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코로나19 가을철 재유행 대비 긴급점검 좌담회: 시립병원 대응 중심

        임준,소예경,권영대,권용선,김병관,박찬병,송관영,윤상철,이병철,유창훈 서울시공공보건의료재단 2020 SEOUL HEALTH ON AIR 건강정책동향 Vol.1 No.7

        서울시공공보건의료재단에서는 9월 24일 코로나19 가을철 재유행 대비 긴급 좌담회를 개최하였다. ‘시립병원’을 중심으로 현재까지의 경험을 평가하고 다가올 재유행에 대비하기 위해 (1) 코로나 시대 공공의료의 전략적 의미 (2) 코로나 시대 시립병원의 역할 및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임준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센터장, 소예경 서울시공공보건의료재단 선임연구위원이 발표를, 권영대 가톨릭대학교 교수, 권용선 서울시 시립병원운영팀장, 김병관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장, 박찬병 서울특별시서북병원장, 송관영 서울특별시서울의료원장, 윤상철 갈렙앤컴퍼니대표, 이병철 서울특별시시립병원혁신센터 설립추진단 부단장이 함께 토론을 하였다. 본고는 논의된 핵심내용을 재정리한 것으로, 코로나 시대 서울시립병원은 병원별 실질적 협력체계 구축, 경증환자 대상 생활치료센터 확보, 경증환자 대상 새로운 치료방식의 도입 등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 SCOPUSKCI등재

        폐광지성(廢鑛地城) 주민(住民)의 요중(尿中) 카드뮴 농도(濃度)와 현기능평가(賢機能評價)

        박정덕,박찬병,최병선,강은용,홍연표,장임원,천병렬,예민해,Park, Jung-Duck,Park, Chan-Byung,Choi, Byung-Sun,Kang, Eun-Yong,Hong, Yeon-Pyo,Chang, Im-Won,Chun, Byung-Yeol,Yeh, Min-Hae 대한예방의학회 1998 예방의학회지 Vol.31 No.3

        1995년 8월부터 12월 사이에 미량의 카드뮴에 오염된 것으로 밝혀진 폐광 인근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지역주민 184명(남자: 82명, 여자: 102명)을 대상으로 카드뮴에 의한 만성적인 폭로와 신기능장애를 평가하기 위하여 요중 카드뮴과 NAG활성도, $\beta_2MG$배설량 및 총단백질량을 정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때 특별히 카드뮴에 폭로된 적이 없는 일반주민 160명(남자 : 64명, 여자 : 96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남자의 경우 폭로군의 요중 평균 카드뮴농도는 $2.56{\mu}g/\ell,\;2.80{\mu}g/g$ creatinine 및 $2.50{\mu}g/S.G.$, 대조군은 $1.19{\mu}g/\ell,\;1.36{\mu}g/g$ creatinine 및 $1.17{\mu}g/S.G.$ 였고, 여자에서는 폭로군 $2.69{\mu}g/\ell,\;3.94{\mu}g/g$ creatinine 및 $2.63{\mu}g/S.G.$, 대조군 $1.27{\mu}g/\ell,\;1.97{\mu}g/g$ creatinine 및 $1.25{\mu}g/S.G.$로서 폭로군이 대조군에 비해 남 여 모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연령에 따른 요중 평균 카드뮴 농도는 남자의 경우 $20\sim39$세군에서는 폭로군과 대조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40\sim59$세군과 60세 이상군에서는 폭로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여자에서는 폭로군이 대조군에 비해 모든 연령층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폭로군에 있어서 조사대상 지역에 거주한 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이 지역에서 생산된 쌀과 채소류를 섭취하는 사람들의 요중 카드뮴 농도가 높게 나타나, 폐광 인근 지역주민들이 미량이지만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카드뮴에 만성적으로 폭로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폭로군과 대조군의 요중 평균 NAG활성도, $\beta_2-MG$ 배설량 및 총단백질량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폭로군에서 요중 NAG활성도와 총단백질량은 요중 카드뮴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상관이 있었으나 $\beta_2-MG$ 배설량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2.0 미만군, 2.0이상 10.0미만군, 10.0이상군으로 구분한 요중 카드뮴 농도수준에 따른 분석시 요중 카드뮴 2.0미만군에 비해 10.0이상군의 NAG활성도, $\beta_2-MG$배설량 및 총단백량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NAG활성도는 2.0이상 10.0미만군에서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즉, 폭로군에서 요중 카드뮴 농도에 따른 요중 NAG활성도의 증가가 $\beta_2-MG$배설량의 증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나타나, 향후 카드뮴 폭로군에 대한 색출검사시 $\beta_2-MG$배설량과 함께 NAG활성도를 조사함으로써 조기진단적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Urinary cadmium is used as a sensitive indicator for internal Cd dose, and increased excretion of $N-acetyl-\beta-D-glucosaminidase(NAG)$, $\beta_2-microglobulin(MG)$ and total protein are useful indices for renal dysfunction by chronic exposure to Cd. The target group was 184 inhabitant(82 men and 102 women) in an abandoned mine area known as exposure to low level Cd. The control group was took 160 individuals(64 men and 96 women) in Cd not-exposed area. Urinary Cd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arget group than the control. The geometric mean of urinary Cd for male was $2.56{\mu}g/\ell,\;2.80{\mu}g/g$ creatinine and $2.50{\mu}g/S.G.$ in the target group and $1.19{\mu}g/\ell,\;1.36{\mu}g/g$ creatinine and $1.17{\mu}g/S.G.$ in the control. For female $2.69{\mu}g/\ell,\;3.94{\mu}g/g$ creatinine and $2.63{\mu}g/S.G.$ in the target group and $1.27{\mu}g/\ell,\;1.97{\mu}g/g$ creatinine and $1.25{\mu}g/S.G.$ in the control, respectively. In addition, urinary Cd of the target group had affected by the period of residence and dietary habit for the rice and the vegetables from the target area. These findings suggest the chronic exposure to Cd of the target population. Mean excretion of urinary NAG, $\beta_2-MG$ and total protein were not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In the target group, urinary NAG activity and total protei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urinary Cd, but $\beta_2-MG$ was not related. Urinary excretion of NAG, $\beta_2-MG$ and total protei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10\leqq$ than in <2 of urinary Cd level. In $2\sim10$ group of urinary Cd level, the excretion of NAG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not showed for $\beta_2-MG$. In present study, urinary excretion of NAG was relatively sensitive than $\beta_2-MG$ in chronic exposure population to low level Cd.

      • 공공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연구

        전화연,조영임,고정은,김순오,박찬병,황정례 동남보건대학 2003 論文集-東南保健大學 Vol.21 No.2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job satisfaction of medical center nur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source of data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medical nurses. The sample consisted of 64 nurses of a medical center located in Suwon.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a one month period from September 1 to 30, 2003. The tool used for the study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was Slavitt's job satisfaction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χ^2-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 and Cronbach's alpha by use of the SPSS Win 10.1.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30.00 years old. 42.2% of the respondents were married and 70.3% were graduates of 3-year colleges. 2) The mean job satisfaction level was 3.09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24.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is revealed a 'moderate' satisfaction. Comparing the scores between 7 factors of job satisfaction, the highest score was obtained at the level of professional status(3.60), interaction(3.59), autonomy(3.50), nurse-doctor relationship(3.02), administration(2.81), task requirement(2.70), and pay(2.52) in order. 3) In the correlation among 7 factors of job satisfaction, pay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administration(r= .331, p= .009) and interaction(r=- .305, p= .016). Professional status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nurse-doctor relationship(r= .349, p= .005) and autonomy(r= .497, p= .000). Nurse-doctor relationship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administration(r= .403, p= .001), autonomy(r= .263, p= .038) and task requirement(r= .279, p= .027). Administra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autonomy(r= .311, p= .014) and task requirement(r= .313, p= .013). Autonomy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interaction(r= .390, p= .002). 4) A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on the job satisfaction, married status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professional status(t=-2.801, p= .007) while working place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pay(F=2.847, p= .032), nurse-doctor relationship(F=8.702, p= .000), administration(F=2.857, p= .031) and total job satisfaction(F=3.278, p= .018).

      • SCIESCOPUSKCI등재
      • 빅데이터 기반 서울시 자치구 결핵현황 분석과 활용방안 모색

        서해숙,김종경,홍재락,서정은,조영수,김부연,권오우,박찬병,나백주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8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6 No.0

        목적: 전국 시도의 상황이 다르듯 서울시 자치구 동수준의 결핵상황도 다르기 때문에,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서울시 결핵발생 및 유형구분에 따른 지역별 특성요인 분석을 통해, 결핵발생 고위험 지역의 선제적인 관리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서울시 결핵환자 신고자료(TB-net)와 보험공단의 결핵환자 소득분위별 자료를 통해 사회경제적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결핵 발생현황을 지역별(423개 동), 성별, 연령별로 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일부 자치구를 우선 대상으로 가장 발생률이 높은 고위험 동의 결핵유발원인을 찾고자 다기관 표적인터뷰(FGI)와 결핵환자 심층인터뷰(IDI)를 진행하였고, 동별 결핵 조기발견을 위한 이동검진 우선 지역과 집중 지역을 선정하였다. 성적: 결핵 발생율은 중구, 용산구, 강북구, 종로구, 동대문구 등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동별로는 남영동, 을지로동, 가리봉동, 종로 1-4가동, 회현동 등에서 발생률이 10만명당 150명 이상이었다. 또한 구별 성별 결핵환자 특성 분석을 보면, 발생률은 남자가 여성보다 약 1.5배 이상 높았는데, 대표적으로 구로구 가리봉동, 용산구 남영동, 종로1-4가동이었다. 재치료자 발생률은 모두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 또한 노년층 결핵은 중구 소공동, 영등포구 영등포동, 용산구 남영동, 종로구 1-4가동의 신환자 발생률이 인구 10만명당 400이상이었다. 의료소득수준별 신환자 발생률은 의료급여 수급권자에서 평균보다 4.9배 높았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신환자 발생률은 낮았다. 일부 자치구의 결핵발생률이 높은 지역 현장조사 후 이동검진을 집중한 결과, 빅데이터 활용 전보다 유소견율은 5.8%에서 7.9%로 그리고 객담도말 양성율은 0.9%에서 1.8%로 증가하였다. 결론: 빅데이터는 지역별 결핵발생 고위험 환자를 질병 초기 단계에 개입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결핵관리방안을 마련하는데 활용가치가 있었다.

      • SCIE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도시지역 노인들의 치매유병률에 관한 단면조사연구

        나덕렬,연병길,강연욱,민경복,이수현,이상숙,이미라,표옥정,박찬병,김선민,배상수,김동현,Na, Duk-L.,Yeon, Byeon-Gil,Kang, Yeon-Wook,Min, Kyung-Bok,Lee, Soo-Hyun,Lee, Sang-Suk,Lee, Mi-Ra,Pyo, Ok-Jung,Park, Chan-Byung,Kim, Sun-Mean,Bae, Sang-S 대한예방의학회 1999 예방의학회지 Vol.32 No.3

        Objectives: In Korea, as in most countries, there will be a sharp increase in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in the near future. However basic data on dementia prevalence, which is important in defining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and in implementing preventive strategy, are limi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rate of dementia in the urban elderly aged 65 or older in Kwangmyung, Korea. Methods: A two phase design was used for case finding and case identification. In phase I, a representative sample aged 65 or older was selected and interviewed by door-to-door survey with a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In phase II, Of the 946 subjects interviewed in phase 1,356 elderly were randomly selected disproportionately according to K-MMSE score. Of these elderly, 223 (61.5%) underwent standardized clinical evaluations, including psychiatric interview, neurological examination, an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Dementia was diagnosed by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 criteria.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AD) was made by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and Communicative Disorders and Stroke-Alzheimer's Disease and feinted Disorders Association(NINCDS-ADRDA) criteria and vascular dementia (VD) by DSM-IV. Results: The overall weighted prevalence rate of all dementia among Kwangmyung residents aged 65 or older was 12,8%(age-adjusted rate: 13,0%, 95% Confidence Interval[CI]: 10.6-15.3%). Women had much higher prevalence rate than men even when age was controlled(15.9%[95% CI 12.6-19.2%] vs 7.5%[95% CI 4.0-10.4%]), The rates of dementia were 5.2%, 12.2%, 17.0%, and 34.3% for the age groups of 65-69, 70-74, 75-79 and 80 and over, respectively. The rate of AD appeared to be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VD(5.2% vs 4.8%), 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ost of the cases(69%) were mild dementia according to CDR(<1) in these subject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revalence rate of dementia among urban elderly in Korea appears to be higher than those of other Asian countr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