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해인 시론(詩論)을 위한 시론(試論)

        박종덕 어문연구학회 2019 어문연구 Vol.101 No.-

        본고의 목적은 시와 시인에 대한 이해인의 사유를 통해 그녀의 시론을 살펴보려는 데 있다. 이해인은 자신의 시론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텍스트를 정독하면서 시와 시인에 대한 이해인의 생각과 태도를 찾아야 한다. 시를 구성하는 다양한 원리 중에서 가장 기초적인 이 두 가지 질문에 대해 답을 찾는 과정에서 이해인의 시론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해인의 시는 ‘이명숙’과 ‘클라우디아’, 그리고 ‘이해인’이 길항하는 과정의 산물이다. 이 때 이해인이 묘사하는 시인은 한마디로 ‘예수를 닮은 이’이다. 이해인이 생각하는 시인은 오직 절대자가 원하는 글을 쓰는 사람이다. 또 시인은 절대자를 위하여 스스로 소멸하는 사람이다. 시인에 대한 이해인의 이러한 생각은 절대자를 위해 소멸하려는 이해인의 의지에 닿아 있다. 이해인 시의 기원은 절대자에게서 비롯된다. 절대자를 지향하는 과정, 즉 시를 쓰는 과정은 고통의 연속이다. 그러나 이 과정을 거쳐야만 시인은 영원한 생명의 나라에 들어갈 수 있다. 이해인에게 시를 쓰는 것은 기쁨이며 영신의 수련행위이다. 시를 쓰는 과정은 생명의 활동이며, 삶의 목적을 발견하는 과정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해인의 시가 절대자를 향한 흠숭의 기도라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Lee Hae-in’s poetics through her thoughts about poetry and poets. Lee Hae-in did not explicitly mention her poetics. If you peruse her text, Lee Hae-in’s thoughts and attitudes about poetry and poets can be found. In addition, two basic questions which are the basis of the fundamental of poetics must be clarified. This will make way to Lee Hae-in’s poetics. The poet portrayed by Lee Hae-in is, in short, ‘the one who resembles Jesus,’ or ‘the one who tries to resemble Jesus.’ Therefore, the poet who Lee Hae-in thinks is the one who only writes what the absolute being wants. He is also a person who disappears by himself for the absolute being. The origin of Lee Hae-in’s poetry is based on the absolute being. The process of writing poetry is continuation of pain. However, the poet may enter into the kingdom of eternal life only through this process. Also, writing poetry is joy and practice of spiritual training. Process of writing poetry is activity of life, and it is also process of discovering purpose of life. But what is the most important is that Lee Hae-in’s process of writing poetry is the same as praying to God.

      • KCI등재

        기형도 시에 나타나는 공포의 근원과 형상화 양상

        박종덕 어문연구학회 2014 어문연구 Vol.82 No.-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source of fear underlying in the text of Gi Hyeong-do by dividing it into the exterior factor and the interior factor and then I studied how fear was embodied concretely. The fear in his poetry is formed by the exterior scenery of his era. However, Gi Hyeong-do does not illustrate the political chaos of the 1980s explicitly. He just narrates correlation between an individual's life and the times microscopically. So does the description of school, army, society experiences and so on. It does not aim at politics itself, however, the limitation of an individual who cannot but be dominated politically is the very truth of the exterior scenery forming the fear of Gi Hyeong-do. The other source of his fear lies in the interior scenery. Very definitely this is the family dissolution due to the absence of his father. The absence of his father means that the father's responsibility was shifted on his mother. But the limitation of his mother who could not replace the father's role interspersed his inner side with fears. What matters is that he underwent these experiences in his childhood. Thus experiencing his father's death in his childhood functions as the most significant inner scenery forming Gi Hyeong-do's fear. And furthermore, it is the key factor that dominates Gi Hyeong-do's life as an adult. The fear developed in such a way is illustrated in various ways. The fear of Gi Hyeong-do is described as a paradigmatic set of nouns or adjectives such as "lonely," "darkness," "black," "night," "pitch dark," "winter," "snow," "ice." The fears such as the solitude formed by the word, "lonely," the death and sterility by the words, "darkness," "night," "pitch dark," and desperation and wondering by the words, "winter," "snow," "ice" are like that. In addition, this fear is revealed through the confession of the first-person narrator without a word of lie. Readers could stare at Gi Hyeong-do's agonizing inner side and understand his mentality from the way of confessing his inner self without distortion by using a first-person narration. 본고는 기형도의 텍스트에 내재한 공포의 근원을 외부적 요인과 내면적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본 후, 그 공포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형상화되는지를 구명한 것이다. 기형도 시의 공포는 시대라는 외부적 풍경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기형도는 80년대라는 정치적 혼란을 명시적으로 그려내지 않는다. 다만 개인의 삶과 시대의 상관성을 미시적으로 서술한다. 학교 체험, 군대 체험, 그리고 사회 체험 등에 관한 묘사가 그러하다. 정치 그 자체를 겨냥하고 있지는 않으나 정치적으로 지배될 수밖에 없는 개인의 한계가 바로 기형도의 공포를 형성하는 외부적 풍경의 실체이다. 공포의 또 다른 근원은 내면적 풍경에 있다. 이것은 아주 구체적으로 아버지의 부재로 인한 가족의 해체이다. 아버지의 부재는 어머니에게로 아버지의 책임이 전가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아버지를 대신할 수 없는 어머니의 한계는 기형도의 내면을 공포로 점철시킨다. 문제는 이러한 경험들이 유년시절에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따라서 아버지의 죽음이라는 유년의 체험은 기형도의 공포를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내면적 풍경으로 작동하고 나아가 성인이 된 기형도의 삶을 지배하는 핵심적 원인이다. 이렇게 형성된 공포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상화된다. 기형도의 공포는 "쓸쓸하다"-"어둠"-"검다"-"밤"-"캄캄하다"-"겨울"-"눈"-"얼음" 등의 명사나 형용사의 계열체로 형상화된다. "쓸쓸하다"가 형성하는 고독, "어둠"과 "밤", "캄캄하다"가 형성하는 불모성과 죽음, "겨울"과 "눈", "얼음"이 형성하는 절망과 방황 등의 공포가 그러하다. 아울러 이 공포는 1인칭 화자의 고백을 통해 핍진하게 드러난다. 1인칭 화자를 내세워 내면을 왜곡 없이 고백하는 이와 같은 방식에서 독자는 기형도의 고통스러운 내면을 응시하고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否定으로서의 도덕 :도덕교육의 내용으로서의 교육이론

        박종덕 한국도덕교육학회 2007 道德敎育硏究 Vol.18 No.2

        Some contrary suggestions notwithstanding, morality is to be defined as 'nothing' or 'negativity' in the sense that it is beyond any specific content. In contrast, current theory of moral education thinks of morality mainly in terms of specific moral behavior which enables the students to solve daily moral problems. That is why moral behaviors and virtues receive exclusive emphasis in current moral education.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moral behavior can be ensured not by equipping with moral behavior, but by cultivating the 'primordial mind'(Chung 中, in the parlance of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through studying school subjects. Moral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is related to the cultivation of mind in twofold ways. The one is that moral education attempts to cultivate the mind through studying moral subject. The other is that moral education aims at explicating how school subjects including moral subject lead the students to the cultivation of mind. The proper moral education comprises the theory of education in which the cultivation of mind through studying school subjects is justified in no other way than by the act of cultivating the mind itself. 도덕의 개념은, 그 반대되는 몇몇 주장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내용을 담고 있지 않는 ‘無’ 또는 ‘否定’으로 파악될 필요가 있다. 최근의 도덕교육에서 도덕적 행동이나 덕목이 강조되는 것은, 도덕은 특정한 행동지침을 제공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생각과 무관하지 않다. 그러나 도덕적 사태에서의 올바른 행동은 그러한 몇몇 행동 지침에 의해서 가능한 것이 아니라 도덕적 지식을 배움으로써 함양되는 中에 의해서 가능하다. 그리하여 도덕교육은 2중의 의미에서 中을 핵심 개념으로 하는 심성 함양과 관련을 맺는다. 그 하나는, 도덕교육은 도덕 교과를 통하여 심성을 함양하는 일을 한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도덕교육은 도덕 교과를 포함한 일체의 교과에서 추구되는 심성 함양이 어떤 성격의 것인지를 설명하고 정당화하는 일을 한다는 것이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도덕교육은 교육이론―교과를 통한 심성 함양을 설명하면서 그와 동시에 바로 그 심성 함양을 추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 교육이론―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마음과 내러티브와 교과

        박종덕 한국도덕교육학회 2011 道德敎育硏究 Vol.23 No.1

        The significance of narrative theory centers on the discourse which explicates primordial forms among all language art. In his work orality and literacy, Walter Ong helps us to make some clearer contrasts between primary-oral culture and literal culture. Thus, in Ong, oral utterances, which based on 'prelogical' state of consciousness, is prior to written words. Seen in this light, Ong suggested that narrative is more widely functional genre in primary-oral cultures. The Paul Ricoeur's well-known work Time and Narrative has also made much of the narrative theory, combining Augustinus' theory of time with Aristoteles' theory of story. According to Ricoeur, Augustinus' emphasis on the time of the God(in Ricoeur's terms, 'eternality') notwithstanding, he does not show the way through which leads us to the eternality. Conversely, Aristoteles' emphasis on the story notwithstanding, he does not explain what the story leads on to. On the line of his work, Ricoeur has convincingly asserted that narrative is the story which includes a divinity-raising plot. Although Ong and Ricoeur has made a difference in some of their details, they have commonly suggested that narrative is paramount among linguistic activities, and that narrative is constituted as the word of sacred texts(as in the Bible). But, getting another perspective on this, words of the academies and studying subjects, as contrast with the word of sacred texts, can be also referred to as the proximal core of narrative. The words of the studying subjects(in other words, school language) has the divinity as well as the sacred text does. The narrative theory attracts our attentions to the question: In what ways are the words of the studying subjects related to the divinity and in which degrees do the students lead to it through studying subject matter? This question is more focused in the field of the educational theory of language than in any other fields. 내러티브 이론은 언어의 원형적 형태를 탐색하기 위한 담론으로서 의의를 가진다. 먼저, 옹에 의하면, 말은 글에 비하여 미분화된 사고를 표현하는 언어양식이다. 이 점에 근거하여 월터 옹은, 내러티브는 그 미분화된 사고를 담고 있는 말에 해당한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한편, 리쾨르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 이론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이야기 이론을 절묘하게 결합하여 그의 내러티브 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리쾨르에 의하면,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 이론은 신성 이론으로서, 그 실현 방도를 아리스토텔레스의 이야기 개념에서 찾아야 하며, 그 반대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야기 이론은 인간 행위의 재현 이론으로서, 그 궁극적 목적을 아우구스티누스의 신성 개념에서 모색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리쾨르는, 내러티브는 이야기이되 신성을 담고 있는 이야기임을 결론짓고 있다. 옹과 리쾨르는, 논의를 전개하는 거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공통된 관점을 취하고 있다. 즉, 내러티브는 언어의 최상의 형태를 가리키며, 그 전형적 사례는 종교적 저작에서 찾아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관점을 달리하여 생각해 보면, 신적 언어와는 멀어 보이는 세속적 언어의 하나인 학문적 언어, 그리고 그것을 대표하는 교과의 언어 또한 내러티브로서 손색이 없는 것이라고 보지 않으면 안 된다. 교과에 나타나 있는 언어는 세속적 언어요 그와 동시에 신적 언어로서, 내러티브 그 자체이다. 내러티브 이론은 우리에게 교과의 언어가 처한 이 특별한 위치, 즉 교과의 언어 이론에 주의를 환기시키고 있다.

      • KCI등재후보

        도덕적 인간상으로서의 군자

        박종덕 한국도덕교육학회 2005 道德敎育硏究 Vol.16 No.2

        The well-educated person cannot be described independently of the subject matter. To be precise, he can be described only in terms of the standard which is immanent in the subject matter. The concern for the such standard leads us to the Neo-confucianist theory of mind centering around the concepts dealt with in the Doctrine of the Mean, such as the Nature and the Emotion(性情, hsing ch'ing), the Equilibrium and the Harmony(中和, zhong he). The Nature and the Emotion define what may be called 'the double layer structure of mind'. The Nature as the not-yet-manifested, the upper layer, refers to the invisible standard of the Emotion as the already-manifedsted, lower layer. Contrasted to the Nature and the Emotion, the Equilibrium and the Harmony denote the same thing as the Nature only to characterize it from the normative point of view. It is worth reminding that the noble man as an exemplar of the well-educated person is characterized not by solving practical problems, but by cultivating of the mind. In this sense, the noble man is an exemplar of a well-educated person in the moral sense of the term. 도덕적 인간상은 교육받은 인간의 모습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교과와 무관하게, 교과 밖에서 사전에 규정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교과와 관련하여, 교과 안에서 사후에 규정될 수 있는 것이다. 중용에 의하면, 교과 안, 즉 마음에 관한 관심은 性과 情의 개념, 그리고 中과 和의 개념에 의하여 구체화된다. 性과 情의 개념은 마음을 기술적 관점에서 규정하는 것으로서, 마음은 표현 이전의 마음과 표현 이후의 마음이라는 중층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에 비하여 中과 和의 개념은 마음을 규범적 관점에서 특징짓는 것으로서, 性은 우리가 받아들이고 따라야 할 표준이라는 것을 분명히 해준다. 중용에 제시되어 있는 도덕적 인간상으로서의 君子는 실제적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심성함양을 업으로 삼는 사람을 가리킨다.

      • KCI등재후보

        /ㅡ/와 /ㅓ/의 합류 시기 및 원인 -경상도 방언을 대상으로-

        박종덕 한말연구학회 2004 한말연구 Vol.- No.14

        1. The period of the merger of /ㅡ/ and /ㅓ/ a. lag phase : 17C b. log phase : 18C c. equilibrium : the late 19C 2. The cause of the merger of /ㅡ/ and /ㅓ/: In Gyeongsang-do Dialect of Korean, the vowel system in 16th century was very unbalanced, since it had retained /ㅣ/ as a front vowel, /ㅡ/, /ㅓ/, /ㆍ/, /ㅏ/ as central vowels, and /ㅜ/, /ㅗ/ as back vowels. To settle this disparity, /e/ and /ɛ/ were created in 'the case vide' below the region of articulation of /ㅣ/ as a high front unrounded vowel. As a result of the creation, to secure phonetic distance between phonemes, /ㅓ/, which had been slanted toward the direction of front vowels, moved to the lower part of the region of articulation of /ㅡ/. Nevertheless, /ㅓ/ could not secure 'a safe distance'(F. 'marge de sécurité'), and it triggered the movement of the vowel into the region extremely near to /ㅡ/. As a result, /ㅓ/ merged with /ㅡ/, and their merger, /Ǝ/, was completed around the 19th century. 주제어: 경상도 방언, /ㅡ/와 /ㅓ/, 합류, 체계적 안정성, /ㅓ/의 이동 Gyeongsang-do Dialect of Korean, /ㅡ/ and /ㅓ/, merger, systemic stability, move of /ㅓ/

      • 지금은 여성건강시대 - 울퉁불퉁 종아리, 터질듯한 다리통증 '하지정맥류'

        박종덕,Park, Jong-Deok 한국건강관리협회 2012 건강소식 Vol.36 No.10

        가을은 단풍 산행을 위해 산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계절이다. 등산은 심폐와 온몸의 근육과 인대를 강화시키는데 효과적인 운동이지만, 등산 전 몸 상태에 대한 점검 없이 무리한 등산을 할 경우 평소 약해진 다리 혈관이 늘어난 혈액량을 감당하지 못해서 건강을 해칠 수가 있다. 더욱이 등산을 즐기는 중장년층이라면 종아리 근육의 탄력이 약화되어 정맥혈관이 확장되는 정맥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이미 정맥류가 있는 경우라면 악화될 수 있다.

      • KCI등재

        사질토 지반에서 흙막이벽체-지하공간 연속 굴착에 따른 지반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박종덕,유정선,김도엽,이석원,Park, Jong-Deok,Yu, Jeong-Seon,Kim, Do-Youp,Lee, Seok-Won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5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흙막이벽과 같은 수직굴착과 터널과 같은 지하공간의 연속적인 굴착에 따른 지반 거동과 토압 변화를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굴착 단계별로 벽체 거동, 토압 변화, 그리고 지표 침하의 측정이 가능한 길이 160cm, 높이 120cm의 모형 토조를 제작하였다. 실험은 균일하게 조성된 사질토 지반에서 벽체에 임의의 변위를 가하고, 토압 변화와 지표 침하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모형실험은 흙막이벽과 지하공간의 연속적인 시공을 모사하기 위하여 흙막이벽 굴착을 모사하는 우측벽체 10개 및 지하공간 굴착을 모사하는 하부벽체 5개를 순서대로 거동시켜 모사하였다. 실험 결과, 벽체의 주동변위로 감소된 토압이 주변 벽체로 분담되는 아칭현상이 모든 벽체에서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연속되는 시공을 모사한 실험에서 phase마다 아칭현상을 확인할 수 있으나, 하부1단 벽체의 거동 시, 우측10단 벽체는 다른 경우와 달리 토압이 50%정도만 회복됨을 보였다. The ground movement and changes in earth pressure due to the consecutive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and underground space were studied experimentally. A soil tank having 160 cm in length and 120 cm in height, was manufactured to simulate the vertical excavation like retaining wall by using 10 separated right side walls and underground space excavation like tunnel by using 5 separated bottom walls. The variation of earth pressure and surface settlement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excavation stag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crease of earth pressure due to the wall movement can cause the increase of earth pressure of the neighboring walls proving the arching effect. Experiments simulating continuous construction sequence also identified arching effect, however only 50% of earth pressure was restored on the 10th right side wall due to the movement of 1st bottom side wall unusually.

      • KCI등재

        한국어 형성에서 신라어 기반 가설에 관한 담론 재고

        박종덕 동아시아고대학회 2011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25

        신라어 기반 가설에서는 고구려어를 백제어나 신라어와 다른 계통에 속한 이질적인 언어, 곧 이국어로 규정한다. 즉, 이에서는 오늘날의 한국어는 조선어를, 조선어는 고려어를, 고려어는 방언적 차이 정도만 있는 백제어를 흡수한 신라어를 계승한 것으로 본다. 그리고 고구려어는 신라어나 백제어와는 계통이 다른 언어, 곧 이질적인 언어이며, 단지 고려어에 ‘들온말’이라고 본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설을 언어학적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논의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신라어와 고구려어는 어휘적 측면에서 유사하며, 음운 체계와 문법 구조가 일치한다. 둘째, 고구려어와 고려어 역시 어휘적 측면에서 유사하며, 문법 구조가 일치한다. 그리고 고려어의 음운 체계는 고구려어의 음운 체계에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한국어는 한국어를 구성하는 모든 방언의 총체다. 따라서 신라어만이 한국어 형성에서 기반이 되었다는 주장은 설득력을 얻기 어려워 보인다. 결론적으로, 한국어 형성에서 신라어가 기반이 되었다고 보는 가설은 언어학적으로 수용하기 어려워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설을 유지할 경우, ‘중국사에 고구려사 편입하기’에 이론적 토대가 될 우려가 있어 보인다. 뿐만 아니라, 이 설은 ‘한국어 단일기원설’을 부정하는 것이어서 남북 이질화를 부추기는 데 이용될 우려도 있어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