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지역 설사환자에서 분리한 Campylobacter jejuni의 항균제 감수성과 유전자형 분석

        박선희,김병준,권영희,황인영,성경혜,박은희,진성현 대한임상미생물학회 2019 Annals of clinical microbiology Vol.22 No.2

        부산지역 설사환자에서 분리한 Campylobacter jejuni 의항균제 감수성과 유전자형 분석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감염병연구부 미생물팀박선희, 김병준, 권영희, 황인영, 성경혜, 박은희, 진성현배경: Campylobacter는 식품매개질환의 중요한 원인균으로,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설사환자에서 분리한 Campylobacterjejuni의 분리경향, 항균제 내성률, 유전자형 분석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2014년부터 2017년 9월까지 급성설사질환 감시사업 및 5건의 식중독 사례에서 97주의 Campylobacter jejuni를 분리하였다. 항균제 감수성 검사는 9종류의 항균제(ciprofloxacin (CIP), nalidixic acid (NAL), tetracycline (TET), chloramphenicol,azithromycin (AZI), erythromycin (ERY), streptomycin (STR), gentamicin, telithromycin)에 대하여 액체배지미량희석법으로 실시하였고, 유전자형은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로 분석하였다. 결과: Campylobacter jejuni의 4년간 평균 분리율은 2.0%였으며 해마다 분리율은 증가하였다. 항균제 내성률은 NAL90.9%, CIP 89.4%, TET 13.6%, AZI와 ERY 각 3.0%, STR 1.5% 순이었고, 다제내성률은 18.2%였으며 다제내성균주 모두quinolone계 항균제(CIP-NAL)를 포함하고 있었다. SmaI 제한효소로 처리한 PFGE 패턴은 모두 17개 cluster로 분류되었으며 이 중 cluster 11이 부산지역에서 분리되는 Campylobacter의 주요 유전자형 패턴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적절한 항균제 사용과 항균제 내성 관리를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며, 향후 증가가 예상되는Campylobacter로 인한 식중독의 역학 조사를 위한 자료 축적에 도움이 될 것이다.

      • 국제사회복지론 교과목 지침서에 따른 대학교재의 분석

        박선희 국제사회복지학회 2016 국제사회복지학 Vol.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국제사회복지의 교육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대학교육협의회 의 교과목 지침서를 기준으로 현재 대학에서 교재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4권의 교재를 중심으로 내 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사회복지대학교육협의회 지침서의 기준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주 교재 외 관련된 별도의 교재나 자료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는 점, 둘째, 국제사회복지가 정체성 있는 전공학문 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지식체계의 기반이 정립되어야 한다는 점, 셋째, 국제사회복지에 대한 합의된 정의, 국제사회복지사의 역할과 평가에 대한 협의가 필요하다는 점, 넷째, 국제사회복지사 양성을 위해 국제사회복지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점 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설계 쟁점에 따른 한국 대형 공원 설계의 비판적 분석

        박선희,배정한 국토연구원 2013 국토연구 Vol.76 No.-

        Since the 2000s, a number of large parks have constructed in Korea. These large parks work like infrastructure in urban field. Then, how to design the large parks? As part of the answer to this question, this study proceeds that the following discussion. First, this study derives the three concepts as design issues of a large park: publicity, ecology, aesthetics. Through the large parks design, designers intend to restore and expand the value of the publicity of the park. And they intend to integrate the city and ecosystems. Besides, they overcome the limits of traditional aesthetics of the park. If so, how these design directions appear in the actual design? In order to do this, this study analyzes the design competition winners for the leading three large parks that occurred in Korea. These competitions are as following: Ttukseom Forest Park Design Competition(2003),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for Central Open Space in Multi- 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2007), and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Master Plan of the Yongsan Park(2012). As a result, large parks suggest a new role to the space of parks. The large parks designs transformed a park to an operated and organic space. However some problems have found in designs, so designers should review it. In addition, due to a new strategy of large parks, the intrinsic function of the park is overlooked. So recovering the intrinsic function of the park is required. 2000년대 이후 한국의 도시에는 다수의 대형 공원이 계획˙조성되었다. 이들 대형 공원은 도시와의 관계 속에서 기반시설처럼 작동한다. 그렇다면 대형 공원은 어떻게 설계되는가? 본 논문은 이에 대한 답의 일환으로 먼저 공공성, 생태, 미학이라는 세 가지의 설계 쟁점을 도출하였다. 대형 공원 설계에서는 공원의 공공성 가치를 회복하고 확장시키고자 한다. 또한 도시와 생태계를 통합하고, 전통적 공원 미학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설계 방향은 실제 설계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나타나는가? 본 논문은 ‘뚝섬 숲(안) 조성 현상공모(2002)’,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국제 설계공모(2007)’,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2012)’의 수상작들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대형 공원은 공원의 역할에 새로운 좌표를 제시했다. 각각의 설계안들은 공원을 도시 내에서 보다 작동적이고 유기적인 공간으로 만들고자 했다. 그러나 다각도에서 설계상의 한계가 나타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속적인 피드백이 필요하다. 한편, 대형 공원 설계에서 간과되는 일상적이고 사소한 공원 본연의 역할을 되돌아보게 된다. 공원의 본질적인 역할과 가치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공원 설계의 성숙한 진화를 모색해야 한다.

      • KCI등재

        유럽연합의 대외관계: 1990년대 이후 지역간주의(interregionalism)의 강화

        박선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9 국제지역연구 Vol.12 No.4

        If the interregionalism as such is no novelty, what is then new about the reemergence of interregionalism in the European Union's external relations in the 1990s ?" This article explores the extent to which it makes sense to see the use of the interregionalism as an instrument to provide partnership of the EU. Interregional relations espoused with the partnership spirit, compose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EU's external relations in the 1990s. Despite the simultaneous tendency of interregionalism both experiencing in US and in EU with the rise of the new Regionalism from the mid-1980s, I argue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U and the US especially in terms of the way in approaching the regionalism. This is more salient when compared to the US bilateral-like manner even within the regional system. Moreover, in the US participating regional cooperation such as NAFTA, FTAA and APEC, these regional cooperations are likely to function as a sphere of influence for the US due to the dominant US role. As for the EU, I suggest that EU is using interregionalism as a way to lay down a regional Hub-and-Spokes system in difference to US bilateral style Hub-and-Spokes system. Hence, to EU, the use of the interregional relation is a way to forge a partnership with other region or region-likes in order to reinforce the European order which could suggest an alternative way of an US driven world order. 유럽연합은 설립 초기부터 대외 관계에 있어 자신이 구축한 지역 공동체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지역 대 지역 협력(region to region) 체제를 선호하였다. 그렇다면 1990년대 이후 유럽연합의 대외 관계속에서 지역간주의(interregionalism)의 강화가 새로운 것은 무엇인가? 1980년대 중반 이후 등장한 신지역주의의 등장은 유럽연합이외의 지역에서도 지역간주의의 형성을 촉발시켰으며, 이는 유럽연합이 추구하는 지역간주의가 다른 지역간주의와 구별점을 고찰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해 준다. 더욱이 유럽단일시장의 완성 시점인 1992년을 전후해서 유럽의 요새화에 대한 위협의식을 느껴 지역형성에 참여하기 시작한 미국의 지역형성 방식과의 비교분석은 유럽연합이 추구하는 지역간주의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990년대 이후의 유럽연합의 지역간주의는 동반자 개념(partnership)과 관련지어서 보다 구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미국이 지역간 협력을 양자관계의 확장처럼 간주하는 것과는 달리, 유럽연합이 추구하는 동반자 관계를 통한 지역간 협력관계는 상대 지역형성을 촉발 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EU는 지역간 협력을 확장하고자 노력하는데, 이는 지역간 협력이 국제관계를 평화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긍정적인 틀로서 기능할 수 있는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동신어린이공원 리모델링 계획

        박선희,안득수,최병숙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08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2 No.1

        본 계획은 노후화된 주거지역내 어린이공원 리모델링에 관한 것으로 공원의 면적은 약 1,000㎡이다. 이 곳 놀이시설은 상당히 노후화되고 훼손되어 있어 어린이들의 이용이 적은 편이다. 어린이공원은 어린이들의 신체, 정서, 사회성, 언어, 인지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소이며 지역의 커뮤니티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공원 리모델링을 위해 기존 물리적 환경이나 이용자의 이용행태 및 선호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적극 반영하여 세대통합촉진형 어린이공원으로서 느티나무를 테마로 하는 자연친화형 초록쉼터를 계획하였다. 어린이들이 직접 공원조성에 참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으며 어린이들의 성장단계와 놀이시설의 유행을 고려하여 시설을 선정하였다. 또한 커뮤니티 공간으로 다양한 이용자의 행태를 수용하도록 계획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roject was to redesign a master plan for the children's park with a size of approximately 1,000㎡ located in Jeonju city. Most of the play facilities in the park were already outdated and damaged; therefore nowadays they cannot be well used by children. The children's park is an important space for children's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and has the role of being a place for children to commune. The park was planned to carry out several functions such as a space for children of all ages, a community space for neighborhoods, and a resting place for the elderly as well.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ite were analyzed, and a survey of the expected users' profiles and preferences were done. The findings were reflected in our planning. Dongsin Children's Park was planned to be a nature-friendly space, using Zelkova trees as a theme, to provide a space for bridging people of all ages. The park has been operating a program that enables children to participate in its establishment. Park facilities were selected for the various growth stages of children and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trend in play facilities. In addition, it was planned to accommodate various types of people and provide a space for them to commu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