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용래 시의 전원의 의미와 물의 상상력

        박형준(Park, Hyung-Jun) 한국현대문학회 201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0

        박용래는 문명에 의해 사라져가는 풍경들에 주목하면서 그것들이 가지고 있는 갸륵하고 어여쁘고 소박한 측면을 향토적인 언어로 그려내었다. 그러나 그러한 자연현상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것들 속에 숨겨진 기억 속에서만 존재하는 사물들이다. 한 작가가 그리는 풍경은 실제적 지리가 아니고, ‘내면적 지리’ 혹은 ‘주관적 지리’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박용래의 시에 나타나는 고향의 풍경은 단순히 자연 속에 놓여 있는 것이 아니라, 과거와 현재가 섞여 있고, 영혼과 사물이 혼재한 그러한 자연속이다. 이러한 박용래의 시에서 ‘물’은 무엇보다 그의 ‘전원으로의 귀소(歸巢)의 설계’를 매개하는 뚜렷한 이미지이다. 물이라는 심상은 그 안에서 우리가 우리 자신을 직접 ‘체함’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물의 이미지는 먼저 ‘접분(接分)의 상상력’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사물과 인간을 자기의 욕망으로만 끌어들이지 않고 표면과 이면의 경계에 자신을 위치시킴으로써 자신의 근원적인 고독의 발원지인 과거와 그 흔적이 사라져가고 있는 현재를 잇고자 함이다. 박용래는 자신의 감정을 철저하게 배제한 채 그것들을 응시함으로써 가물가물 사라지고 있는 지나간 시간과 그것들이 존재하지 않는 현실의 시간을 짜맞추어나간다. 또한 그의 시에서 나타나는 극소량의 물의 이미지인 이슬, 눈물, 샘물 등은 정화(淨化)의 심리학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외적 경험에 속해 있는 것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우리는 박용래의 이러한 역동적인 물 이미지에서 정화를 통해 풍부하고 혁신적인 다가치(多價値)의 힘을 발견할 수가 있다. 그리고 그 역동적인 물은 그 신선한 실체의 반영으로 우리를 인도하며 우리 자신을 생명의 에너지로 충만하게 한다. 본고는 이와 같이 박용래의 시에 나타난 전원의 의미와 물의 이미지를 통해 허물어진 세계를 상상력으로 일으켜 세우고자 하는 의지적인 “전원으로의 귀소(歸巢)의 설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Yongrae Park focused on landscapes that have been disappeared by civilization and wrote the praiseworthy, beauty, and rustic aspect of the landscapes through rural words. However, more important thing than these kinds of natural phenomena is something being inside of the memories hid in the natural phenomena. The landscape, which a writer expresses, can be said ‘inner geography’ or ‘personal geography,’ not an actual geography. Therefore, the landscape of a hometown that the Yongrae Park’s poetry shows is not existing in a nature. It is existing in another nature that the past and present are mixed and souls and things are mixed in a complex. In Yongrae Park’s poem, ‘Water’ is the distinguished image carrying his ‘the homing design as a pastoral. It is because that the image of water is, inside of it, that we directly ‘experience’ ourselves. First of all, the image of water comes up as ‘the imagination of the Meeting and Dividing of Objects.’ This does not rope things and humans in only one’s desire, but it is to forget the past, which is one’s source of underlying loneliness, and the present, which its trace is disappearing, through locating oneself on the boundary of the surface and the other side. Yongrae Park interknits the passed time, dimly disappearing, and the present time that the passed time does not exist anymore by staring at the passed time without his emotions thoroughly. Also, dew, tear, and spring water, which were shown in his poetry as a thimbleful of water, are included in the purification of psychology, and these show different phase from the things belonged in external experiences. We can find out the plentiful and innovational power of lots of values through the dynamic water image. Furthermore, the dynamic water image leads us to the reflection of the fresh noumenon, and the image makes us plentiful of the energy of a life. This treatise, like above, tried to understand that volitional “the homing design as a pastoral” to set up the world destroyed by imagination, through the meaning of pastoral and the image of water that were shown in Yongrae Park’s poem.

      • KCI등재후보

        수온별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스트레스 반응 및 산소소비 변화

        박형준,김성연,양성진,민병화,Park, Hyung-Jun,Kim, Sung-Yeon,Yang, Sung-Jin,Min, Byung-Hwa 한국해양생명과학회 2017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Vol.2 No.1

        This study investigated physiological and hematological changes, expression of stress protein Hsp70 mRNA and oxygen consumption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fter exposing the fish at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9, 12, 15, 18 and 21℃) for 24 and 48 hours. Hematological parameters including hematocrit (Ht) and hemoglobin (Hb), cortisol and gluco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NH<sub>3</sub>, osmolality and total protein (TP) mostly exhibited significant changes at 9 and 12℃. The expression of Hsp70 mRNA was also higher at 9 and 12℃ than at other temperatures. The measured oxygen consumptions were also lower at 9 and 12℃ than at 21℃.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results could be utilized as baseline data to control water temperature during long-distance transportation, e.g. for exporting olive flounder juveniles to overseas.

      • KCI등재

        방사선 위치 검출센서의 제작 및 특성

        박형준,김인수,Park, Hyung-Jun,Kim, In-Su 한국전기전자학회 2015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19 No.4

        디지털 X-선 촬영 장치에 응용되는 MSGC형 검출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기판의 재질은 실리콘기판과 유리기판을 사용하였으며, 기판위에 증착된 전극물질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였으며, 크롬을 전극의 재료를 이용하였다. 양전극의 폭은 $10{\mu}m$, 음전극의 폭은 $290{\mu}m$로 각각 제작하였다.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의 거리는 $100{\mu}m$ 이고, 검출기의 유효영역은 $50{\times}50mm^2$로 설계하였다. 그리고 양전극의 수는 80개로 하였고, 양전극의 전압이 600 Volt 이상 인가한 경우 양전극과 음전극 부분이 방전되어 끊어진 현상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검출기체인 Ar(90%) + $CH_4$(10%) 기체 하에서 X-선관의 전압은 42 kV, 최대전류 1 mA까지 인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A microstrip gas chamber (MSGC), applied to digital radiography system,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The microstrip electrodes were fabricated with Chrome(Cr.). by photolithography process on Silicon(Si) wafer and glass substrate. The width of anode and cathode electrodes was $10{\mu}m$, and $290{\mu}m$, respectively. The distance of the electrodes was $100{\mu}m$, and the active area was $50{\times}50mm^2$. And the number of anode was 80. The microstrip electrodes were damaged when discharges occurred over the 600 V of anode voltage. As the result of experiments. It detected the typical output signals of the pulse width, 20 n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detecting gas was Ar(90%) + $CH_4$(10%), X-ray tube voltage was 42 kV, and tube current was 1 mA.

      • KCI등재

        지진에 의한 외상 후 스트레스 수준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형준,Park, Hyung-Jun 한국재난정보학회 2020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6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포항 지진피해를 경험한 포항시민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수준이 외상 후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나아가 외상 후 스트레스 수준과 외상 후 성장간의 인과 관계에 있어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포항지진을 경험한 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조사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 수준은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에 있어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문제해결중심과 사회적지지 추구방식은 매개효과가 있었지만 회피중심 방식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진과 같은 재난으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 수준은 대처 방식이 문제해결중심이고 사회적지지 추구 방식일수록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외상 후 성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Pohang citizens who experienced Pohang earthquake da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se post-traumatic stress level affect post-traumatic growth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level and post-traumatic growth.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citizens who experienced Pohang earthquake, and the survey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Result: Post traumatic stress level has been shown to affect post traumatic growth.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method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the problem solving center and the social support method had a mediating effect, but the evasion method did not mediate. Conclusion: The post-traumatic stress level caused by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was found to be able to overcome the obstacle and grow after trauma, as the coping method is problem solving and social support.

      • KCI등재

        직무특성과 환경변화에 따른 대통령의 국정가치 변화분석 -이명박 정부의 사례 중심으로-

        임주영 ( Joo Young Lim ),박형준 ( Hyung Jun Park ) 한국정책학회 2015 韓國政策學會報 Vol.24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정책과정의 핵심 행위자인 대통령 개인의 환경변화와 이에 따른 가치 변화여부 그리고 대통령의 직무적 특수성에서 기인되는 국정가치 변화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즉, 대선 후보자인 행정외부인에서 대통령직 당선 후 행정 내부인으로의 직위변화에 따라 행정수반으로 국가원수로 헌법 수호자로 대통령의 개별 직무적 특성에 부합되는 국정가치들이 임기 시점별로 다양한 외부 환경 변화에 의해 상대적 중요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통령은 헌법에 규정된 직무를 수행하는 1인 국가 기관으로 강력한 정치적 기반을 소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 원수로서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한 폭넓은 권한이 부여되어 있다. 따라서 대통령이 인식하고 있는 국정가치의 우선순위에 따라 국정운영의 거시적방향 및 세부 내용 또한 규정된다. 이에, 대통령이 행정부의 수반으로 정당의 수장으로 헌법의 수호자로 어떠한 직분에 우선을 두는가는 정책결정과 같은 실질적인 국정운영에 영향을 주게 된다. 즉, 국정운영의 거시적 틀을 규정하고 있는 국정가치에 대한 사전적이해 없이는 국정운영에 대한 영속성과 안전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이는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저하로 이어져 국정운영 동력을 유실하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통령 직무 수행의 특수성을 대변할 수 있는 국정가치 존재여부의 확인을 통해, 국정가치를 지향하는 정부 운영의 실무적 함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Rosenbloom(1990)이 제시한 공공행정의 접근법인 관리적.정치적.법적 가치 분류를 기반으로, 대통령의 공식 언어인 각종 연설문과 토론 자료에 대한 내용분석(contents analysis)을 시행하여 가치추출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대통령의 국정수행의 특수성을 대변하는 일관된 가치흐름은 존재하지 않는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통령 국정운영 시 판단잣대로 작용하는 국정가치는 대내외 환경적 요인에 민감히 반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가치별 속성을 비교해 보았을 때, 관리적 가치와 정치적 가치는 상호 상반된 흐름을 보이며 대립된 관계선상에 존재하였다. 이에 반해, 법적 가치는 급격한 변화 없이 일관된 기조를 유지하며 법의 원칙(rule oflaws)이 모든 국정운영의 근간이 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researched the changes seen in the main governing value after the position transition from a presidential candidate to the president after winning from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if a certain governing value exists by considering what the main governing values the president as the chief person charging public administration puts the priority to with the president's statue as the head of administration, the head of state and the guardian of Constitution defined in current Constitution.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the frequency analysis on the words and the contents used by the president in speech texts and discussion meetings around President Lee Myung Bak's case and drew out major governing values by period, and investigated the changes in governing values before and after the presidential term through the process matching them with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in time-series. As the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a certain governing value to represent as the presidential administration's internal value didn't exist. But for the President Lee Myung Bak, during the period of presidential candidate, he showed the appearance considering the efficiency & effectiveness-centering management value importantly, but after winn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his public administrative operation's first priority value was continually changed under the influences of domestic and foreign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process conducting practical public affairs. Also, it was found that the public administrative values to be represented as the management, political, law & juridical values showed the characteristics reflecting their own attributes during the presidential term. For the management value to be represented as the efficiency and the effectiveness and the political value to be represented as the democratic value, the both values didn't mutually coexist, but showed conflicting flows.

      • KCI등재

        Plans of Embodying Peace City Incheon Through Sports Exchanges and Cooperation

        Hyung-Jun Park(박형준),Heung-Tae Kim(김흥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8 No.3

        본 논문은 스포츠교류협력을 통한 인천 평화도시 구현방안(: 2014인천아시안게임을 통한) 고찰을 연구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종 자료 및 문헌 등의 분석과 고찰을 통한 문헌고찰 방법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스포츠교류협력을 통한 인천 평화도시 구현방안(: 2014인천아시안게임을 통한) 고찰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시는 국제성과 다문화성, 그리고 해양성과 편리한 접근성의 특성을 통한 국제적인 평화도시 추진을 모색하여야 하겠다. 둘째, 인천은 스포츠교류협력을 통한 아시아 및 남북한 평화공동체 실현에 거점도시 역할이 가능하다. 셋째,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유치를 통해 OCA와 협력하여 추진한 비전2014프로그램을 발전적으로 계승한 인천 평화비전 프로젝트 추진이 필요하다. 넷째, 인천평화 비전 프로젝트의 일환인 원 아시아 프로그램(:인천 아시아 평화비전 프로그램)은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유산 확산방안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인천 평화 비전 프로젝트의 또 다른 일환인 원 코리아프로그램(:인천 남북한 평화비전 프로그램) 역시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유산 확산방안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인천 평화 비전 프로젝트 추진의 효율성을 위해 전담조직인 가칭 인천평화비전재단 발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 study on the plans of embodying peace city Incheon through sports exchanges and cooperation(: Through the 2014 Incheon Asian Gam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including various materials and literature through the study and analysis of how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plans of embodying peace city Incheon through sports exchanges and cooperation(: Through the 2014 Incheon Asian Games) throug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cheon tries to find the promotion of international peace city through the properties of internationalism, multiculturalism, ocean, and convenient access to the city. Second, This role can be based in urban communities achieve peace in Asia and North and South Korea through Incheon sports exchanges and cooperation. Third, the Incheon peace vision project which successes the 2014 vision program, impelled to cooperate with the OCA through hosting the 2014 Incheon Asian Games, is necessary to drive. Fourth, The One Asia Program(: Incheon Asia peace vision program) is necessary to push ahead as promotion ways of the Incheon Asian games, promotion peace in troubled parts, and support for the sports weaker nations. Fifth, The One Korea Program(: Incheon Inter-Korea peace vision program) is necessary to push ahead as promotion ways of the Incheon Asian games, promotion peace in troubled parts, and support for the sports weaker nations. Sixth, Tentatively named the Incheon Peace Vision project Foundation for increasing the promotion of the Incheon Peace Vision project efficiency is necessary to start.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과 『생활국어』 교과서의 관계성에 관한 비판적 고찰: 7,8,9학년의 듣기,말하기 영역을 중심으로

        박형준 ( Hyung Jun Park ),전은주 ( Eun Joo Jeo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8 중등교육연구 Vol.56 No.3

        이 논문의 목적은 개정된 국어과 교육과정에 적합한『국어』교과서 개발 담론을 생성하기 위해서『생활국어』교과서의 듣기·말하기 영역을 중심으로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생활국어』교과서의 내용 관계성 여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생활국어』교과서는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7, 8, 9학년 듣기·말하기 영역을 중심으로 『생활국어』교과서와의 관련 양상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관계성 분석을 위한 기준은 목표 및 내용 반영의 적절성 여부와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내용의 반영성 여부이다. 이 기준을 바탕으로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 영역과 『생활국어』 교과서 듣기·말하기 단원의 관련 양상을 고찰한 결과, (1) 교육과정 내용이 교과서의 단원 목표 및 내용으로 반영되는 정도는 매우 높았으나, 표면적인 반영 외에 교육과정 내용과 단원 목표 및 내용 사이의 연계는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내용이 교과서에 실제성 있게 반영되지 못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nection between listening-speaking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the 7th, 8th and 9th grades and the ``Korean Language in Practice`` Textbook in terms of ``proper reflection of the purpose and contents`` and ``reflection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contents``. As a result,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each grade was highly reflected by the unit objectives and contents in the ``Korean Language in Practice`` Textbook. However, the reflection score, on the surface, or reflectivity of the curriculum contents does not guarantee a proper connection between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unit objectives and/or contents. Besides, the tutorial handbook for ``Korean Language in Practice`` does not provide practical illustrations and materials for teaching-learning contents, although the tutorial should reflect them as suggest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Solution to these problems will be as follows; (1) a new textbook for the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should not simply reflect the curriculum itself but consider the suitability of the curriculum contents, objectives/contents of a unit, and finally contents of an integrated unit. (2) Listening-speaking, among various fiel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articular, emphasizes the context and authenticity of a discourse. Therefore, proper illustrations and explanations should be provided for teaching-learning methods, assessment plan, and contents of assessment education.

      • KCI등재

        1차 교육과정 『중학국어』 교과서의 개편 양상에 관한 문헌학적 연구

        박형준 ( Park Hyung-jun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2 청람어문교육 Vol.- No.85

        이 논문은 1차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편찬된 중학교 국어교과서 『중학국어』 1~6책의 ‘1956년 판본’과 ‘수시 개정 판본’을 조사하여 문헌학적 측면에서 실증함으로써, 전후(戰後) 국정 교과서 ‘수정·보완’의 사회적 배경과 변화 양상을 고찰한 연구이다. ‘1956년 판’ 『중학국어』는 내·외적 체제의 문제로 인해 수시 개편이 이루어진다. 조사 결과, 1차 교육과정 『중학국어』 교과서의 판본은 크게 ‘1956~1958년 판’과 ‘1959~1962년 판’으로 나눌 수 있었다. 두 판본의 변화 양상을 교과서 내·외적 체제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두 판본의 외적 체제는 동일한 판형, 활자, 행수를 보여주고 있으나, ‘1959~1962년 판’에서는 표지가 전면 교체되고 글의 ‘가독성’을 높이는 노력이 있었다. 다음으로, 『중학국어』 1~6책 ‘1956~1958년 판’과 ‘1959~1962년 판’의 내적 체제의 변화 양상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목표 중심 단원 구성방식이 강조될 수 있도록 내적 체제가 보완되었다. 둘째, 학습 용어를 정확하게 수정하고, 학습 내용도 가독성을 높일 수 있도록 보완되었다. 셋째, 『중학국어』 학습제재, 본문 내용, 학습활동 조정을 통해 교육 내용을 재구조화하고자 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1956 edition' and 'revision edition' of books 1 to 6 of the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 compiled according to the first curriculum, and verifies it from a philological point of view. First, the external system of the '1956-1958 edition' and the '1959-1962 edition' shows the same edition, type, and number of lines. However, in the case of the '1959-1962 e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readability' has been improved and the cover has been completely replaced. Next, the reorganization aspect of the internal system of the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 1 to 6 '1956-1958 edition' and '1959-1962 edition'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First, the unit structure was changed to focus on goals. Second, the learning terms were corrected accurately, and the learning contents improved readability. Third, we tried to restructure the content through learning sanctions, text content, and learning activity adju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