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베디드 시스템 교육 프로그램 현업적용도 평가지표 개발

        박신윤,김수정 한국직업교육학회 2011 職業 敎育 硏究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learning transfer measurement in the area of embedded system which became one of the leading fields for national economic growth. We analyzed the training programs of embedded system developed and operated by the Association A and identified a set of index to measure the learning transfer based on the experts' verification. Thirty items for each five training programs were finally confirm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addition, the matrix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tencies and the items was defined. This study was meaningful to suggest the methodology of developing the learning transfer measurement and the standard measurement of transfer for embedded system training.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는 현재 빠른 속도로 성장하여 현재 정보통신기술 및 유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기반으로 산업 자동화 분야 뿐 아니라, 가전, 사무, 군사, 우주항공 등 다양한 분야의 지능형 시스템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다양한 관련 교육 프로그램들이 운영되고 있으며 분야의 특수성으로 인해 대부분의 교육이 현업에 적용할 수 있는 실습 위주의 내용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러한 교육의 결과가 실제 현업에서 얼마나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평가 또는 이를 반영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은 그다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단지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의 교육 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에 대한 관심 및 투자에 비해 교육훈련 평가는 경시되어 온 때문이기도 하며, 평가방법 또한 그다지 체계화되어 있지 않다. 그중에서도 특히 학습자들이 교육 프로그램 학습 후 교육의 효과가 현업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평가하는 현업적용도 평가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 후 일정 기간 이후에 이루어져야 하는 불편함과 평가문항개발의 어려움으로 인해 다른 평가방법에 비해 많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어 관련 전문가들은 현업적용도 평가방법 및 문항개발에 대한 관련 기관 및 학자들의 각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필요성으로 본 연구에서는 A협회에서 성공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임베디드 시스템 관련 5개 교육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성과에 따른 지속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현업적용도 평가문항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첫째, 현업적용도 지표개발 관련 문헌을 고찰하고 둘째, 5개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셋째, 현업적용도 문항의 초안을 개발하여 넷째, 내용전문가를 대상으로 문항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후 최종 문항을 확정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문항은 향후 실제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함으로써 당초 수립했던 교육프로그램의 목적이 달성되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의사결정자에게 제공하고 교육프로그램의 수강생 및 담당자에게 교육프로그램 실시 결과를 제시하는 한편 교육 프로그램 시스템 중 취약부분을 밝혀 개선함으로써 추후의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압력지연삼투공정용 초박형 분리막을 위한 유리섬유복합 폴리에테르설폰 지지체와 유리섬유 입자크기에 따른 지지체의 특성

        박신윤,양은목,최희철 한국막학회 2018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8 No.05

        In pressure retarded osmosis (PRO) process, thin film composite (TFC) type membranes which can withstand high operating pressure are required. In this study, glass fibers (GF) are used as additive for mechanical strength enhancement of the support layer of TFC membranes. The support layers were fabricated by a phase inversion method by using the casting solution of blended GF (two different size of milled GF) with polyethersulfone (PES). The fabricated support layers were characterized by FE-SEM, FT-IR, contact angle goniometer, and universal testing machine. Lab-scale ultrafiltratio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measure their performance. As a result, the support layer with milled GF showed higher mechanical strength and water flux than the pure PES support layer, and the support layer with smaller size GF showed higher performance.

      • KCI등재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역량모델 개발

        박신윤,이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for chief executive officer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To effectively accomplish this goal, the Starting from Scratch Method(Lucia & Lepsinger, 1999) was applied and 7 steps of procedure were designed. First, the outstanding CEOs based on their performance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and the BEI(Behavior Event Interview) method was used for interview. Second, the various behavioral cases of the CEOs were collected through the BEI method. Third, the potential competencies were derived by Lucia and Lepsinger's the 3-steps-analysis method, and the definition of each competency was written. Then the competencies were structured and the potential competency model was developed. Fourth, the potential competency model was verified by subject-matter experts. Fifth, the potential competency model was revised based on the subject-matter experts' advise. Sixth, the survey of importance level was conducted with the CEOs who were the awardees of the Quality Competition Excellent Enterprises (QECC). Seventh, the competency model for CEO in SMEs was finalized based on the survey. The finalized 43 competencies were structured by 3 competency areas and 7 competency groups. The 3 competency areas consist of fundamental competency, job competency, and leader compentecy. And the 7 competency groups consist of individual effectiveness, opportunity recognition, expert knowledge, relation building, business management, leadership,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the 18 competencies include crisis management, influence, passion for business, ethics, communication, positive mind-set, specific goals and vision and etc. were shown as over 6.0(important) in importance level.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고자 이 연구에서는 Lucia와 Lepsinger(1999)의‘새로운 역량모델개발 방법론(Starting from Scratch)’를 활용하여 7단계로 연구절차를 설계하였고 단계 별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이 되는 고성과자의 기준을 선정하여 이에 준하여 연구대상을 제한하고 행동사건인터뷰 기법을 이 연구의 연구방법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행동사건인터뷰를 실시하여 다양한 행동사례를 수집하였고 셋째, 인터뷰 결과를 전사하여 Lucia와 Lepsinger가 제시한 ①역량요소 도출, ②잠정역량과 인용문 제시, ③잠정역량도출의 3단계 분석기법에 따라 잠정역량을 도출한 후, 역량정의문을 작성하고 역량을 구조화하여 잠정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넷째, 이 연구의 주제와 관련한 내용전문가를 섭외하여 잠정역량모델을 검증하였으며, 다섯째, 내용전문가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역량을 수정·보완하였고 여섯째, 품질경쟁력 우수기업 경영진을 대상으로 중요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일곱째,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역량모델의 타당성을 확보함으로써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역량모델을 확정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절차를 통해 도출된 43개 역량은 타당성 검증을 통해『기본역량』,『직무역량』,『리더역량』등 3개의 역량 영역과 「개인효과성」, 「기회인식」, 「전문지식」, 「관계형성」, 「사업관리」, 「리더십」, 「인적자원관리」등의 7개 역량 군으로 구조화하여 중소기업 최고경영자 역량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중요도 설문조사 결과 이들 중 중요도 수치 6.0(중요함)이상으로 나타난 역량은 ‘위기관리’, ‘영향력’, ‘사업에 대한 열정’, ‘윤리의식’, ‘커뮤니케이션’, ‘긍정적 사고’, ‘구체적 목표 및 비전제시’ 등을 포함한 18개 역량이었다.

      • KCI등재후보

        정부주관 중소기업 근로자 지원사업 수행기관 심사지표 개발 : 중소기업 핵심직무능력향상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이찬,나승일,박신윤,민상기,임재원 한국산업교육학회 2009 산업교육연구 Vol.18 No.-

        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주관 중소기업근로자 지원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사업시행 교육훈련기관의 심사지표를 개발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중소기 업 경쟁력 강화 및 인적자원개발 투자확대를 유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2006년부터 실시해온 “중소기업 핵심직무능력향상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문헌연구, 조사연구, 전문가협의회 등을 실시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교육기관 평가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고, 핵심직무능력향상 지원사업 추진현황을 파악하여 심사지표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설 문을 활용한 조사연구를 통하여 교육생의 만족도 및 현업적용도를 평가하고, 사업 시행 기 관의 효과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심사영역, 심사 항목 및 심사지표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1차 개발안을 대한 검증 및 수정을 통해 최종적으 로 4개 심사영역, 13개 심사항목, 29개 심사지표를 개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evaluation index for educational training organization which implements its busines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government centered supporting project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employe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literature research, investigation and expert meetings with the supporting project for core job competency development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b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as the center. First, it studied the theories of evaluation of educational organization via literature research, and followed up with the on-going supporting project for core job competency development. Second, it evaluated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and job application through investigation with survey and derived the implication of the effect of organization which conducts project. Lastly, it examined the validity of evaluation field, evaluation item and evaluation index through expert meeting, and verified and revised the first development plan, and then developed four of evaluation fields, thirteen of evaluation items and twenty nine of evaluation indexes.

      • KCI등재

        중소기업 경력개발 지원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설계

        이찬,정철영,김진모,박신윤,문한나,금은정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0 No.4

        Based on “Research to Create a Support System to Support Worker’s Career Development: Focusing on Office Workers”(Lee et al., 2007), The four areas of marketing, personnel, accounting, and production management were selected as those most requiring educational needs. With the aim of helping to develop Competency-based Curriculum(CBC) based on the four areas of Office Work, this research first derived competencies related to four areas of Office Work's duties through workshops and interviews then used these competencies to develop CBC, including measurement tools, road maps etc. the Procedures of CBC Development employed the following competency modeling after synthesizing the above research. a) In order to examine the results of a particular task, the results of various tasks were derived and grouped according to significant similarities. b) After examining and defining the competency necessary to achieve results, the knowledge, technology and attitude(K.S.A.) and behavior index was derived. c) After conducting interviews in order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competency derived, the competency modeling was finally decided upon. After the competency modeling, the following methods considered most appropriate for educational process development were chosen (Kim e. al., 2005).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cess after grouping the knowledge, technology, attitude (K.S.A.) into those with similar meanings Development of educational method after deciding on the priority of the competencies, creating the competency matrix, and formulating the program according to each unit Formulating a TA-centered program after determining the priority of the competencies and making a competency matrix.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근로자 대상 교육과정 중 가장 니즈가 많은 것으로 나타난 마케팅, 인사, 회계, 생산관리 분야에 요구되는 역량을 도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역량 기반 교육과정(Competency-Based Curriculum; CBC)을 개발하는데 있으며, 이를 통해 중소기업 근로자의 직무전문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역량을 기반으로 개발된 교육프로그램 뿐 아니라 직무별 역량진단 도구 및 TRM(Traning Road Map)을 제공함으로써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해 자신의 현재 상태를 주도적으로 진단하고 스스로 경력개발 경로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더불어 본 교육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시행을 위한 운영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이 연구를 진행하게 된 배경은 2007년 산업인력공단에서 중소기업 근로자의 핵심직무능력 향상훈련지원분야를 확대하고자 하는 국가의 요구에 맞추어 진행한, 이찬 외(2007)의 ⌜근로자 경력개발 지원체계 방안연구⌟ 연구에서 사무활동분야별 직무교육 필요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마케팅, 인사관리, 회계, 생산관리 분야의 교육과정에 대한 니즈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제언으로써 4개 직무분야에 대한 직무역량도출 및 역량기반 교육과정개발에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어 본 연구에서 이를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특징은 중소기업 근로자들을 위해 기존에 제공되었던 교육과정과 차별화하여 근로자들이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면서 요구되는 역량을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함으로써 실제로 업무수행에 필요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시도했다는 점과 스스로 경력개발 경로를 구축해나 갈 수 있도록 자가진단도구와 학습경로 로드맵을 함께 제시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시대 인재전환을 위한 역량모델링

        이찬(Chan Lee),유영주(Young-Ju Yoo),박신윤(Sin-Yoon Park),한성주(Sung-Ju 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이 연구는 서울 소재 A국립법인대학 직원을 대상으로 디지털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역량별 교육요구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 수행을 위하여 첫째, 디지털 역량 관련 선행연구 고찰 후 DQ(Digital Intelligence)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역량모델 초안을 도출하였다. 둘째, 내용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워크숍(인터뷰)을 수행하여 역량모델 수정안을 도출하였다. 셋째, 전문가 12인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여 최종 역량모델을 확정하였다. 넷째, 최종적으로 도출한 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최종 역량모델은 총 24개 역량(8개 역량군 × 3개 세부역량)으로 구성되며, 각 역량의 정의와 행동지표를 모두 도출하였다. 또한 교육요구도 분석 결과 ‘디지털 안전(3-1, 3-2, 3-3)’과 ‘디지털 보안(4-1, 4-2, 4-3)’, ‘디지털 권리(8-2)’ 역량군에 속한 세부 역량이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교육 주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가 목적에 부합하도록 의미 있는 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연구결과에서 제시한 역량모델을 기반으로 교육과정 개발, HR 시스템 전환을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며, 최고경영자를 포함, 관리자들의 변화 마인드가 요구된다. 또한 디지털 역량모델의 경우 역량의 특성상 정보의 변화, 기술의 발전, 교육요구도의 변화에 따라 그 내용이 쉽게 달라질 수 있는 분야이므로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digital competency model and analyze educational requirements by competency for employees of A National University in Seoul. Methods For conducting the study, First, a draft competency model was derived based on the Digital Intelligence (DQ) framework after considering prior research related to digital competence. Second, 10 Subject Matter Experts(SME) were interviewed to derive a capability model amendment. Third, 12 experts conducted a three-round Delphi survey to finalize the final competency model. Fourth, training requirements for the finally derived competencies were also analyzed. Results The final competency model consists of a total of 24 competencies (eight competency groups x three detailed competencies), with both definitions and action indicators of each competency derived. In addition, the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confirmed that detailed competencies in the “Digital Safety (3-1, 3-2, 3-3)” and “Digital Security (4-1, 4-2, 4-3)” and “Digital Rights (8-2)” competencies should be considered as top priority. Conclusions In order for this study to lead to meaningful outcomes in line with its purpose,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curriculum based on the competency model suggested in the research results and to make efforts to convert the HR system, and managers, including the CEO, are required to have a change mindset. In addition, digital competency models require continuous updates because their contents can easily vary depending on changes in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 and educational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