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특성, 간호전문직관 및 내재적 동기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려,수혜 한국장기요양학회 2018 한국장기요양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Vol.2018 No.-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특성, 간호전문직관, 내재적 동기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B 광역시에 소재 300병상 미만의 4개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직무특성 정도는 평균평점이 3.44±0.39(척도 범위: 1-5),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평균평점이 3.23±0.35(척도 범위:1-5), 내재적 동기 정도는 평균평점이 3.05±0.59(척도 범위: 1-5), 직무만족 정도는 평균평점이 2.98±0.36(척도 범위: 1-5)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정도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성별(t=2.040, p=.04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직무관련 특성에서는 근무형태(t=-2.264, p=.025), 밤근무 횟수(F=3.090, p=.017), 근무시간(F=5.201,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직무만족은 직무특성(r=.382, p<.001), 간호전문직관(r=.609, p<.001) 및 내재적 동기(r=.472,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직무만족 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전문직관(β=.469)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내재적 동기(β=.306), 근무시간(β=-.205)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설명력은 47.7%이었다. 결론: 중소병원 간호사는 직무특성, 간호전문직관, 내재적 동기의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전문직관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내재적 동기, 근무시간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내재적 동기를 강화하는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시간선택제 및 단축근무제와 같은 탄력적 근무제도의 도입과 제도적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Spectroscopic ellipsometry modeling of ZnO thin films with various O2 partial pressures

        조남규,박수혜,윤일구 한국물리학회 2012 Current Applied Physics Vol.12 No.6

        ZnO films were deposited on thermally oxidized SiO2/p-type Si (100) substrates and glass substrates by DC magnetron sputtering using a metal Zn target. Three types of samples were prepared with various O2/(Ar + O2) ratios (O2 partial pressure) of 20%, 50%, and 80%. The properties of these ZnO thin films were investigated using X-ray diffraction (XRD), optical transmittance, atomic force microscopy (AFM), and spectroscopic ellipsometry in the spectral region of 1.7e3.1 eV. The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ZnO thin films were affected by O2 partial pressure. Relationships between crystallinity, the ZnO surface roughness layer, and the refractive index (n) were investigated with varying O2 partial pressure. It was shown that the spectroscopic ellipsometry extracted parameters well represented the ZnO thin film characteristics for different O2 partial pressures.

      • KCI등재

        데이컴기법을 활용한 분만실 간호사의 업무활동 분석

        김현주,임종순,최선미,소희,박수혜,안성은,김희정,김은실,정인아,김수 병원간호사회 2015 임상간호연구 Vol.21 No.3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various nursing services of delivery room nurses by hospital level, and identify importance and frequency to provide baseline data to establish delivery room nurses' roles. Methods: Through DACUM analysis technique, service descriptions, duties, and tasks were derived from the literature. A survey was done of 242 nurses from delivery rooms of hospitals, general hospitals, superior general hospitals, and special hospitals. Importance and frequency of each service were measured using a 4point scale, and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Results: Nursing services for delivery room nurses consisted of 18 duties and 86 tasks. Duties with the highest importance were 'labor support' and 'infection management', and those with lowest importance were 'collaborative care' and 'communication'. The duty with the highest frequency was 'labor support', and lowest frequency was 'communication'.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frequency depending on the size of hospitals. Conclusion: Results of this first study on nursing services of delivery room nurses. delivery room nurses are performing a wide range of nursing services and the various types are clarified including importance and frequency. Purpose: 본 연구의 목적은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전문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분만실 간호사의 간호업무활동을 파악하고 의료기관 특성에 따른 분만실 간호사의 간호 업무활동 수행도와 중요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Methods: 데이컴 직무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만실 간호업무를 임무, 일, 일의 요소로 분류하였으며 간호 수행도와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서울 및 경기, 인천의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전문병원의 32개의 병원에서 1년 이상 분만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2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Results: 분만실의 업무는 4개의 임무, 18개의 일과 86개의 일의 요소로 분류되었다. 일의 중요도가 높은 항목은 진통 중 간호, 감염관리였으며 낮은 항목은 협력적 간호, 의사소통으로 나타났다. 수행도는 진통 중 간호가 가장 높았고 의사소통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의료기관분류에 따른 일의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를 보면 산후관리, 감염관리가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고, 진통 중 간호, 산후관리, 수술지원, 투약, 감염관리, 안전간호, 협력적 간호, 교육, 의사소통, 환경관리, 약물과 의료기구 관리 등 11가지 항목이 병상규모에 따라 업무별 수행도 차이가 있었다. Conclusion: 분만실 간호사의 업무를 목록화하고 분만실 간호사의 업무를 표준화하고 질 관리를 하기 위한 초석을 마련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나 병원이상 의료기관과 지역적 제한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 KCI등재

        DACUM을 이용한 고위험 산모 · 신생아 통합센터 간호사의 직무분석

        김희정,김증임,안숙희,김명희,김윤미,조경숙,황남숙,최정선,박수혜,이은희 병원간호사회 2018 임상간호연구 Vol.24 No.1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role and to analyze the job of MFICU (Maternal Fe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using DACUM (Developing a curriculum). Methods: A DACUM workshop was held to define MFICU nurses’ role and identify their duties and tasks. A DACUM committee was consisted of 7 nurses, 2 nursing professors and 1 medical doctor and as a result, a survey was developed which contained duties and tasks of MFICU nurse. Pre-test was carried out for the validity, finally collected the data from 97 nurses who worked at 7 MFICU and 10 delivery room. Results: A total of 60 duties, 115 tasks and 822 elements of tasks were defined on the DACUM chart and survey. The importance, frequency and difficulty of the tasks were presented the determinant coefficient (DC), the highest DC duty was ‘Manage maternal ventilator’ (15.09) and the lowest DC was ‘Provide nursing care for leisure to gestation extension mother’ (6.52). Twenty-eight tasks were differentiated between MFICU and delivery nurses significantly. And the most important, frequently, difficulty task perceived by MFICU nurse was ‘Check fetal heartbeat with electronic fetal heart monitor’. Conclusion: The organized educational program and policy was needed to develop for MFICU n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