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Effect of the Memorial Writing Program for the Autobiographical Memory in Parkinson’s Disease

        Park Su-Hyang(박수향 ),Park Soo-Hee(박수희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3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5 No.2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an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utobiographical memory of Parkinson's patients. Methods The study used a single-subject experimental design (A-B-A). The experiment comprised 26 sessions: 3 sessions of basic lines (A), 20 sessions of intervention (B), and 3 sessions of measurement after intervention (A’). The total number of memories retrieved through autobiographical interview was used to compare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According to pre- and post-measurement results, the episodic and semantic autobiographical memories did not improve substantially; however, the total number of retrieved autobiographical memories improved significantly.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an autobiographical writing program positively influences autobiographical memories and can be used as part of an interven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In the future, more study subjects will be included for generalization purposes.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서전 쓰기 프로그램이 파킨슨 환자의 자전적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보고 파킨슨 환자의 중재 방법 중 하나로 자서전 쓰기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참여에 동의한 파킨슨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설계는 Single Subject Experimental Design A-B-A 디자인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기초선(A) 3회기, 중재(B) 20회기, 중재 후 측정(A’) 3회기로 총 26회기를 실시하였다. 이후 자전적인터뷰를 통한 회상 인출 횟수로 전-후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 전-후 측정값 결과 자전적 기억의 일화기억, 의미기억 각 각의 향상에 대해서는 유의한 향상이 없었지만 전체 자전적 기억 회상 횟수에서는 유의한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연구결과를 통해 파킨슨 환자에게 자서전 쓰기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더 많은 대상자를 확보하여 일반화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상지 강제유도운동치료에 관한 체계적 고찰

        박수향(Su-Hyang Park),백순형(Soon-Hyung Baek),신중일(Joong-il Shin)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에서 보다 구체화된 강제유도운동치료 계획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며, 추후 강제유도운동치료에 대한 연구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은 정해진 주제에 대해 과학적인 근거를 제공할 수 있는 체계적 고찰을 사용하였으며, 도출된 자료는 PICO(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원리에 따라 정리하였다. 분석대상 연구는 데이터베이스 Embase와 Medline에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Stroke’을 검색한 후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총 42개 연구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강제유도운동치료 연구의 질적 근거 수준은 체계적 고찰·메타분석·무작위 대조군 연구가 전체의 50%로 높은 질적 근거 수준이었다. 연구 진행시기는 2010년 이전에 진행된 연구가 2010년 이후에 진행된 연구 보다 42.8% 더 많았다. 강제유도운동치료 중재를 받는 뇌졸중 환자의 발병단계는 급성, 아급성, 만성 구분 없이 진행한 연구가 40.5%로 가장 많았다. 중재는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보다 기존의 강제유도운동치료로 진행한 연구가 40.2% 더 많았다. 강제유도운동치료 중재 방법에 따른 효과는 중재 방법에 상관없이 75% 이상의 연구에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강제유도운동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손상된 상지에 효과가 있으며, 연구결과는 임상에서 강제유도 운동치료 계획을 수립할 때 유용한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근거자료가 부족한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의 효과성 검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효과성 검증에 따른 고찰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ed to useful data to establish the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CIMT) in clinical plan to more specific for stroke patients. Also It is provided way for further study about CIMT. Methods used a systematic review. Systematic review is a research method that can be presented to the scientific evidence. Data were organized by PICO(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Research using the database Embase and Medline, It was searched for CIMT and Stroke. We selected for a total of 42 studies that mee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e was selected for a total of 42 studies that mee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Results was that the quality of the study is a systematic review, meta-analyzes, randomized controlled. CIMT studies was based on a high quality level of 50% of the total.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udy period was 42.8%, more research was conducted prior to 2010. CIMT has been used more than mCIMT by to differ 40.5%. It is effective in over 75% of study, regardless of the CIMT intervention. In conclusion, CIMT has an effect on the upper limbs of stroke patients damaged, results will be used as a useful material to develop a CIMT in the clinical treatment plan. In future studies will need to validate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mCIMT, It will require a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validation studies.

      • KCI등재

        요양병원 입소자의 여가관리 실태조사

        박수향(Su-Hyang Park),박수희(Soo-Hee Park)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입소자의 여가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추후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대상자는 부산, 경남, 광주, 전남 지역 요양병원에 입소하여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자 103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한 설문지로 불성실응답 3부를 제외한 100부를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가활동 유형에서는 유형에 관계없이 TV시청이 83%로 가장 많았다. 여가활동은 1시간 이상 2시간 미만 참여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여가활동은 대부분 병실에서 수행하고 있었다. 하지만 입소자들이 어쩔 수 없이 여가활동을 시작하게 된 경우가 가장 많았으므로 여가 활동에 대한 장애요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었다. 여가활동의 장애요소로는 신체적 문제가 70%로 가장 많았지만 만성 환자가 대부분인 요양병원에서 손상된 신체에 초점을 맞춘 중재를 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원하는 여가 유형은 취미 및 교양부문을 즐길 수 있도록 지지해주고, 입소자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여가 시설을 확충해줄 필요가 있다. 또한 77%의 입소자가 여가 교육을 원하고 있기 때문에 추후 필요한 여가 시설 확충뿐만 아니라 입소자들이 관심 있는 여가 유형에 따라 참여할 수 있는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해주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의 결과는 요양병원 입소자의 여가관리를 개선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병원 내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구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과 더 많은 입소자들을 포함하여 실태조사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 of nursing home residents" leisure management and suggest measures to improve this in the future. Study participants were 103 persons and a statistical analysis of 100 questionnaires was made except 3 questionnaires to which the response was insincere. In the results of leisure activity type, the percentage of persons who watched television was 83%, and it was the highest. The number of cases that participated in leisure activities for 1 hour or over and under 2 hours was the largest. Most of them were in leisure activities at ward. With regard to obstacles to leisure activities, physical problem accounted for 70%, and it was the highest. Therefore, with regard to leisure type,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residents so that they enjoy hobby and culture category, and extend leisure facilities so that they can easily participate. Besides, 77% of them want leisure education. So, it is thought that a leisure activity program in which residents can participate according to leisure type in which they are interested should be constructed as well as extending necessary leisure facilitie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study can be used as data useful for improving the nursing home residents" leisure management and will be helpful in specifically constructing a leisure activity program within the nursing home. It is thought that there is necessity for fact-finding survey including various regions and more residents in further research.

      • KCI등재

        기초의학 과목에서 동영상 사전학습을 적용한 플립드 러닝의 만족도 연구

        박수향(Su-Hyang Park),이문영(Mun-Young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2

        기초의학 과목은 보건계열 학과에서 전공의 이해를 위해 필수적으로, 중요도가 매우 높다. 한편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적용이 시도되고 있는데, 플립드 러닝도 주목받고 있는 교수법 중 하나이다. 플립드 러닝은 학습자가 수업시간 전에 제공된 사전학습 자료로 미리 학습을 하고 수업시간에는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활동을 하는 수업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H대학의 작업치료학과 재학습자가 수강한‘신경해부학 및 실습’과목에 플립드 러닝을 적용 후 수강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만족도 설문을 실시하였다. 전반적인 수업의 조직화와 학습자료 및 학습활동은 잘 준비가 되었고 학습자들의 학습참여도도 높게 나타났다. 플립드러닝을 재수강 할 의향(3.12±0.50/4점) 및 기존수업대비 플립드 러닝의 학습에 대한 도움정도(3.33±0.48/4점)에서 높은 학습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플립드 러닝의 도움 요소에서는‘수업 이해도 증가’및‘쉬운 복습’등이 많은 의견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플립드 러닝은 기초의학 과목에서도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므로 더 많은 기초의학 과목에도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The basic medical subjects are essential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major in the department of health science and are very important. 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of new teaching methods is being attempted in various fields. Flipped learning is also one of the most popular teaching methods. Flipped learning is a teaching method in which a student learns in advance with pre-class materials provided before class and performs various activities through interaction with peers during in-class. After applying flipped learning to the "Neuroanatomy and Practice" course taken by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at H University, this study conducted a satisfaction survey for students taking the course. The overall organization of class, learning data and activities were well prepared and students" participation in learning was also high. High learning satisfaction was shown in intention to retake flipped learning (3.12±0.50/4 points) and the degree of helpfulness of learning in flipped learning compared to existing class (3.33±0.48/4 points). In addition, "Increased understanding of classes" and "easy review" showed many opinions in the help elements of flipped 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flipped learning should be applied to more basic medical subjects because it also showed high satisfaction in that.

      • KCI등재

        뇌졸중 노인의 신체적, 환경적, 정서적, 수면 방해 요인에 따른 수면 위생의 차이

        박수향(Su-Hyang Park),신중일(Joong-Ill Shi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노인의 수면 방해 요인에 따른 수면 위생의 차이를 알아보고 수면 방해 요인에 대한 중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연구대상자는 부산, 경남, 광주, 전남에 위치한 6개 기관의 뇌졸중 노인 총 120명이었으며, 6개 대상기관에 설문지를 배포한 후 대상자는 작업치료사의 도움을 받아 구글 드라이브를 이용한 모바일 설문에 참여하였다. 미응답, 불성실 응답 40부를 제외한 설문 80부를 SPSS 21.0 mac version을 사용하여 항목의 특성에 따라 분석하였다. 수면방해 요인 유무에 따른 수면 위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적 방해요인, 환경적 방해 요인, 정서적 방해 요인 세 가지 방해 요인 모두에서 방해 요인을 가지고 있을수록 뇌졸중 노인의 수면 위생이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노인의 수면 방해 요인이 수면 위생에 부정적인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공통적인 수면 방해 요인인 스트레스와 불안한 상태, 불편한 침실에 대한 중재가 우선적으로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추후 요양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노인의 수면방해 요인 감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search the difference of sleep hygiene depending on whether patients staying in care hospitals have sleep disturbance factors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intervention on sleep disturbance factors. The subjects were total 120, who completed survey with the help of occupational therapists after questionaries were distributed. Total 80 copies except unanswered and unfaithful 40 copies were analyzed with the use of SPSS 21.0 mac version by characteristics of each item. To research the difference of sleep hygiene depending on whether they have sleep disturbance factors, independent sample T test was use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when they had all disturbance factors including physical factor, environmental factor and mental factor, the sleep hygiene was not good. Based on the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leep disturbance factors of patients staying in care hospitals are negative elements of sleep hygiene, and the intervention to reduce sleep disturbance factors is needed. Thus, there should be active future research about reduction of sleep disturbance factors of patients staying in care hospital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테라테인먼트적 인지자극치료가 경도에서 중등도 치매환자의 인지세부항목에 미치는 영향

        박수향(Su-Hyang Park),김희영(Hee-Young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인지자극치료를 제공하고 전반적 인지기능 및 인지기능 하위 기능들의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효과적인 치료대상 선정 및 구체적 치료목표 수립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함이었다. 연구에 참여한 치매노인은 총 120명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60명씩 무작위 배정하였다. 실험군은 인지자극치료를 받았으며 대조군은 전통적인 인지치료를 받았다. 중재는 동일하게 주 2회, 7주간, 총 14회기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자극치료는 전반적인 인지기능 향상을 촉진시키며 인지하위항목에서는 시간지남력, 도형인식, 겹쳐진 그림, 물체의 항상성, 공간지각능력에서 검사자의 신체지적, 주변물건의 방향성, 물체사용, 상징적 활동, 도형복사, 블록디자인, 퍼즐재구성, 시계그리기, 분류, 그림순서, 숨긴 물건 찾기, 일상의 물건 찾기 능력에 효과가 있었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작업치료사들이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인지적 접근을 할 때 더욱 구체적인 치료목표를 수립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도 작업치료 중재의 보다 구체적인 치료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of Cognitive Stimulation Therapy for dementia. Check the changes in dementia with Cognitive Stimulation Therapy and when selecting a therapeutic plan to establish specific therapeutic goals to prepare the evidence. Dementia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120 people, 120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N=60) and control group(N=60).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Cognitive Stimulation Therapy, control group received a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Intervention was conducted to Twice a week, 7 weeks, with a total of 14 sessions. Research results, that Cognitive Stimulation Therapy is promoted to improve the Orientation for Time, Visual Idnt. of Shapes, Overlapping Figures, Object Constancy, Directions in Front · Spatial Relation of Spatial Perception, Utilization of objects, Symbolic Actions, Copy Geometric Forms, Block Design, Reproduction of Puzzle, Drawing a Clock, Categorization, Picture Sequence, A Personal Possession, Everyday Object in that the sub-items to facilitate improved general cognitive function. Occupational therapis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to establish more specific therapeutic goal to cognitive treatment for dementia. As shown in this study, In further studies it is needed studies on the treatment of specific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 KCI등재후보

        요양병원 입소자의 수면상태가 작업치료 참여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수향 ( Su Hyang Park ),박수희 ( Soo Hee Par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입소자의 수면상태가 작업치료 참여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연구의 결과를 통해 수면영역에 대한 중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연구대상자는 총 74명으로 URL 설문지 형태로 작업치료사의 도움을 받아 설문에 참여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1.0 mac Version을 사용하여 항목의 특성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면상태와 작업치료 참여태도 간의 상관관계는 이변량 상관계수-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입소자들은 아침에 너무 일찍깨는 수면상태의 문제가 있었으며, 작업치료에 대해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지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대상자의 수면상태는 작업치료참여태도 항목 중 의미, 시간에 해당하는 3개 항목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수면을 방해하는 요소는 신체적인 문제, 소음 문제, 개인적인 걱정거리, 어색한 병실 환경의 문제, 병실로 들어오는 불빛의 문제 순으로 심각했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요양병원 입소자의 수면상태가 작업치료 참여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른 중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추후 작업치료 분야에서는 수면영역의 중요성과 수면문제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leep state of residents in long-term hospitals on occupational therapy participation attitude, and to suggest necessity of arbitration about sleep state. Total 74 study participants participate in this study with URL Questionnaire. SPSS 21.0 mac version i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re conducted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questions. In addition, bivariate correlation coefficient-Pearson correlation analysis is conducted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sleep state and occupational therapy participation attitude. As a result, residents in long-germ hospitals have a sleep problem that they wake too early, and have positive thought of occupational therapy in broad outlines, but do not think that this therapy offers new experience. Sleep state of participants has a correlation with 3 questions amounting to meaning and time of questions of occupational therapy participation attitude. Factors obstructing sleep of participants are serious in the order of physical problem, noise, individual cause of worry, unfamiliar ward environment, and light entering ward.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sleep state of residents in long-term hospitals has an impact on occupational therapy participation attitude, and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meaning that sleep state has an impact on participation in occupational-therapy. Therefore, it is thought to proceed a development research of occupational therapeutic arbitration protocol of sleep domain an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in long-term hospitals can participate actively and pleasantly in the future.

      • KCI등재

        1 N급 단일추진제 추력기 개발모델의 장기수명 연소시험 PartⅠ: 환경시험 및 연속모드 성능 특성

        원수희(Su-Hee Won),김수겸(Su-Kyum Kim),전형열(Hyoung-Yoll Jun),이준희(Jun-Hui Lee),박수향(Su-Hyang Park),이재원(Jae-Won Lee) 한국추진공학회 2014 한국추진공학회지 Vol.18 No.6

        Acceptance level random vibration and life firing test for development model of 1 N-class monopropellant thruster have been performed. From the results of random vibration,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dual thurst module composed of 1 N-class development model thrusters was higher than the part level requirement(>100 Hz) and the structural robustness was verified. Thrust decrease of steady sate was below 7% and thrust instability was within ±5% in the life firing test using over 20 kg propellant throughput. The computerized tomography for catalyst bed showed a less than 7% of catalyst loss and it revealed the design appropriateness of the current thruster development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