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공원이용 활성화를 위한 공원환경 평가지표 선정 및 환경 인식 분석-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박영은 ( Park Youngeun ),이우성 ( Lee Woos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근린공원은 노인이 경제적 부담 없이 손쉽게 접근하여 다양한 신체활동을 실행할 수 있는 장소이며, 체력 증진 및 건강 유지가 이루어지는 도시시설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많은 공원은 설계자의 주관적이고 일률적인 공원설계 기준에 의해 조성되어 있어 노인들이 이용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들의 건강 유지 장소로서의 근린공원 이용 활성화를 위해 공원환경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대구광역시의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평가지표를 적용하여 노인의 공원환경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으며, 노인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공원환경 인식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지는 노인인구비율이 14% 이상인 대구광역시 중구, 동구, 남구, 서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대상공원은 행정구별 1개의 근린공원을 선정하였다. 공원환경 평가지표의 선정은 총 10편의 선행연구 고찰 및 브레인스토밍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설문조사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설문데이터의 분석에는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 T-검정 및 F-검정(Scheffe 검증)이 활용되었다. (결과) 노인의 관점에서 공원환경 관련 선행연구 고찰 및 브레인스토밍 과정을 통해 ‘다양한 운동시설’, ‘운동시설의 안전성’, ‘충분한 휴게시설’, ‘휴게시설의 안락함’ 등 총 20개 지표가 선정되었다. 설문에 의해 수집된 290개 데이터를 통해 노인의 공원환경 인식을 분석한 결과, ‘공원까지의 거리’, ‘충분한 녹지면적’, ‘충분한 그늘’, ‘이동의 무장애성’ 등의 지표가 4.0점 이상으로 높은 환경 수준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원예활동지원 공간’, ‘다양한 볼거리’, ‘복지시설과의 연계’ 등의 지표는 3.2점 이하의 낮은 환경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노인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공원환경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대,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른 공원환경 인식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분석되었다. 남성보다 여성이 전반적인 공원환경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60대는 동적 시설에 대한 인식이, 80대는 정적 시설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들은 노인인구 밀집지역의 근린공원 리모델링 사업, 주변 환경 개선 사업 등을 진행코자 할 경우 의미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Neighborhood parks are places where the elderly can easily access and perform various physical activities without without financial burden and are urban facilities where they can improve physical strength and maintain health. However, many parks in Korea are built according to the subjective and uniform design standards of the landscape designers, so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for the elderly to use th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assessment indicators in order promote park use the elderly as a place for maintaining health,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park environment by applying the indicators targeting the neighborhood parks of Daegu Metropolitan City, and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park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Method) The study areas were Jung-gu, Dong-gu, Nam-gu, and Seo-gu of Daegu, where the ratio of the elderly population was 14% or more and one neighborhood park was selected for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The assessment indicators of park environment were selected based on 10 previous studies and brainstorming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two rounds for the elderly.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F-test (Scheffe’s method) were used to analyze the questionnaire data. (Results) Through the review and brainstorming related to the park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 a total of 20 indicators were selected such as 'various exercise facilities', 'safety of exercise facilities', 'enough resting facilities', and 'convenience of resting facilit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the elderly's park environment based on the 290 survey data, the indicators such as 'distance to the park', 'area of green space', 'shade by trees', and 'convenience of walk' had a high environmental level of 4.0 or more. On the other hand, the indicators such as 'horticultural support space', 'various attractions', and 'linkage with welfare facilities' were evaluated at a low environmental level of 3.2 points or les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ark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group,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were analyzed statistically significant. Women rather than men perceived the overall park environment more positively. Those in their 60s had positive perceptions of dynamic facilities and those in their 80s had positive perceptions of static facilities. (Conclusion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basic data to carry out a remodeling for a neighborhood park or a project for improving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in the elderly concentration area.

      • KCI우수등재

        근린공원에 대한 환경지각이 이용자의 건강증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창원시의 8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박영은,이우성,정성관,박경훈,Park, Young-Eun,Lee, Woo-Sung,Jung, Sung-Gwan,Park, Kyung-Hu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1

        본 연구는 근린공원에 대한 이용자의 공원지각환경이 건강증진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의 8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공원별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먼저 공원별 공원지각환경에서는 대부분의 공원이 집에서 공원까지의 거리와 집에서 공원까지의 길 환경이 높게 평가된 반면, 수공간과 공원 내 다양한 볼거리는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23개의 지각환경 변수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경관성, 안락성, 접근성, 활동성, 편의성, 쾌적성의 6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를 토대로 건강증진인식과 지각환경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8개 공원 중 4개 공원에서 지각환경요인이 신체적 건강증진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접근성과 활동성이 3개의 공원에서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또한, 심리적 건강증진인식의 경우, 8개 공원 중 5개 공원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근성이 4개의 공원에서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평가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은 기존의 공원 환경을 개선하고, 새로운 공원을 조성하고자 할 때 효율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erception in neighborhood parks on user's recognition of health improvement. This study used objective field survey data and subjective user survey data at 8 neighborhood parks in Changwo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erceptions of distance and street environment from home to park were evaluated highly but the perception of water spaces and various attractions within the parks were rated lowly in most of park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23 environmental perception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6 factors such as scenery, comfort, accessibility, activity, convenience and amenity. For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vironmental perceptions and user's recognition of health improvement based on 6 factors, the recognition of physical health improvemen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from environmental perception factors in 4 parks among 8 parks. 'Accessibility' and 'activity' were analyzed as the meaningful factors in 3 parks. Also, recognition of mental health improvemen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from environmental perception factors in 5 parks among 8 parks and especially 'accessibility' was showed as the significant factor in 4 park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present parks and can be a basic data for new park development.

      • KCI우수등재

        거주지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이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 - 대구광역시 수성구를 대상으로 -

        이우성,정성관,박영은,Lee, Woo-Sung,Jung, Sung-Gwan,Park, Young-Eu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6

        본 연구는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 유무에 따른 거주지 주변 환경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거주지 환경인식특성이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근린공원 및 유원지로 설정하였으며, 총 303명의 설문응답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총 16개의 물리적 환경인식 지표들 중 시장 및 상가시설의 접근성, 대중교통의 이용성, 공원 등 녹지공간의 접근성, 충분한 보도, 횡단해야 하는 도로의 수, 운동인구를 포함한 6개의 지표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을 이용할 확률은 공원 등 녹지공간의 접근성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2.326배, 주변에 운동하는 인구가 많을수록 1.701배, 횡단해야 하는 도로의 수가 적을수록 1.617배, 충분한 보도가 설치되어 있다고 인식할수록 1.642배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거주지 주변에 이용 가능한 공원녹지를 확대하고 주민들이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주거지와 공원을 연결하는 보행자 전용도로를 계획하는 등 보행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neighborhood environmental perception on park use for health. The study area is focused on neighborhood parks in Suseong-gu, Daegu city. The analysis results are based on questionnaires of 303 respon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park use for health improvem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erceptions of accessibility to a marketplace, availability of public transit, accessibility to the park, enough sidewalks, number of crosswalks, and athletic population. The probability of park use increased by 2.326 times as the satisfaction of accessibility to the park increased. Also, greater athletic population, fewer crosswalks, and more sidewalks lead to increase of park use by 1.701, 1.617, and 1.642 times,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available neighborhood parks around residences and to develop exercise programs that people can use continuously in order to vitalize park use for health improvement. Al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walking such as development of pedestrian streets or malls between residences and parks.

      • X-Ray Triple Crystal Diffraction Spectrometer의 제작과 그 응용

        박영,염효영,윤형근,민석기,박용주,Park Young-Han,Yeom Byo-Young,Yoon Hyng-Guen,Min Suk-ki,Park Young Joo 한국결정학회 1997 韓國結晶學會誌 Vol.8 No.1

        고분해도의 X-선 산란을 위해 두 실험 방법이 개발됐다. 그 방법들은 (1) 2-결정 회절 스펙트로메터 (DCD)설치와 (2) 3-결정 회절 스펙트로메터 (TCD) 설치였다. Si(511)-시료(hkl)의 DCD배열로 Si(333), Si(004), GaAs(004)의 rocking curve를 그렸다. 또한 단일체 단색 평행기와 $K_{\alpha1}$ 선택기를 포함하는 Si(111)-Si(111)-Si(511)-sample(hkl)의 TCD배열로 Si(333), Si(004) 그리고 GaAs(004)의 rocking curve를 그렸다. DCD와 TCD에 의한 rocking curve의 FWHM의 차이가 논의됐다. DCD에 의한 $In_{0.037}Ga_{0.0963}As/GaAs$의 (004) 및 (115) 반사 토포그라프가 행해졌다. Two experimental methods have been developed for high resolution measurement of x-ray scattering. The methods used were (1) an x-ray double crystal diffraction (DCD) spectrometer set-up and (2) an x-ray triple crystal diffraction (TCD) spectrometer set-up. With the DCD arrangement of Si(511)-sample(hkl), rocking curves have been plotted for Si (333), Si(004) and GaAs(004). Also, with the TCD arrangement of Si(111)-Si(111)-Si(511)-sample(hkl) including monolithic monocro-collimator and $K_{\alpha1}$ selector, rocking curves have been plotted for Si(333), Si(004) and GaAs(004). The results of FWHM by DCD and TCD set-up have been compared each other and discussed. The reflection topographs (004) and (115) in an $In_{0.037}Ga_{0.0963}As/GaAs$ sample have been obtained by DCD set-up.

      • KCI등재

        앙리 베르누이(Henri Verneuil)의 자전 영화를 통해 본 아르메니아 제노사이드의 상흔과 디아스포라의 양상

        박영은(Park, Young Eun) 한국영화학회 2015 영화연구 Vol.0 No.66

        2015년은 아르메니아인 제노사이드가 발생한 지 100년이 되는 해이다. 올해 전 세계는 1915년에 빚어진 아르메니아인들의 참극에 대해 깊은 애도를 표했다. 이런 국제사회 분위기의 조류에 힘입어 본 논문에서는 대학살을 피해 세계 곳곳으로 떠나야 했던 감독들이 제노사이드 문제를 다루고 있는 예술 영화 가운데 아르메니아계 프랑스 감독인 앙리 베르누이(Henri Verneuil, 1920∼2002)의 자전 영화 <메이리그(Mayrig)>와 그 후속편인 <파라다이스가 588번지(588 Rue Paradis)>에 주목했다. 아르메니아 대학살 후 프랑스로 이주하게 된 아르메니아인 가족의 굴곡진 삶을 다루고 있는 이 두 영화는 회고록이나 소설 출판뿐만 아니라 이를 시나리오로 각색하여 제작된 영화의 영향력을 통해 제노사이드의 기억을 승화하고 이산의 아픔을 극복한 예술인의 성장 드라마를 볼 수 있는 작품이다. 앙리 베르누이가 영화를 통해 민족의 문제를 세계인들에게 각인시키고 침윤시키는 기법을 분석하면서, 본고에서는 아르메니아 제노사이드가 발생하게 된 역사적 배경부터 살펴보았다. 아르메니아인 제노사이드에 대한 문제는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국제사회의 역학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만 객관적인 진실에 근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식 위에 아르메니아 제노사이드 문제와 그 결과로 빚어진 디아스포라의 양상이 앙리 베르누이의 영화에서 재현된 방식을 그 자신이 쓴 소설 형식의 자서전과 두 편의 영화를 비교 분석하며 살펴보았다. 또한 한 개인의 자의식이 민족역사와 집단의식으로 확장되는 양상 및 그 당위성을 주제적·심미적 차원에서 보다 면밀히 규명하여 제노사이드 문제에 대한 지성인의 비판과 우리의 시대인식에 대해 성찰하였다. One hundred years have passed since the Armenian genocide occurred in 1915. The world expresses deep condolences to the Armenians. Thanks to the tide of this atmosphere of international communities,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two films of a French director, Henri Verneuil, one of those who had to leave the fatherland spreading all over the world and who deals with the genocide problem: an autobiographical movie <Mayrig> and its sequel <588 Rue Paradis>. These two films, treating of the story of an Armenian family immigrated to France after the tragedy, are works we can see the dramatic growth of an artist, who sublimates the memory of the genocide and overcomes the pain of parting through the influence of film. While analyzing Verneuil’s techniques of recognizing and penetrating the ethnic issue of the world through the movie, this paper starts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 Armenian genocide. It is because the genocide is an issue of approaching closer to an objective truth only through the historical backgrounds and the relationship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ies. Based on this recognition,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issues of the Armenian genocide and the phases of diaspora are reproduced on Verneuil’s films by comparing the autobiography written in the form of a novel with the movie. In addition, the aspects of the expansion of individual consciousness to national identity and its justification are closely examined to reflect the correct approach for intellectuals to the problem of genocide and to our awareness of the times.

      • KCI등재

        고려극장에서 상연된 중앙아시아 희곡의 역사·문화·예술사적 지형도 연구 - 문화 접변(接變)과 습합(習合)을 통한 시대적 수용과 변용 양상을 중심으로 -

        박영은(Park, Young Eun)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9 슬라브학보 Vol.34 No.2

        Most of the researches on the Korea Theater up to now were focused on which plays in “Korean language” were performed at the Korea Theater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iterature. Although the preservation of our language and traditional arts were important responsibilities of the Korean artists, the Korea Theater amidst the Soviet regime and the independent Republic of Kazakhstan has been advocating evolution through painstakingly choosing artworks that can raise its artistic status while being responsive to government policies. Accordingly, performance of plays based on original Korean play script was one of the important activities of the Korea Theater, however the leaders of the theater did not pressure the playwrights to write plays only in Korean. Even though translating plays in other languages and putting them on stage was another important mission, whether plays were suitable to be in the theater’s program was their most important task. With such awareness, this study takes a closer look at the following perspectives among the plays performed on stages in Central Asia: The cultivation of multicultural spirit through traditional plays created by Kazakhstan’s representative playwrights Gabit Musrepov and Mukhtar Auezov; cultivation of revolutionary spirit and women’s enlightenment through socialistic realism-oriented performances created by Uzbekistan’s representative playwright Hamza Hakimzoda Niyazi; and the formation of spiritual consensus through humanism-oriented performances created by Kyrgyzstan’s representative playwright Chingiz Aitmatov. Based on this, the study sheds light on the staging repertoire of the Korea Theater, which gradually converged Soviet characteristics, Central Asian worldview, and Koreans’ ethnic elements, as well as contemplating the cultural/artistic goals of the theater’s leaders, aspects of acculturation, and obligation consciousness of the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