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춤을 소재로 한 영화가 무용전공생의 무용열정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주희,Park, Juhee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19 트랜스- Vol.6 No.-

        본 연구는 춤을 소재로 한 영화가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무용 열정과 정서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무용전공 고등학생 총 112명(여자 104명, 남자 8명)을 대상으로 무용열정과 정서설문지를 실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람한 영화로는 춤을 소재로 한 영화인 <퍼스트 포지션 First Position>, <빌리 엘리어트 Billy Elliot>, <마오의 라스트 댄서 Mao's Last Dancer>를 관람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9.4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t-test와 ANOVA, 상관관계 분석과 선형구조관계모형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영화 관람 후 학년에 따른 무용열정과 정서 상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무용영화관람 후 전공에 따른 정서 상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무용영화 관람 후 무용경력에 따른 무용열정과 정서 상태에서는 경력과 무관하게 부정정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무용영화 관람 후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정서 상태(부정정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cific effects of dance themed movies on dance students in their passion for dance and affect. The related data is generated by choosing a method of Convenience Sampling and used a sample of 112 dance students in high school of arts which located in Seongnam-si, South Korea. The dance students divided into 3 group of school year and also 2 group of gender. The dance themed movies which are used in this research are First Position, Billy Elliot and Mao's Last Dancer. Also, the dance students were asked to answer the survey which are based on the Self-administration. In order to obtain several findings below,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structural relation model were applied to the gathered data using statistics utility SAS 9.4.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hool years in the passion for dance and affect of students after watching movie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affect depended on their majors (dance major is divided into three specialized major which are ballet,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ssion for dance and students' affect which is irreverent to their dance career (such as years they have learned dance). Fo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ssion for dance and negative affect of 'dance' students after watching movies. To summarize,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re is a partial difference, speci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negative affect in the dance passion and affect of dance students depended on their characteristics after watching dance themed movies.

      • KCI등재

        중학교 자유학기제 사회과 주제선택 활동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박주희(JuHee Park),박가나(GaNa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는 2023년 ◇◇중학교 1학년 1학기 자유학기제 수업 중 ‘지역사회인권모니터링’ 주제선택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과 이 수업을 운영하는 교사의 수업 경험을 확인하고 이 경험의 의미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연구현장인 ◇◇중학교 주제선택활동 ‘지역사회인권모니터링’ 수업 중 4~5차시 수업을 참관하여 수업에서의 교사와 학생의 모습을 관찰하였고, 수업 참관 후. 교사 1명과 수업에 참여한 학생 중 6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인터뷰 내용은 전사하여 반복 확인 과정을 통해서 교사와 학생 각각이 수업에서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결과 교사는 주제선택활동을 자신의 가치관을 보다 자유롭게 드러내며 수업할 수 있는 기회로 여기고 있었다.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공동체역량을 키울 수 있는 활동을 중심으로 학생들과 활발하게 소통하고 있었다. 이러한 수업은 주제선택활동이 학생과 교사 모두 평가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구조였다는 점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학생들에게 주제선택활동은 자신의 생각을 키우고 나누고 확장시킬 수 있는 시간이었다. 별다른 관심없이 시작한 수업이었지만 다양한 활동 가운데 자신의 가치관을 확인하는 경험을 하기도 했다. 더불어 교사의 다양한 피드백을 통해 자신의 성장을 확인하는 기회가 되기도 했다. 결론 본 연구는 사회과 주제선택활동에서 실제로 교사와 학생들이 어떤 경험을 하고 있으며 이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파악해보았다는데 의미가 있다. 앞으로의 주제선택활동이 본래의 취지와 같이 교사와 학생 모두 보다 자유로운 가운데 다양한 활동과 시도를 해보고 교과에 대한 심화된 학습이나 진로에 대한 탐색 과정으로서의 의미있는 경험이 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xperiences of students who take the theme selection activity of “Community Human Rights Monitoring”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first semester of ◇◇ Middle School in 2023, and teachers who run the clas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FGI (Focus Group Interview) twice before and after class and three times after class with one teacher and six students for qualitative research on social studies subject selection classes. Before attending the class, in an interview with a teacher, I was able to understand the class in general through data such as the activity log of the subject selection class and the recorded version of the class in 2021. Result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teachers felt that topic selection activities were classes that reminded students of the importance of community competency, and that both teachers and students were creating together without the burden of evaluation. It is also said that it is a class that can enhance both teachers and students' civic behavioral capabilities, which are their identity as citizens. Students felt that their communication skills grew through classes that created their values, classes that made them interested in society, and teacher feedback.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understanding what should be more emphasized and operated in future classes by grasping teachers and students' experiences in social studies subject selection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Teachers continue to interact during class to give student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human rights that they usually considered important as social studies teachers and to be interested in society.

      • 가상현실에서의 컨템포러리아트 전시 구축 방법론 연구 : 세컨드라이프 내 가상미술 전시 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박주희(Juhee Park),김정화(Jungwha Kim) 한국HCI학회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2

        세컨드라이프는 온라인 멀티유저 가상공간으로, 3차원 가상공간에서 사용자는 목소리와 텍스트를 통해 사용자간의 대화를 하며, 다양한 사회 활동을 하고, 새로운 형식의 가상물건을 만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면 회화, 퍼포먼스, 설치 예술, 미디어아트 등 다양한 형태의 작품을 가상미술전시를 구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를 통해 세컨드라이프에서 컨템포러리아트 전시를 만들 때의 기술적인 한계와 가상화된 작품과 인간과의 인식관계에 대해 논의한다. Second Life is a massive multi-user on-line environment; "a 3D virtual world where users can socialize, connect and create using voice and text chat" (http://www.secondlife.com). The paper explores the process and methods to establish a contemporary art exhibition that incudes various shapes and characteristics of art; paintings, 3D sculptures, time-based video arts, technical based arts, and so on. We have also discuss about the technical limitations to make virtual museums in the Second Life and recognitions between human and art works.

      • 영국의 박물관 디지털 교육의 역사

        박주희(Park Juhee)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21 박물관교육연구 Vol.- No.26

        본 논문은 영국의 박물관(미술관, 과학관 포함)을 중심으로, 사회, 기술 변화에 따른 박물관 디지털 교육의 역사적 흐름을 살펴봄에 목적이 있다. 지난 30여 년간 영국 박물관의 디지털 교육 역사를 태동기(1990년대 ~ 2000년대), 확산기(2010년대), 재도약과 성찰기(2020년~현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로 나누고, 각 시기별 교육 대상, 교육 내용, 교육 방법의 변화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박물관 디지털 전환의 비판적 성찰과 미래 발전 전략 설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show a historical evolution of digital learning programs at museums in the UK, with the consideration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society. This paper explains to what extent the audience, the content, and the method of digital learning at museums have changed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hich can be divided into an initial period (the 1990s to 2000s), an expansion period (2010s), and a reformation and reflection period (2020 to present, post-COVID). Ultimately, this paper contributes to critical discussions around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museums and digital strategies for future museums.

      • KCI등재

        디지털 오브제: 확장하는 사료와 뮤지엄 수집 개념 및 방법론 재고

        박주희(Juhee Park) 한국박물관학회 2021 博物館學報 Vol.- No.40

        뮤지엄의 소장품은 인류 역사문화의 증거물이며, 수집은 뮤지엄의 기본 기능 중 하나로, 뮤지엄은 과거 및 현재의 역사를 대변하는 오브제를 수집하여 미래 세대에게 전달할 의무가 있다. 디지털 기술 및 시스템에 기반하여 생성된 디지털 오브제는 오늘날의 사회, 문화, 과학기술의 단면을 반영하는 역사적 산물이며, 우리가 디지털 오브제를 사용하면서 남기게 되는 흔적들 또한 오늘날 문화 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본 논문은 동시대 수집 맥락 상에서 디지털 오브제 수집 개념과 디지털 물질성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디지털 오브제를 수집하고, 기록함에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방법론의 가능성과 쟁점을 살펴본다. 본 논문은 영미권 디지털 수집 사례 중 빅토리아 앤 알버트 뮤지엄, 런던뮤지엄, 역병이 발생한 해의 일지 프로젝트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며, 대중 참여 디지털 수집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또한 디지털 수집 과정에서 제기되는 개념적, 실천적, 제도적 쟁점이 뮤지엄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해서 갖는 의미를 검토한다. 본 논문은 방법론적 해답을 제안하기 보다는 디지털 오브제 수집의 중요성과 디지털 전환 과제를 공론화하여 디지털 시대 뮤지엄의 발전적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Museum collections provide tangible evidence of human ingenuity, memories, and knowledge. The practice of collecting is one of the core functions of museums, as they have the duty to acquire and preserve significant objects from human history for future generations. Digital objects created from digital technology are historical artifacts that reflect not only contemporary science and technology, but also our society and culture. This paper starts by exploring conceptual understandings of collecting digital objects within the contexts of contemporary collecting and of digital materiality. It then examines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applying digital methods to digital collecting in museums. It investigates three different methods developed by the Victoria & Albert Museum, the Museum of London, and the online crowdsourcing project, A Journal of the Plague Year. This paper aims to highlight the urgency of collecting digital objects that could soon be obsolete, and to discuss the conceptual, practical, and institutional issues raised by digital collecting practices and the digital transformation in museums. In doing so,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foundation of museums’ future plans in a digital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