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항 지역 토양 CO<sub>2</sub>의 분포 및 거동 특성 연구: CO<sub>2</sub> 지중저장 부지 자연 배경 조사 및 예비 해석

        박진영,성기성,유순영,채기탁,이세인,염병우,박권규,김정찬,Park, Jinyoung,Sung, Ki-Sung,Yu, Soonyoung,Chae, Gitak,Lee, Sein,Yum, Byoung-Woo,Park, Kwon Gyu,Kim, Jeong-Chan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6 지하수토양환경 Vol.21 No.1

        Distribution and behavior of baseline soil CO<sub>2</sub> were investigated in a candidate geologic CO<sub>2</sub> storage site in Pohang, with measuring CO<sub>2</sub> concentrations and carbon isotopes in the vadose zone as well as CO<sub>2</sub> fluxes and concentrations through ground surface. This investigation aimed to assess the baseline CO<sub>2</sub> levels and to build the CO<sub>2</sub> monitoring system before injecting CO<sub>2</sub>. The gas in the vadose zone was collected using a peristaltic pump from the depth of 60 cm below ground surface, and stored at gas bags. Then the gas components (CO<sub>2</sub>, O<sub>2</sub>, N<sub>2</sub>, CH<sub>4</sub>) and δ<sup>13</sup>C<sub>CO2</sub> were analyzed using GC and CRDS (cavity ringdown spectroscopy) respectively in laboratory. CO<sub>2</sub> fluxes and CO<sub>2</sub> concentrations through ground surface were measured using Li-COR in field. In result, the median of the CO<sub>2</sub> concentrations in the vadose zone was about 3,000 ppm, and the δ<sup>13</sup>C<sub>CO2</sub> were in the wide range between −36.9‰ and −10.6‰. The results imply that the fate of CO<sub>2</sub> in the vadose zone was affected by soil property and vegetations. CO<sub>2</sub> in sandy or loamy soils originated from the respiration of microorganisms and the decomposition of C<sub>3</sub> plants. In gravel areas, the CO<sub>2</sub> concentrations decreased while the δ<sup>13</sup>C<sub>CO2</sub> increased because of the mixing with the atmospheric gas. In addition, the relation between O<sub>2</sub> and CO<sub>2</sub>, N<sub>2</sub>, and the relation between N<sub>2</sub>/O<sub>2</sub> and CO<sub>2</sub> implied that the gases in the vadose zone dissolved in the infiltrating precipitation or the soil moisture. The median CO<sub>2</sub> flux through ground surface was 2.9 g/m<sup>2</sup>/d which is lower than the reported soil CO<sub>2</sub> fluxes in areas with temperate climates. CO<sub>2</sub> fluxes measured in sandy and loamy soil areas were higher (median 5.2 g/m<sup>2</sup>/d) than those in gravel areas (2.6 g/m<sup>2</sup>/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sub>2</sub> fluxes and concentrations suggested that the transport of CO<sub>2</sub> from the vadose zone to ground surface was dominated by diffusion in the study area. In gravel areas, the mixing with atmospheric gases was significant. Based on this study result, a soil monitoring procedure has been established for a candidate geologic CO<sub>2</sub> storage site. Also, this study result provides ideas for innovating soil monitoring technologies.

      • Extragonadal Intraabdominal Mixed Germ Cell Tumor with Liver Metastasis: Successful Treatment and Long-term Follow-up

        박진영,Park, Jinyoung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2013 소아외과 Vol.19 No.1

        성선 외 생식세포종양은 비교적 드물어 모든 생식세포종양의 5% 미만을 차지한다. 주로 천미부생식세포종양이 골반부나 후복막으로 확장된 경우가 대부분이며, 후복막이나 복강 내에 발생하는 생식세포종양은 매우 드물다. 저자는 복부 종괴를 주소로 내원한 18개월 된 여아에서 간 전이를 동반한 복강 내 혼합 생식세포종양을 치료하였다. 복부 초음파 및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복부 좌상사분역에 석회화, 고형 및 지방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낭성 종괴와 간에 1cm 크기의 결절이 관찰되었다. 종괴는 개복 후 제거되었으며, 병리조직학적으로 대부분의 내배엽동 종양과 적은 성숙 기형종으로 구성된 혼합 생식세포종양으로 진단되었으며, 간의 전이병변도 동일하게 진단되었다.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으며, 환자는 현재 수술 후 10년이 경과하였으나 재발의 소견은 없다.

      • KCI등재

        지중저장 조건에서 초임계CO<sub>2</sub>에 의한 포항분지 사암과 이암의 지화학적 풍화반응 연구

        박진영,이민희,왕수균,Park, Jinyoung,Lee, Minhee,Wang, Sookyu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3 자원환경지질 Vol.46 No.3

        국내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후보지인 포항분지의 심부 대수층 구성하고 있는 사암과 이암을 대상으로 초임계$CO_2$ 반응에 의한 암석의 지화학적/광물학적 풍화를 규명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고압셀 장치를 사용하여 실험실 규모의 $CO_2$ 지중저장 조건을 모사하였으며, 시추한 포항분지 암석이 미고결 상태임을 감안하여 암석시료는 입자상으로 분쇄하여 시료 30 g과 지하수 100 ml를 고압셀(200 ml 용량)에 넣고 100 bar, $50^{\circ}C$ 조건에서 총 60일 동안 반응시켜, 초임계$CO_2$ 주입 시 포항분지 심부 사암층과 이암층 내에서 발생하는 초임계$CO_2$-암석-지하수반응을 재현하였다. 반응 후 10일, 30일, 60일 간격으로 시료를 회수하여 암석의 지화학적 풍화 정도를 정량화하기 위한 XRD(X-Ray Diffractometer), BET(Brunauer-Emmett-Teller) 분석을 실시하였고, 암석 슬랩($15mm{\times}40mm{\times}5mm$)을 같은 지중 조건에서 반응시켜 반응시간에 따른 지하수시료의 용존 이온 농도 변화를 ICP/OES로 분석하였다. XRD 분석결과, 초임계$CO_2$-암석-지하수반응에 의해 사암과 이암을 구성하는 광물 중 사장석과 정장석(기질의 장석류 포함)의 비율이 가장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암의 경우 점토광물인 일라이트, 스멕타이트, 황철석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이암의 경우 일라이트, 카오리나이트, 칼슘을 함유한 불소인회석 비율이 증가하였다. 반응시간에 따른 지하수 이온 농도 분석결과, 사암과 이암에서 방해석과 장석류의 용해가 가장 활발히 일어나 지하수 내 $Ca^{2+}$, $Na^+$농도가 증가하였다. $K^+$, $Si^{4+}$, $Mg^{2+}$ 같은 이온들의 농도는 반응시간 동안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였는데, 이는 암석의 용해와 2차 광물의 침전이 함께 일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사암과 이암 입자의 비표면적은 반응 60일 후까지 각각 $27.3m^2/g$과 $19.6m^2/g$에서 $28.6m^2/g$과 $26.6m^2/g$으로 증가하였으며, 미세공극의 평균 크기는 각각 $72.6{\AA}$, $96.7{\AA}$에서 $68.4{\AA}$과 $75.8{\AA}$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초임계$CO_2$-암석-지하수반응에 의해 입자 표면이 용해되면서 미세 공극들이 추가로 형성되어 비표면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포항분지 사암에 $CO_2$를 지중 주입하는 경우, 암석의 용해 및 침전반응에 의한 대상암석의 물성변화가 지중저장의 효율성과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Laboratory experiments for the reaction with supercritical $CO_2$ under the $CO_2$ sequestration condition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weathering process of the sandstones and mudstones in the Pohang basin. To simulate the supercritical $CO_2$-rock-groundwater reaction, rock sample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pulverized and the high pressurized cell (200 ml of capacity) was filled with 100 ml of groundwater and 30 g of powdered rock samples. The void space of the high pressurized cell was saturated with the supercritical $CO_2$ and maintained at 100 bar and $50^{\circ}C$ for 60 days. The changes of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properties of rocks were measured by using XRD (X-Ray Diffractometer) and BET (Brunauer-Emmett-Teller). Concentrations of dissolved cations in groundwater were also measured for 60 days of the supercritical $CO_2$-rock-groundwater reaction. Results of XRD analyses indicated that the proportion of plagioclase and K-feldspar in the sandstone de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illite, pyrite and smectite increased during the reaction. In the case of mudstone, the proportion of illite and kaolinite and cabonate-fluorapatite increased during the reaction. Concentration of $Ca^{2+}$ and $Na^+$ dissolved in groundwater increased during the reaction, suggesting that calcite and feldspars of the sandstone and mudstone would be significantly dissolved when it contacts with supercritical $CO_2$ and groundwater at $CO_2$ sequestration sites in Pohang basin. The average specific surface area of sandstone and mudstone using BET analysis increased from $27.3m^2/g$ and $19.6m^2/g$ to $28.6m^2/g$ and $26.6m^2/g$,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size of micro scale void spaces for the sandstone and mudstone decreased over 60 days reaction,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micro pore spaces of rocks by the dissolution.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jection of supercritical $CO_2$ in Pohang basin would affect the physical property change of rocks and also $CO_2$ storage capacity in Pohang basin.

      • KCI등재

        석탄층 메탄가스 저류층의 유정생산시험 설계 및 수행절차 수립연구

        박진영,이정환,Park, Jinyoung,Lee, Jeonghwa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3 자원환경지질 Vol.46 No.4

        석탄층 메탄가스(coalbed methane; CBM)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생산성과 경제성을 좌우하는 절대투과도(absolute permeability)를 산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절대투과도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코어분석(core analysis)과 유정생산 시험(well test) 등이 있다. 하지만 코어분석을 통해 도출된 절대투과도는 CBM 저류층을 대표할 수 없기에 일반적으로 유정생산시험을 통해 절대투과도가 산출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BM 저류층에 적용 가능한 유정생산시험을 분류하고 각 시험기법별 특성 및 장 단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유정생산시험 설계 및 수행절차를 수립하였으며, 유정생산시험 수행 후 취득된 자료를 통해 절대투과도와 손상지수(skin factor)와 같은 저류층 물성을 도출하기 위한 자료해석 절차를 제시하였다. The most critical factor in developing coalbed methane(CBM) reservoir is absolute permeability. Both productivity and economics of the CBM depend on the absolute permeability. The methods to estimate it are core analysis and well test. However, absolute permeability determined by core analysis cannot be a good representative of CBM reservoir. Therefore, it is generally estimated by well test. In this study, well test methods applicable of CBM reservoir were classified with their characteristics. Merits and demerits of each well tests were also analyzed. Based on those parameters, design considerations and procedures of well test were derived. After each well tests was performed, the procedure of well test interpretations to estimate reservoir properties such as absolute permeability and skin factor was presented.

      • 2세 남아에서 발생한 공장 해면혈관종의 복강경 보조절제

        박진영,Park, Jinyoung 대한소아외과학회 2012 소아외과 Vol.18 No.1

        Although hemangiomas are common vascular tumors that can occur anywhere in the body, they seldom involve the gastrointestinal tract. Hemangioma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infants and children are rare benign vascular tumors that most commonly present with gastrointestinal bleeding. We describe here the case of 2-year-old boy with intestinal bleeding caused by a large jejunal cavernous hemangioma, which was treated by laparoscopy-assisted resection of the affected portion of the jejunum.

      • KCI등재후보

        일부지역 유방촬영장치의 현황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박진영(JinYoung Park),백성민(Seongmin Baek) 한국방사선학회 201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6 No.2

        일부지역의 전체 유방촬영장치는 205대가 설치·사용되고 있었으며 종합병원에는 36대, 병원 53대, 의원은 116대가 사용되고 있었다. 즉, 의원의 비중이 전체의 50%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영상획득방법 별에서는 필름 스크린(film screen)이 131대, 컴퓨터 방사선촬영장치(computed radipgraphy)가 67대, 디지털 방사선촬영장치(digital radiography)가 7대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는 주로 필름 스크린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었다. target/filter의 재료는 대부분 Mo/Mo이 사용되었으며(66%), 그 다음으로는 Mo/Rh이 사용되고 있었다(25%). 초점의 크기는 소초점용은 0.1 mm, 대초점으로는 0.3 mm를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250 mammographic units in total installed and used in the areas for this study, and 36 units were used in general hospitals, 53 units in hospitals and 116 units in clinics. That is, the units in clinics accounted for 50% out of the whole units. As for the image acquisition method, it was found there were 131 units using F/S, 67 units using CR and 7 units using DR respectively. At present, F/S system was mainly used in the areas. As for the materials of target/filter, it was found that Mo/Mo was mostly used (66%), followed by Mo/Rh (25%). As for the size of focus, both 0.1 mm for small focus and 0.3 mm for large focus were mainly used for the units.

      • KCI등재

        대학생 대상 문화예술창의성 도구 개발 연구

        박진영 ( Jinyoung Park ),이정숙 ( Jeongsook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반영하여 A대학의 대학생이 갖추어할 문화예술 창의성 역량 진단을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4차 산업혁명시대 핵심역량 및 문화예술창의성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예비문항 55개를 설정하였고, 구성된 예비문항에 대해 대학교수 15명, 산업체 15명 등 총 3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문항에 대한 삭제와 추가, 수정 등이 이루어졌다. 수정 보완된 문항수 또한 55개로 동일한데, 이 문항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해 A대학교 838명의 자료를 토대로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항의 내적 일치도 계수는 기준치 이상이었고,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4개 요인 도출,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모형적합도가 충족되었다. 본 연구결과, 문화예술창의성에 대해 자기표현 12문항, 감성능력 7문항, 자긍심 8문항, 창의성 7문항 등 4개 요인, 34개 문항으로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4차 산업혁명시대 요구되는 문화예술창의성역량을 진단하는 도구로 이용될 수 있는 점, 문화예술창의성 관련 대학생 핵심역량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는 타 대학들에 기초모델을 제공하는 등의 활용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ulture and arts creativity scale and verify the validity of that to be expected in the 4th industrial period for university students.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study were as follows. The 55 preliminary scales of culture and arts creativity were derived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ore competency of the 4th industrial period and culture and arts creativity. The delphi survey was performed by 15 professors and 15 industry worker. Through this process, scales were added, modified, and deleted. And as a result, 55 scales were used in the survey.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final question and the validity, 838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and correla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of the item was more than the standard value, four factor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odel fit was satisfied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 total of 34 questions were confirmed, including 12 questions for self-expression, 7 questions for sensitive ability, 8 questions for pride, and 7 questions for creativity as a culture and arts creativity instru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easure to understand the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it can help in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 models of other universities that want to develop university students competency scales.

      • 김치냉장고 발화 원인 분석

        박진영(Jinyoung Park),김태원(Kim Tae Won),박광묵(Park Kwang Muk),홍성준(Hong Sung Jun),방선배(Bang Sun Bae)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5

        화재가 자주 발생하는 W사의 김치냉장고의 화재 원인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컴프레셔 구동용 릴레이의 접점에서 발생한 아크로 인해 전극 사이의 절연물이 열화되어 트래킹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