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암 특성병원 간호사의 건강보험급여기준 교육이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박양미(Park Yang-Mi),박인혜(Park In-Hyae),김세자(Kim Se-Ja)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0 Nursing and Health Issues(NHI) Vol.15 No.1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상징조형물과 디자인 전형성이 지역문화 정체성과 디자인가치에 미치는 영향
박양미(Yang Mi Par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지역적 발전과 홍보를 위하여 설치되고 있는 상징조형물에 대한 지역민들과 타 지역민들에의 인식과 반응, 그리고 지역정체성에 대한 이해 정도를 파악하고, 조사·연구된 자료를 통하여 앞으로 지역의 상징조형물의 형태 디자인에 관심과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한 조사는 사전조사와 본조사로 나누어두 차례 실시하였으며, 디자인 전문가와 디자인을 전공한 경남과 부산에 거주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상징조형물 인지도, 디자인가치와 지역문화 정체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론적 근거자료를 위하여 인터넷 보도자료, 연구논문 및 단행본 등 문헌자료를 통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와 내용에는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사천, 거창, 고성, 거제, 창원, 양산의 조형물을 추출하여 디자인 전형성 및 정체성과의 관련여부를 조사·연구하였다. 형태의 전형성에 대한 개념은 문헌연구를 통하여 분석된 구성요소들을 추출하여 지역 정체성(고유성, 독자성, 역사성, 지리성)과 디자인가치(현대성, 상징성, 친숙성, 조화성)를 구성하는 요소에 따른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상징조형물이 지역문화 정체성과 디자인가치요소에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자인 전형성이 높은 조형물일수록 지역문화 정체성과 디자인가치에 대한 영향이 컸으며 역사성을 위한 조형물은 디자인 전형성이 낮을수록 그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특히 반추상적 형태와 구체적인 형태가 결합되었을 때, 지역 상징조형물의 시각적 인지도가 높았으며 현대적 관점에서도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지역의 거창 상징조형물이 그 대표적인 사례로 해석되어진다. 본 연구의 대상자와 지역의 범위가 한정되어졌으나, 이는 향후에 그 범위를 확대하는 것으로 연구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This paper is to research about response and awareness of regional symbol sculpture which is for regional development and public relations from local residents and others, and to enlighten them regional identity. It is based on this survey, it would help to improve future symbolic sculptures and the residents` interest. The method of this paper inquired into preliminary research and main survey, which were about recognition research of symbolic sculptures, design values, local cultural identity, and awareness by professional designers and students who are majored in Industrial Design in Busan and Kyungnam. Besides, it was researched by journal articles and literature, web engine, and so on. The scopes and contents in the research are about six areas of architecture like Sacheon, Geochang, Goseong, Geoje, Changwon, and Yangsan and design typicality and identity to test. Besides, this study investigated influences of local identities; uniqueness, originality, historicity, geography and design value; modernity, symbolism, familiarity, harmony via reference books As a result, the symbol sculpture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gional identities and design values. It facts that the more design typicality of symbol sculpture is high, the more visual awareness is high. Especially, regional symbolic sculpture could have visual awareness and modern design when it was designed a semi-abstract and detailed shape. The symbolic sculpture of Geochang is a good example. This paper has a limited range of survey respondents but that would be continued next task to solve the limit.
이신영(Lee, Shin Young),박양미(Park, Yang M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는 패션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이 활발한 현 시점에서, 융합 디자인 교육을 위한 교육설계 제안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패션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콜라보레이션 사례들의 내용 분석을 통해 콜라보레이션의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총 15주, 4개의 프로젝트로 구성된 Co-Creation 기반의 융합 디자인 교육 설계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콜라보레이션 사례들을 유형 분류하고 질적 분석 한 결과, 두명 이상의 디자이너가 참여하는 콜라보레이션 유형이 가장 활발한 Co-Creation을 유도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다양한 아이디어 발상을 유도하고 창의적 작품으로 구체화할 수 있는 가능성과 장점을 가지고 있는 Co-Creation을 창출할 수 있는 요소와 조건들이 교육에 적합하게 체계화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총 15주, 4개의 프로젝트로 구성된 융합 디자인 교육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서로 다른 영역의 작품들이 만들어지는 진행과정을 공유하고, 각 영역 간 공통점을 바탕으로 한 상호 소통과 교환을 통한 디자인 전개 과정을 거치는 Co-Creation은 미래를 위한 융합 디자인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 주는 시도라 할 수 있다. 이에 향후 Co-Creation 기반의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해 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교육안을 개발,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창의 인재를 육성해 낼 수 있는 교육 인프라 확충에 기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As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collaborations in the fashion industry today, this study is conducted with the aim to propose a plan to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In this study, we classify various cases of collaborations and conducting qualitative analysis on them. And we propose four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projects which last for 15 week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 Firstly, when classifying various cases of collaborations and conducting qualitative analysis on them, we learned that the collaboration type where two or more designers participate induces the most active Co-Creation process. Secondly, it is essential to incorporate the elements of Co-Creation with high potential and strong advantage in generating ideas and bringing creativity into education. So, we propose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consists of four projects, 15-week course. Finally, Co-Creation opens up new possibilities for the future of convergence design as it allows participants to share the process of creation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k and helps them interact through communication and exchange of ideas. In this regard, develop a more practical and detailed education plan by case study,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resources and infra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