 입고 항마촉지인을 결한 채 가부좌하고 있다. 이 중 “진여묘색신”명 선업니 불상은 명문이 가리키는 바와 같이 생멸하는 모습의 색신이 아니라 진여를 체득하여 묘색신을 갖춘 붓다, 즉 깨달음을 이룬 역사적인 석가모니 붓다를 뜻한다. 『대당서역기』에 “묘상”으로 묘사된 마하보리사 정각상을 선업니 불상에서는 “묘색신”이라고 새긴 것이다. 또한 불상이 역사적인 석가모니 붓다임을 알려주듯이 불좌상 주변에는 과거칠불이 표현되어 있다. “인도불상”명 선업니 불상은 이 불상이 “인도”와 직접적으로 연관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는데, 불상 위의 보리수, 주변의 소탑들, 대좌 앞의 연기법송은 마하보리사 정각상을 모델로 하여 조성하였음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4기의 소탑은 마하보리사 대탑을 둘러싸고 있는 소탑으로, 여기서는 대탑 속에 봉안된 불좌상이 대탑을 대신하고 있다. 연기법송은 고타마 싯다르타 태자가 석가모니 붓다가 될 때 깨달은 내용이자 그의 첫 번째 가르침이다. 한편 “선업니”의 성분을 구체적으로 알 수 없으나 선업이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한 착한 행위 이기 때문에 그 속에 신앙적 함의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 현장이 마하보리사 정각상을 예불하던 7세기 전반 인도에서는 선업을 쌓기 위해 만든 불상과 불탑에 향을 발라 공양하는 것이 유행하였다. 마하보리사 정각상을 향니로 만들었다는 현장의 기록도 이러한 정황을 알려주는데, 선업니 불상의 조성 과정에서도 향과 관련된 의식이 행하여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시안에서 출토된 이들 선업니 불상이 현장에 의해 직접 조성되었다는 증거는 없다. 그러나 『대당서역기』에서 현장이 마하보리사 정각상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도상적· 신앙적·재질적으로 가장 유사한 이 선업니 불상들이 조성된 것은 분명하다. 선업니 불상들은 7세기 중반의 당나라 불교도들이 같은 시기 인도의 불교도들과 같이 마하보리사 정각상을 진여를 깨달아 묘색신을 갖춘 역사적인 석가모니 붓다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Zhenrumiaoseshen(眞如妙色身)” and “Yindufoxiang(印度佛像)” inscribed Shanyeni(善 業泥; scented clay) Buddhist sculptures from Xian(西安) are modeled on Enlightenment Buddha of Mahābodhi Temple mentioned in Datangxiyuji(大唐西域記) by Xuanzang(玄奘, 602?~664) in terms of iconography and material. Although the inscriptions are different, both have the same iconography as they sit cross-legged while the robe covers one shoulder with the bhūmisparśamudrā( 降魔觸地印), showing they followed the Mahābodhi Temple Enlightenment Buddha. “Miaoxiang(妙相)” and “Xiangni(香泥)” which are described in Xuanzang’s Datangxiyuji can be related to “Zhenrumiaoseshen” and “Shanyeni” respectively. Seven Buddhas of the past(過 去七佛) portrayed on “Zhenrumiaoseshen” inscribed Shanyeni Buddhist sculpture, implies that the sculpture is an Enlightenment Buddha Śākyamuni. As the name suggests, “Yindufoxiang” likely shows that the Buddha also is an Enlightenment Buddha. The four stupas surrounding the Buddha, with which the Bodhi tree laying above, and the inscription Gatha of Dependent of Origination Dharani(緣起法頌) under the pedestal of the Buddhist sculpture all show that this is an Enlightenment Buddha. During the 7thcentury India, where monks of Tang(唐) often pilgrimaged, two types of Sarira(舍利, ashes of Buddha and Gatha of Dependent of Origination Dharani) were enshrined to Buddhist sculptures and stupa. It is highly likely that “Zhenrumiaoseshen” inscribed sculpture and “Yindufoxiang” inscribed sculpture implicate ashes of Buddha and Gatha of Dependent of Origination Dharani respectively. Therefore, these sculptures could have had the purpose of Sarira that was enshrined to Buddhist sculptures and stupa in the mid-7thcentury of Tang. There is no proof of Xuanzang creating Shanyeni Buddhist sculptures. However, his detailed description of Enlightenment Buddha of Mahābodhi Temple in Datangxiyuji paved the way to the creation of archetypal Shanyeni Buddhist sculptures. Through the Shanyeni Buddhist sculpture from Xian, it’s predictable that Enlightenment Buddha of Mahābodhi Temple was recognized as a historical Śākyamuni Buddha in the mid-7thcentury of Ta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