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마트팜을 위한 고장 감내 제어시스템

        박지우,이상현,이동훈,윤일규,이은주,김은성 순천향대학교 부설 산업기술연구소 2021 순천향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27 No.2

        Korean agriculture is currently in a crisis. Because of the problems such as COVID-19,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declining farm population, and aging people in rural areas, it makes the future of Korean agriculture hopeless.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solve the problem of Korean agriculture, and smart farms based on automation system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If such a control system fails, the entire system becomes inoperable, causing serious problems. This paper implements fault tolerance control systems that enable normal system operation even if such a control system failure occurs. This paper designs a system by selecting a redundancy method with excellent resource efficiency.

      • 가상기계를 위한 네이티브 인터페이스 정의 언어

        박지우,이창환,오세만 한국정보과학회 프로그래밍언어연구회 2007 프로그래밍언어논문지 Vol.21 No.1

        가상기계란 하드웨어로 이루어진 물리적인 시스템과는 달리 소프트웨어로 제작되어 논리적인 시스템 구성을 갖는 개념적인 컴퓨터이다 가상기계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플랫폼 독립적인 장점이 있지만 가상기계에서 제공하지 않는 플랫폼 의존적인 기능은 사용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상기계 환경에서는 일반적으로 네이티브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공된 네이티브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된 네이티브 함수를 가상기계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네이티브 함수를 위한 정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네이티브 함수를 위한 정보를 용이하게 생성하기 위해 네이티브 인터페이스 정의 언어와 언어로부터 네이티브 인터페이스 사용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는 컴파일러를 설계 및 구현한다 구현된 컴파일러의 결과인 네이티브 함수를 위한 정보는 가상기계 환경의 내부 표현으로 생성되며 생성된 정보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가상기계인 에 적용하여 검증한다 제안 된 언어와 컴파일러를 통해 가상기계 개발자가 네이티브 함수를 위한 정보를 직접 작성하는 부담을 줄이고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Effect of Plant Growth Retardants on Growth and Flowering of Minuartia laricina (L.) Mattf.

        박지우,신운섭,오혜진,이상인,권예은,조원우,이효범,정미진,이승연 한국화훼학회 2022 화훼연구 Vol.30 No.3

        Minuartia laricina (L.) Mattf. is a Korean native plant with high potential as a commercial flowering potted plant due to its compactness and long flowering duration. However, because this plant is a groundcover, it is susceptible to lodging and leggy growth.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lant growth retardants (PGRs) on the inhibition of stem elongation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M. laricina. Commercial products, Trimmit, Cycocel, and B-Nine, were used for the exogenous PGR application of paclobutrazol (PBZ), chlormequat chloride (CCC), and daminozide (DMZ), respectively. Application concentrations were 50 and 100 mg·L-1 for PBZ; 100, 500, and 1,000 mg・L-1 for CCC; and 500, 1,000, and 2,000 mg·L-1 for DMZ. Paclobutrazol was the only PGR that inhibited stem elongation. The stem lengths of the plants treated with 50 or 100 mg·L-1 PBZ were 2.2 cm (13%) or 9.8 cm (57%) shorter, respectively, than those of the control. 50 mg·L-1 PBZ retarded stem growth effectively without negatively affecting flowering or other growth parameters, whereas 100 mg·L-1 PBZ caused excessive dwarfing and significantly reduced flowering by 59%. CCC and DMZ applications were ineffective for growth control. Flowering time was accelerated with most PGRs, except for 2,000 mg·L-1 DMZ, reducing the time to flowering by 2–8 day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tem growth of M. laricina was successfully inhibited with PBZ but not with CCC or DMZ. Thus, we concluded that a single application of 50 mg·L-1 PBZ or similar treatment is effective in miniaturizing M. laricina without causing harm to its growth or aesthetic value, such as the flower number. Additionally, because CCC and DMZ are not persistent in the growing medium, testing multiple application times for these PGRs is crucial.

      • KCI등재

        연기자의 C·G 환경 수용에 대한 연구

        박지우,오세곤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0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9 No.-

        So far, when we explain the method to train acting, we have separated the training methods such as the training method for stage acting necessary to have large expressions, and the training method for camera acting necessary to have detailed expressions, and then we have perceived them just as they are training methods in different areas. However, now, it is the time to understand them as a single acting training by going back to the theoretical aspect. With the change of the time, the actors’ acting domain is endlessly expanding. On top of the collapsed boundary of methods to express acting for each medium, in case of the computer graphics shooting environment for film and drama, the size and range of the scenes desired to be shown by image directors, get bigger and diversified. When the techniques to visualize invisible or non-existent characters in reality are developed more, the number of cases for changes within acting environment is continuously increasing. No one can be sure that the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diversified acting space and the existing acting methodologies expressing just like the essence of theater acting is different from film acting by simply dividing them, could represent the shooting methods of the changing time and actors’ numerous expression methods. Thu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a space for acting that is rapidly changing, to analyze the process in which the actors’ space design is carried out, to find the reasons why it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amera acting methodology which is separated from stage acting, and also to suggest the training method for adapting to new shooting environments. 지금까지 우리는 연기훈련 방법을 설명할 때 큰 표현을 필요로 하는 무대연기 훈련법과 세밀한 표현을 필요로 하는 카메라연기 훈련법으로 구분하여 그 명칭을 정하고 마치 다른 영역의 훈련방법인 것처럼 인식해 왔다. 하지만 지금은 다시 원론으로 돌아가 하나의 연기훈련으로 이해해야 할 시점이라 할 수 있겠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배우들의 연기 영역이 끝없이 확장되고 있다. 매체별 연기표현 방식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영화, 드라마의 컴퓨터그래픽스 촬영환경의 경우 영상 연출가들이 보여주고자 하는 장면의 크기와 범위가 더욱 크고 다양해지고 있다. 현실에서는 보이지 않는 부분 혹은 실제 존재하지 않는 인물을 시각화하는 작업의 기술이 발전할수록 연기환경 속 경우의 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다양해지는 연기 공간에 대한 이해 부족과 지금껏 연극연기와 영화연기로 단순 구분하여 마치 연기의 본질이 다른 것처럼 표현해 온 연기방법론들이 변화하는 시대의 촬영방법과 배우의 수많은 표현 방법을 대변할 수 있다고 확신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급속도로 변하고 있는 연기공간의 환경 변화에 대한 이해와 연기자의 공간설계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분석하고 이것이 무대연기와 경계를 두고 있는 기존의 카메라연기방법론과 달라야 하는 이유를 찾아내고, 새로운 촬영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훈련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개별화 학습 연구동향 분석: TF-IDF, LDA 기반 텍스트 마이닝을 중심으로

        박지우,박하나,정성희,임규연 한국교육방법학회 2022 교육방법연구 Vol.34 No.4

        최근 급격한 변화를 겪은 교육 환경에서 개별화 학습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국내 개별화 학습 연구동향을 확인하고, 앞으로의 개별화 지원에 시사점을 주기 위해 TF-IDF, LDA 기반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2012년부터 2021년까지 10년간의 개별화 학습 연구에서 주요 주제어와 토픽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개별화 학습 연구는 특히 2019년 이후 발행 수가 급증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학술지별로는 일반 교육학 분야와 학제간 연구 분야의 학술지에서의 발행 수가 가장 많았다. 둘째, TF-IDF 기반 빈도 분석 결과, ‘모형’, ‘시스템’, ‘콘텐츠’, ‘프로그램’, ‘장애’, ‘인공지능’, ‘개별화교육계획’ 등의 주제어가 도출되었다. 특히 ‘모형’, ‘시스템’, ‘프로그램’ 등의 주제어는 TF와 TF-IDF 모두 상위 5위 이내에 위치하여 빈도 및 중요도 면에서 연구동향을 나타내는 주제어로 볼 수 있다. 셋째, LDA 기반 토픽모델링 결과, 도출된 토픽 6개는 ‘토픽 1: 특수교육에서의 개별화 학습’, ‘토픽 2: 개별화 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토픽 3: 온라인 기반 개별화 학습 시스템’, ‘토픽 4: 교과교육에서의 개별화 학습’, ‘토픽 5: 대학에서의 인공지능·데이터 기반 개별화 학습’, ‘토픽 6: 개별화 학습 교육과정 개발 및 교원 양성’이었다. 6개 토픽 모두 10년간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특히 토픽 3과 5의 경우 2019년 이후 급증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 비대면 학습 환경에서 개별화 학습을 지원하는 시스템과 데이터를 통한 학습 환경 설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현 시점에 필요한 개별화 학습에 대한 후속연구와 개별화 학습 환경 구축 측면에서 통합적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국부가열효과를 활용한 다점성형공정기술

        박지우 한국소성∙가공학회 2022 소성가공 : 한국소성가공학회지 Vol.31 No.2

        The multi-point dieless forming technology is one of flexible forming technologies that can form 3D curved surfaces of various shapes utilizing a lot of punch arrangements. A new technology that can simultaneously apply high-temperature forming and flexible forming technology by fusing local heating effect to such multi-point dieless forming technology was proposed in the present study. A simple local heating multi-point dieless forming apparatus was fabricated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is new technology. This equipment was designed to be used as a heat source by inserting heating cartridges in the head of the multi-point punch. Cartridges were used for all individual punches. Using the manufactured equipment, the time to raise the temperature to the target temperature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punch head part in contact with the plate were measured. In addition, forming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sheet material temperature (100 ℃, 200 ℃, and 300 ℃) to obtain forming results for each condition. The applicability and feasibility of this technology were confirmed through experimental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