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속쐐기와 기능강화동적쐐기의 조사야 주변부 선량 비교

        박종민,김희정,민제순,이제희,박찬일,예성준,Park, Jong-Min,Kim, Hee-Jung,Min, Je-Soon,Lee, Je-Hee,Park, Charn-Il,Ye, Sung-Joon 한국의학물리학회 2007 의학물리 Vol.18 No.3

        방사선 방호의 측면에서 기능강화동적쐐기가 금속쐐기에 비하여 가지는 이점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각의 쐐기에서 산란되는 조사야 주변부 선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장비는 2D Array를 사용하였고 장비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측정값과 치료계획장치에서 계산된 결과를 비교하였다. $15^{\circ},\;30^{\circ},\;45^{\circ},\;60^{\circ}$의 금속쐐기와 기능강화동적쐐기를 사용하였을 때에 선원표면간거리를 80 cm에서 90 cm로 변화시키며 조사야 주변부의 선량백분율을 측정하였다. 광자선의 에너지는 6 MV와 15 MV를 사용하였다. 측정은 0.5 cm 깊이에서 조사야 경계로부터 1 cm부터 5 cm까지 1 cm 간격으로 이루어졌다. 열형광선량계를 사용하여 절대 선량을 측정하였다. 2D Arra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을 경우, 기능강화동적쐐기를 사용하였을 때의 조사야 주변부 선량백분율($1.4%{\sim}11.9%$)이 금속쐐기를 사용하였을 때($2.5%{\sim}12.4%$)에 비하여 낮았다. 15 MV의 에너지를 사용했을 경우에 6 MV의 에너지를 사용했을 경우보다 조사야 주변부 평균 선량백분율이 2.9% 높았다. 선원표면간거리가 80 cm일 경우에 90 cm일 경우보다 선량백분율의 차이를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쐐기의 Heel 방향의 선량백분율이 Toe방향의 선량백분율보다 평균적으로 0.9% 낮았다. 열형광선량계를 이용한 절대 선량 측정에서도 2D Array를 사용하여 측정한 경우와 합치하는 결과가 나왔다. 기능강화동적쐐기는 임상에서 조사야 주변부의 정상조직에 불필요하게 산란되어 전달되는 선량을 감소시켜준다. 이러한 이점은 쐐기의 각도가 증가하고 선원표면간거리가 감소할수록 더욱 부각된다. In order to evaluate the radio-protective advantage of an enhanced dynamic wedge (EDW) over a physical wedge (PW), we measured peripheral doses scattered from both types of wedges using a 2D array of ion-chambers. A 2D array of ion-chambers was used for this purpose. In order to confirm the accuracy of the device we first compared measured profiles of open fields with the profiles calculated by our commissioned treatment planning system. Then, we measured peripheral doses for the wedge angles of $15^{\circ},\;30^{\circ},\;45^{\circ},\;and\;60^{\circ}$ at source to surface distances (SSD) of 80 cm and 90 cm. The measured points were located at 0.5 cm depth from 1 cm to 5 cm outside of the field edge. In addition, the measurements were repeated by using thermoluminescence dosimeters (TLD). The peripheral doses of EDW were (1.4% to 11.9%) lower than those of PW (2.5% to 12.4%). At 15 MV energy, the average peripheral doses of both wedges were 2.9% higher than those at 6MV energy. At a small SSD (80 cm vs. 90 cm), peripheral dose differences were more recognizable. The average peripheral doses to the heel direction were 0.9% lower than those to the toe direction. The results from the TLD measurements confirmed these findings with similar tendency. Dynamic wedges can reduce unnecessary scattered doses to normal tissues outside of the field edge in many clinical situations. Such an advantage is more profound in the treatment of steeper wedge angles, and shorter SSD.

      • KCI등재

        자료구조를 이용한 지문인식시스템에서의 특이점 추출 알고리즘

        박종민,이정오,Park, Jong-Min,Lee, Jung-Oh 한국정보통신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10

        지문 인식 시스템은 지문인식 장치(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를 통하여 아날로그(analog) 지문으로부터 변환된 디지털(digital) 지문에서 특이점을 추출하고 추출한 특이점 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는 오프라인(off-line) 처리와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 할 때 입력한 지문으로부터 특이점을 추출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특이점들과 정합(matching)하여 사용자의 시스템 접근 여부를 결정하는 온라인(on-line) 처리로 이루어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진화된 지문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자료 구조인 Union and Division을 제안하고, Union and Division을 이용하여 이진화와 잡음 제거, 그리고 특이점 추출 단계로 이루어진 특이점 추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Fingerprint Recognition System is made up of Off-line treatment and On-line treatment; the one is registering all the information of there trieving features which are retrieved in the digitalized fingerprint getting out of the analog fingerprint through the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 and the other is the treatment making the decision whether the users are approved to be accessed to the system or not with matching them with the fingerprint features which are retrieved and database from the input fingerprint when the users are approaching the system to us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data structure, called Union and Division, for processing binarized digital fingerprint image efficiently. We present a minutiae extraction algorithm that is using Union and Division and consists of binarization, noise removal, minutiae extraction stages.

      • KCI등재

        Commissioning Experience of Tri-Cobalt-60 MRI-guided Radiation Therapy System

        박종민,박소연,우홍균,김정인,Park, Jong Min,Park, So-Yeon,Wu, Hong-Gyun,Kim, Jung-in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15 의학물리 Vol.26 No.4

        본 연구는 뷰레이 시스템의 커미셔닝 결과에 대한 보고이다. 먼저, 시스템 안전장치의 적절한 작동을 확인했다. 영상시스템에 대한 평가를 위해 신호 대 잡음비와 영상의 균질도, 공간적 무결성을 확인했다. 카우치 동작의 정확성 및 축교점의 일치성을 평가했다. 미국의학물리학회 특별업무단51규약 프로토콜에 따라 절대선량을 측정했다. BJR supplement 25에서 제공하는 심부선량백분율과 측정한 값의 차이, 치료계획에서 계산한 값과 측정한 심부선량백분율의 차이를 확인했다. 더불어, 출력인수에 대하여, 측정값과 계산값의 차이를 구했다. 최종 검증 단계로, 8개의 세기변조방사선치료계획을 사용하여 감마평가를 수행하였다. 커미셔닝을 수행한 결과, 모든 안전장치는 적절히 구동함을 확인했다. 신호 대 잡음비 값과 영상 균질도 값은 허용범위 이내임을 확인했다. 공간적 무결성 확인 결과, 반지름 10 cm 및 17.5 cm 안의 모든 지점에 대하여 각각 1 mm 및 2 mm 이내의 오차를 확인했다. 카우치는 x, y, z 방향으로 각각 0.2 mm, 0.1 mm, 0.2 mm의 오차를 보였다. 방사선 축교점과 가상 축교점 사이에는 x, y, z 방향으로 0 mm, 0 mm, 0.3 mm의 오차를 보였다. 영상 시스템의 축교점과 가상 축교점 사이에는 0.6 mm, 0.5 mm, 0.2 mm의 오차를 보였다. 다엽콜리메이터의 평균적 구동 오차는 0.6 mm였다. 측정한 출력의 오차는 0.5% 이내, 심부선량백분율 오차는 1% 이내, 출력인수 오차는 2% 이내였다. 세기조절방사선치료 감마평가 결과값이 $99.9%{\pm}0.1%$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ommissioning results of the ViewRay system. We verified safety functions of the ViewRay system. For imaging system, we acquired signal to noise ratio (SNR) and image uniformity. In addition, we checked spatial integrity of the image. Couch movement accuracy and coincidence of isocenters (radiation therapy system, imaging system and virtual isocneter) was verified. Accuracy of MLC positioing was checked. We performed reference dosimetry according to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ists in Medicine (AAPM) Task Group 51 (TG-51) in water phantom for head 1 and 3. The deviations between measurements and calculation of percent depth dose (PDD) and output factor were evaluated. Finally, we performed gamma evaluations with a total of 8 IMRT plans as an end-to-end (E2E) test of the system. Every safety system of ViewRay operated properly. The values of SNR and Uniformity met the tolerance level. Every point within 10 cm and 17.5 cm radii about the isocenter showed deviations less than 1 mm and 2 mm, respectively. The average couch movement errors in transverse (x), longitudinal (y) and vertical (z) directions were 0.2 mm, 0.1 mm and 0.2 mm, respectively. The deviations between radiation isocenter and virtual isocenter in x, y and z directions were 0 mm, 0 mm and 0.3 mm, respectively. Those between virtual isocenter and imaging isocenter were 0.6 mm, 0.5 mm and 0.2 mm, respectively. The average MLC positioning errors were less than 0.6 mm. The deviations of output, PDDs between mesured vs. BJR supplement 25, PDDs between measured and calculated and output factors of each head were less than 0.5%, 1%, 1% and 2%, respectively. For E2E test, average gamma passing rate with 3%/3 mm criterion was $99.9%{\pm}0.1%$.

      • 색조가 이미지의 내용에 대한 감성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박종민 ( Jong Min Park ),박진영 ( Jin Yung Park ),정은빛 ( Eun Vit Chung ),석현정 ( Hyeon Jung Suk ),정상훈 ( Sang Hoon Jeong ) 한국감성과학회 2007 춘계학술대회 Vol.2007 No.-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이미지에서 유도되는 감성적 반응이 색채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이미지의 어의(semantic) 내용에 전형적으로 연상되는 색채와 상반되는 색(보색)이 색조로 적용될 경우, 이미지에 대한 감성적 반응에 변화가 나타나는가에 중점을 두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기쁨(Pleasure)과 각성(Arousal)으로 이루어진 감성 축의 각 사분면에 해당하는 감성 이미지들을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IAPS)에서 5장씩 추출하여 이 미지 자극으로 활용하였다. 선택된 이미지는 내용과 전형적으로 연상되는 색, 보색, 그리고 무채색 톤으로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각 이미지에 대한 기쁨과 각성에 대한 감성적 반응은 Self Assessment Manikin(SAM)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이미지의 내용에서 전형적으로 연상되는 색채의 보색이 이미지의 색조로 적용될 경우 감성적 반응이 소극적으로 나타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 KCI등재후보

        족관절 염좌에 대한 경근 첩대요법의 치료방법에 따른 무작위대조 임상연구

        박종민 ( Jong-min Park ),윤문식 ( Moon Sik Yoon ),우인 ( In Woo ),박원상 ( Won Sang Park ),윤유석 ( You Suk Youn ),정성엽 ( Sung Yub Jung ),김성용 ( Sung Yoong Kim ),이종수 ( Jong Soo Lee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06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16 No.1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effect of Ankle Meridian Tendino-musculature Taping (MTT) on lateral ankle sprain. Methods : 47 patients with lateral ankle sprain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 Control group was practiced with 8-shape ankle taping treatment. MTT group was practiced with 8-shape ankle taping treatment with ankle Meridian Tendino-musculature taping. We investigated visual analogue scale(VAS) and ankle circumference(cm) for effect evaluation. Results and Conclusions : The VAS score of Control group was statistically lower than Sample group between 1st and 4th treatment and the circumference measure was also lower than Sample group. So we may conclude that ankle Meridian Tendino-musculature taping treatment is recommendable of lateral ankle sprain.

      • SCOPUSKCI등재

        임상연구 : 혈액가스 분석기와 휴대용 혈당측정기로 측정된 혈당 수치의 평가

        박휴정 ( Hue Jung Park ),박철수 ( Chul Soo Park ),박종민 ( Chong Min Park ),유건희 ( Keon Hee Ryu ),장혜원 ( Hae Wone Chang ),조은정 ( Eun Jeong Cho ),이윤기 ( Yoon Ki Lee ) 대한마취과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0 No.5

        Background: A portable glucometer is commonly used to immediately check the blood glucose level. In the anesthetic field, some blood gas analyzers can also give a rapid indication of the blood sugar level but the accuracy is unknown. Therefore, this study assessed the accuracy of the blood glucose values measured by either a blood gas analyzer or portable glucometer. Methods: Venous blood from diabetic patients was used to measure the glucose level with either a blood gas analyzer or a portable glucometer. The difference and 5% deviation from reference values was analyzed. These values were also assessed using a Bland-Altman plot and clinical significance was examined using a Clarke error grid. Results: The differences from the reference values were smaller using the blood gas analyzer (1.3 ± 7.8 mg/dl) than using the portable glucometer (-5.1 ± 16.7 mg/dl)(P < 0.01). 73.4% of the values measured by the blood gas analyzer and 40.0% of those measured by the portable glucometer were within 5% of the reference value. The 95% limits of agreement in the difference ranged from -14.3 to 16.9 in the blood gas analyzer and -38.5 to 28.2 in the portable glucometer. Error grid analysis showed that 100% of the values measured by the blood gas analyzer were located in zone A. When locating the values measured using the portable glucometer, 95.6% were located in zone A, and the remaining 4.4% are located in zone B. Conclusions: The blood gas analyzer measures the blood glucose more accurately than the portable glucometer. However, the blood glucose values measured by the portable glucometer are clinically acceptable. (Korean J Anesthesiol 2006; 50: 506~1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