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NU 1.5MV 반데그라프 가속기 (V) -고전압 안정화 계통의 동작-

        배영덕,박혜일,정기형,우형주,최병호,Bae, Y.D.,Bak, H.I.,Chung, K.H.,Woo, H.J.,Choi, B.H. Korean Nuclear Society 1987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19 No.2

        A high voltage stabilization system for the SNU 1.5MV Tandem Van do Graaff accelerator was set up and its operation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and optimized. The optimum parameters of beam transport system were experimentally determined, and under the proper condition the accelerated proton beam current of 350nA was obtained at the target chamber. Without the high voltage stabilization the observed magnitude of voltage fluctuation was $\Delta$V/ V=5.2$\times$10$^{-3}$ without ion beam and 7.2$\times$10$^{-3}$ with ion beam, respectively, and its apparent ripple frequency for voltage fluctuations was about 3Hz or less. Through the optimized operation of the high voltage stabilization system, the terminal voltage fluctuation was reduced to $\Delta$V/V=2.45$\times$10$^{-4}$ and the energy stability with $\Delta$E/E=2.44$\times$10$^{-4}$ was steadily maintained at the 247.3kV terminal voltage, and the stabilization factor was deduced to be 29.4. SNU 1.5MV 직렬형 반데그라프 가속기의 고전압 안정화 계통을 설치하여 그 동작 특성을 파악하고 최적화하였다. 이온빔 수송계통의 최적 운전 조건을 단계적인 실험을 통하여 결정하였으며 적절한 운전 조건하에 표적함에서 350nA의 가속된 양성자빔을 얻었다. 고전압을 안정화하지 않았을 때의 고전압 변동은 이온빔을 가속하지 않을 때와 가속할 때 각각 $\Delta$V/V=5.2$\times$$10^{-3}$, 7.2$\times$$10^{-3}$이었으며 그 변동 주파수는 3Hz 이하였다. 터미날 전압 247.3kV에서 고전압 안정화 계통의 최적 운전을 통하여 터미날 전압의 변동은 $\Delta$V/V=2.45$\times$$10^{-4}$ 으로 줄었고 에너지 안정도는 $\Delta$E/E=2.44$\times$$10^{-4}$ 으로 유지되었으며 이 때의 안정화 계수는 29.4였다.

      • KCI등재

        고주파 인가시의 KSTAR ICRF 안테나의 진공특성

        배영덕,곽종구,홍봉근,Bae, Young-Dug,Kwak, Jong-Gu,Hong, Bong-Geon 한국진공학회 2006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5 No.3

        KSTAR ICRF 안테나의 진공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제작된 안테나를 총 유효배기속도 1015 l/s의 진공펌프가 장착된 시험용 진공용기에 설치하였으며, 고주파 시험하기 전에 시간에 따른 압력 변화, 총기체 부하, 도달 진공도 등을 측정하였다. 낮은 출력의 고주파를 반복적으로 인가함으로서 세정 효과를 확인하였다. 안테나에 고주파를 인가하여 시험하는 동안 진공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압력 상승에 의해 방전이 유발되는 한계 압력을 조사하였다. 본 안테나의 경우 고주파 인가 중에 진공용기의 압력이 $10^{-4}$ mbar 이상이 되면 방전이 일어났다. 장펄스 시험에서 안테나의 온도와 시험용 진공용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안테나를 냉각하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이 가능한 전압을 조사하였으며, 냉각했을 때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The vacuum characteristics of the KSTAR ICRF antenna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fabricated antenna was installed in the RF Test Chamber(RFTC) which has a vacuum system with an effective pumping speed of 1015 l/s. The time variations of RFTC pressure, total gas load and ultimate pressure were measured before the RF test. RF conditioning effect was studied by repeating RF pulses at low power level. A time variation of the RFTC pressure was measured during a RF power was applied to the antenna. Threshold pressure at which a RF breakdown occurs was investigated. Whenever the pressure was higher than $10^{-4}$ mbar, the RF breakdown occurred. During a long pulse testing, the temperature of the antenna and RFTC pressure were measured to investigate long pulse limitation of the maximum available voltage without any cooling, which were compared with testing results with a water cooling of the antenna.

      • KCI등재

        횡문근 융해증으로 발현한 결절다발동맥염 1예

        배영덕,최효진,이정찬,이윤종,송영욱 대한류마티스학회 2006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3 No.1

        Skeletal muscle involvement has been well documented and muscular symptoms are common in patients with polyarteritis nodosa (PAN). However, the level of muscle enzyme is uncommonly elevated and overt rhabdomyolysis is very rare. We report a case of PAN presenting as rhabdomyolysis. A 22-year-old man was admitted because of fever, severe myalgia and swelling in all extremities. Laboratory investigations showed markedly increased levels of serum creatine kinase and myoglobin. There was diffusely increased muscular uptake in bone scan. Muscle biopsy from the right deltoid revealed vasculitis involving medium-sized vessel with ischemic necrosis of muscle. On angiography, saccular aneurysms were found in multiple arterities. Therapy with methylprednisolone pulse therapy and cyclophosphamide was followed by improvement of his symptoms.

      • KCI등재

        핵융합로부품 시험을 위한 고열부하 시험시설 KoHLT-1 구축

        배영덕,김석권,이동원,신희윤,홍봉근,Bae, Young-Dug,Kim, Suk-Kwon,Lee, Dong-Won,Shin, Hee-Yun,Hong, Bong-Guen 한국진공학회 2009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8 No.4

        A high heat flux test facility using a graphite heating panel was constructed and is presently in operation at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which is called KoHLT-1. Its major purpose is to carry out a thermal cycle test to verify the integrity of a HIP (hot isostatic pressing) bonded Be mockups which were fabricated for developing HIP joining technology to bond different metals, i.e., Be-to-CuCrZr and CuCrZr-to-SS316L, for the ITER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first wall. The KoHLT-1 consists of a graphite heating panel, a box-type test chamber with water-cooling jackets, an electrical DC power supply, a water-cooling system, an evacuation system, an He gas system, and some diagnostics, which are equipped in an authorized laboratory with a special ventilation system for the Be treatment. The graphite heater is placed between two mockups, and the gap distance between the heater and the mockup is adjusted to $2{\sim}3\;mm$. We designed and fabricated several graphite heating panels to have various heating areas depending on the tested mockups, and to have the electrical resistances of $0.2{\sim}0.5$ ohms during high temperature operation. The heater is connected to an electrical DC power supply of 100 V/400 A. The heat flux is easily controlled by the pre-programmed control system which consists of a personal computer and a multi function module. The heat fluxes on the two mockups are deduced from the flow rate and the coolant inlet/out temperatures by a calorimetric method. We have carried out the thermal cycle tests of various Be mockups, and the reliability of the KoHLT-1 for long time operation at a high heat flux was verified, and its broad applicability is promising. 본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는 국제열핵융합실험로(ITER)의 일차벽을 개발하기 위해 그라파이트 히터를 이용한 고열부하 시험시설 KoHLT-1(Korea Heat Load Test facility-1)을 구축하였으며, 현재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다. KoHLT-1의 주목적은 Be-CuCrZr-SS의 이종 금속이 HIP 방법에 의해 접합된 ITER 일차벽 mockup의 접합 건전성을 확인하는데 있다. KoHLT-1은 판형 그라파이트 히터, 냉각 jacket이 부착된 상자형 시험용기, 직류 전원, 냉각계통, He 기체 공급계통과 각종 진단계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모든 시설은 Be 처리가 가능한 특수 정화계통이 설치된 실험실에 설치되었다. 그라파이트 히터는 두개의 시험 대상물 사이에 설치되며, 시험대상물과의 거리는 $2{\sim}3\;mm$이다. 시험 대상물의 크기와 요구되는 열유속에 따라 여러 가지의 그라파이트 히터를 설계, 제작하였으며, 전기 저항은 고온 운전 중에 $0.2{\sim}0.5{\Omega}$이 되도록 하였다. 히터는 100V/400 A의 직류전원에 연결되어 있으며, PC와 multi function module로 구성된 전류 조정계통에 의해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는 패턴으로 전류를 자동 조절하게 된다. 두 시험대상물에 인가되는 열유속은 calorimetry법에 의해 냉각수의 입, 출구 온도와 유량을 측정하여 얻게 된다. 여러 가지 형태의 ITER 일차벽 Be mockups에 대해 고열부하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시험을 통하여 KoHLT-1 고열부하 시험 시설의 성능이 확인되었고, 24시간 이상의 연속 운전에 있어서도 그 신뢰성이 입증되었다.

      • 의원발의법률안 심사에서 대안반영폐기법률안의 처리에 관한 검토

        배영덕 한국의회학회 2013 한국의회학회보 Vol.2 No.1

        제13대 국회 이후 의원입법이 활성화되면서 의원입법 발의가 큰 폭으로 증가하여 제18대의 경우 전체 법률안의 87.8%인 12,220건에 이르고 있다. 이 과정에서 내용적으로 유사한 법률안이 다수 발의됨에 따라 효율적 심의를 위해 이들 법률안들을 하나의 안건으로 합쳐 대안으로 의결하는 심의 형태가 보다 일반화되고 있다. 이처럼 대안 심의 형태가 보다 일반화되면서 원안인 법률안의 폐기 의 증가로 제14대 약 15%에 머물던 대안반영폐기가 제18대에 이르러 26.4%로 증가한 반면에, 가 결률은 하락하여 제18대에 13.6%(위원회안 제외 가결률, 5.7%)까지 내려와 있다. 이 경우 과거에 비해 낮아진 가결률에 초점을 맞출 경우 대안을 통한 원안인 법률안의 입법정책적 목적의 실질적 달성이라는 대안반영폐기법률안의 정책적 의의에 대해 간과한 채 의원입법의 비효율성만이 지적될 수 있다. 한편 대안반영폐기법률안의 처리의 경우 1) 그 처리형식이 “폐기”이지만, 국회의 의사표시 인 의결에 의한 처리로서, 2) 원안인 법률안의 입법정책적 목적이 가결된 대안을 통해 실질적으로 달성된 점에서 대안반영폐기법률안을 실질적으로 “국회를 통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의원입법에 대한 보다 균형된 이해를 위해서는 의원입법의 “가결률”뿐만 아니라, 그 국회통과건수 (가결건수+대안반영폐기건수)에 근거한 “국회통과율”의 관점에서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 이 글의 결론이다. 참고로 제18대 의원입법의 통과건수는 그 가결건수에 대안반영폐기건수를 합친 4,890건이며, “국회통과율”로는 40.0%이다.

      • KCI등재

        Clinical Features of Polyarteritis Nodosa in Korea

        배영덕,이정찬,박정진,이윤종,이은봉,송영욱,최효진 대한의학회 2006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1 No.4

        Polyarteritis nodosa (PAN) is a systemic vasculitis characterized by multi-organ in-volvement with protean manifestations. We evaluated the clinical features of PAN in Korea. Twenty-seven patients were diagnosed as PA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90 and July 2003. The male-to-female ratio was 1.7:1 and mean age at onset (±±SD) was 47.4 ±±20 yr. Their presenting features at diagnosis were similar to those reported previously, i.e., myalgia, muscle weak-ness or leg tenderness (70%), fever (52%), weight loss >4 kg (44%), skin rash (44%), peripheral edema (33%), abdominal pain (33%), and arthralgia/arthritis (30%). How-ever, the prevalence of testicular pain or tenderness was higher (24%) than report-ed previously and only three (11.5%) had HBsAg positivity without liver enzyme elevation. Nine patients (33%) had a five-factor score (FFS) of 2. Fourteen patients (52%) responded to treatment, 2 patients relapsed and 4 died within 1 yr of diagno-sis. During a median follow-up of 55.5 months, three of the four PAN-related deaths had an initial FFS of 2. The clinical features of PA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reported previously. However, testicular pain or tenderness was more frequent and patients with a high FFS tended to have a poorer progn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