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디자인 교육에서 창의적 발상을 위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전위법을 기반으로 한 미드저니 활용을 중심으로-

        박혜지,조택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생성형 인공지능은 프롬프트 입력으로 단시간에 이미지를 구현해 낼 수 있으며, 다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 신영역이다. 그렇기에 이미지 구현이 결과물로 도출되어야 하는 공간디자인 분야에서는 활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끊이지 않고 있으며 현재는 이미 실무뿐만 아니라 교육 분야에서도 활용되고 있는 추세로 앞으로의 적절한 활용적 시도와 더불어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및 검증 등이 필요한 시기로 볼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디자인 교육에서 디자이너의 핵심 역량 중 하나인 창의성을 증대시키는 과정에서 생성형 인공지능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는지 시도해 생성형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 목적인 공간디자인 교육에서 창의적 발상을 기반으로 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가능성에 대해 탐구하기 위해 1차 적으로는 공간디자인과 창의성의 이론적 고찰 후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창의적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는 기반적 특성을 전위법의 특성과 연결시킨다. 2차 적으로는 전위법의 특성을 기반으로 미드저니에게 이미지를 생성시키기 위한 프롬프트를 LLM(Open AI, Chat GPT)을 활용하여 설계하고 최종 프롬프트를 입력하여 전위법이 반영된 결과를 이미지로 구현한다. 우선적으로는 전위법 특성이 담긴 이미지를 단순하게 구현해 실험적 과정을 거치며 이후에는 공간에 전위법 특성을 반영하여 최종적인 결과물을 도출해 낸다. (결과) 전위법의 특성을 공간디자인 이미지 구현에서 창의적 발상을 위한 방법적 특성으로 사용할 수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텍스트 생성형 인공지능 LLM과 이미지 생성형 미드저니를 활용하여 단시간에 많은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해 다양한 조건의 전위법이 반영된 창의적 이미지를 구현해 냈다. (결론) 공간디자인 교육에서 창의적 과정을 통한 역량 증진에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기존의 도구와 방식을 벗어나 새로운 도구의 활용과 방식적 전환 시도에 큰 의의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방법론적 전환을 넘어 프로그램 등 기존 도구와 비교하여 시간 절약 및 퀄리티 있는 결과물 도출로 인해 인공지능의 활용적 유용성까지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교육뿐 아니라 실무 및 연구 등에서도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다각화된 활용적 가능성을 의미하며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공간디자인 교육 및 실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과 같은 새로운 분야의 활용이 증대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a new area capable of implementing images in a short time. Therefore, discussions on spatial and field design must be derived as a result of the possibilities of use. Currently, it is expected to be seen as soon as practice, but it is also used to be seen as necessary for research and verification attempts to use the future appropriate utilization attempt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using AI as one of the core capabilities of designers. (Metho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generative AI based on creative ideas in spatial design education, which is the research purpose,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spatial design and creativity is conducted and the correlation is identified. Furthermore, the underlying characteristics that can derive creative results are link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tential metho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tential method, the large language model (LLM) is used to design a prompt to generate an image for the generative AI, Midjourney. The result reflecting the potential method is implemented as an image by entering the prompt. An image containing the potential method characteristics is implemented and goes through an experimental process, and the final result is derived by reflecting the potential method characteristics in the spac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osition method could be used as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for creative thinking in the realization of spatial design images. Based on this, text-generating AI LLM (Open AI and Chat GPT) and image-generating, Midjourney, were used to derive numerous prompt information in a short time to develop creative images reflecting the transposition method of various conditions. (Conclusions) It was discovered that generative AI could be used to improve competence through creative processes in spatial design education. Hence, it is significantly important to use new tools and methods and attempt to transform them in a way that goes beyond the existing tools and methods. In addition, AI was useful because it saved time and produced quality results compared to existing tools, such as programs beyond methodological transformation. This implies the possibility of diversified applications. AI can be used in education, practice, and research.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AI will increase in various fields, such as spatial design education and practice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Box-Shape Cervical Expansive Laminoplasty :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박혜지,이상훈,Ho Yeol Zhang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2014 Neurospine Vol.11 No.3

        Objective: Box-shape cervical expansive laminoplasty is a procedure that utilizes a Miniplate® or Maxpacer® to achieve maximal canal expansion. This method is expected to show much larger canal expansion and good clinical outcome. So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 of Box-shape cervical expansive laminoplasty. Methods: Between June 2008 and July 2013, we performed cervical expansive laminoplasty in 87 and 48 patients using the Box-shape cervical expansive laminoplasty, respectively. We analyzed the clinical results of these operations using the Japanese Orthopedic Association (JOA) scoring system and by assessing the position of intralaminar screws with post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CT) at POD-6 months. Results: A total of 48 patients with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PLL) (36 pts), cervical spondylotic myelopathy (CSM) (12 pts) were enrolled. Overall JOA scores improved from 11.49 to 14.22 at POD-6 months (OPLL: 11.32 -->14.3; CSM: 12-->14). Postoperative CT scans were performed in 39 patients at 177 levels for a total of 354 screws. The malpositioning rate of intralaminar screws was 3.4% and hardware-related neurologic complications did not occur. Conclusion: Box-shape cervical expansive laminoplasty creates maximal spinal canal expansion and leads to improved cervical myelopathy. The use of intralaminar screws to fix the remodeled lamina-facet does not represent a significant difficulty.

      • KCI등재후보

        A Surgical Method for Determining Proper Screw Length in ACDF

        박혜지,구성욱,Moo-Sung Kang,김경현,박정윤,김근수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2014 Neurospine Vol.11 No.3

        Objective: We describe a surgical tool that uses the distractor pin as a reference for determining proper screw length in ACDF. It is critical that screw purchase depth be as deep as possible without violating or penetrating the posterior cortical wall, which ensures strong pull out strength. Methods: We enrolled 81 adult patients who underwent ACDF using an anterior cervical plate from 2010 to 2012.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Groups A (42 patients: retractor pin used as a reference for screw length) and B (39 patients: control group). Intraoperative lateral x-rays were taken after screwing the retractor pin to confirm the approaching vertebral level. The ratio of retractor pin length to body anteroposterior (A-P) diameter was measured as a reference. Proper screw length was determined by comparison to the reference. Results: The average distance from screw tip to posterior wall was 3.0±1.4mm in Group A and 4.1±2.3mm in Group B. The ratio of screw length to body sagittal diameter was 86.2±5.7% in Group A and 80.8±9.0% in Group B. Screw length to body sagittal diameter ratios higher than 4/5 occurred in 33 patients (90%) in Group A and 23 patients (59%) in Group B. No cases violated the posterior cortical wall. Conclusion: We introduce a useful surgical method for determining proper screw length in ACDF using the ratio of retractor pin length to body A-P diameter as a reference. This method allows for deeper screw purchase depth without violation of the posterior cortical wall.

      • KCI등재후보

        플립 러닝 기반 초등 환경·SW 융합 교육이 SW 성향에 미치는 효과성 분석

        박혜지,김평 전북대학교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2022 디지털문화아카이브지 Vol.5 No.2

        Flip learning can increase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by allowing students to take initiative in class, SW education helps logic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SW convergence education has an educational effect. This study developed and applied the 16th elementary environmental curriculum using flip learning and SW for 4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n analyzed the effect on students' SW propensity and the effectiveness of flip learning education. We identified that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SW convergence classes,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flip learning through the 5th session and 11th session using SW/AI application. 플립 러닝은 학생들이 수업에서 주도권을 가지고 학습하여, 학습 동기와 흥미를 높일 수 있으며, SW 교 육은 논리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고, SW 융합 교육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고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 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플립 러닝과 SW를 활용한 16차시의 초등 환경 교육과정을 개발·적용한 후 학생들의 SW 성향에 미치는 영향, 플립 러닝 교육의 효과성 및 수업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플립 러닝을 위 한 5차시 교육과정 및 콘텐츠 개발, 11차시의 SW·AI를 활용한 교육과정 및 강의 콘텐츠 개발, 교육과정 적 용 결과 분석을 통해서 환경·SW 융합 수업의 효과성 및 플립 러닝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의 효과성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Rahnella aquatilis AY2000균 유래의 항 효모물질의 작용양상

        박혜지,강민정,이종환,김광현,Park, Hae-Ji,Kang, Min-Jung,Lee, Jong-Hwan,Kim, Kwang-Hyeon 한국미생물학회 2011 미생물학회지 Vol.47 No.2

        항 진균제의 인체에 대한 부작용을 완화시키는 방법은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항 진균제 개발이나 기존 항 진균제와 혼용하여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Rahnella aquatilis AY2000가 생산하는 항 효모물질은 일종의 단백질성 고분자 물질이란 점에서 기존 항 진균제와 차이가 있다. 이 항 효모물질은 유도기나 대수증식 기에 있는 효모 생육을 억제시켰으며, cell cycle 분석에서 sub-G1기에 속하는 세포수의 증가 없이 세포를 arrest시켰다. 따라서 항 효모물질은 Candida albicans에 정균작용을 나타내었다. 또한 in vitro 실험에서 이 항 효모물질과 itraconazole이나 fluconazole을 병용한 후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 index 분석을 행한 결과 항 효모활성이 더욱 상승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항 효모물질은 정균 작용을 가질 뿐만 아니라 azole계의 항 진균제와 혼용하면 상승효과를 가짐으로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개념의 항 진균제로 개발할 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For reduction of side effects by anti-fungal agents, a less toxic anti-fungal substance or a synergistic substance with a new mechanism is needed. The anti-yeast substance (AYS) originated from Rahnella aquatilis strain AY2000 is like to be a heterogeneous protein. The AYS inhibited the growth of Candida albicans in culture broth, and AYS-treated cells were arrested in each phase during cell cycle. Among AYS-treated cells, the population of the cells belonging to sub-G1 phase was not increased during cell cycle. Therefore, AYS has rather yeaststatic than yeastcidal effect to C. albicans. Moreover, with combination of itraconazole or fluconazole, AYS had a synergistic anti-yeast activity against Saccharomyces cerevisiae based on the analysis of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 inde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