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수학습센터 비교과 프로그램의 통합적 성과평가 모형 연구

        박선향(Seon-Hyang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10

        본 연구는 교수학습센터에서 운영하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통합적 성과평가 모형을 설계하여 실증적 자료로써 검증해 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의 성과를 객관적 · 주관적 성과로 나누어 효율성을 기준으로 객관적 성과평가를, 프로그램의 질적 만족도를 기준으로 주관적 성과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객관적 성과평가와 주관적 성과평가를 통합하기 위해 IPA 분석을 하였다. 이 모형을 통해 프로그램별 효율성이 높고 질적 만족도가 높아 바람직한 성과를 낸 프로그램이 확인되었으며, 반면 효율성이 낮고 질적 만족도가 낮아 우선순위가 가장 낮기에 프로그램 운영방향을 재고할 프로그램이 확인되었다. 이로써 통합적 성과평가 모형은 프로그램별 성과 비교 및 바람직한 개선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그 활용가치를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 integrated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operated by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verify it with empirical data. For this purpose, the performance of each program was divided into objective and subjective performance. The o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was conducted based on efficiency, and the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was based on the qualitative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n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IPA) was carried out to integrate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s with high efficiency and high qualitative satisfaction that produced desirable outcomes were identified, while programs with low efficiency and low qualitative satisfaction were designated as having the lowest priority, requiring re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of program operation. The integrated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would be valuable as it enables a program-wise comparison of performance and the discovery of desirable directions for improvement.

      • KCI등재

        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과 교수적 수정 및 실천적 지식과의 관계분석

        박선향(seon hyang park),박수경(park soo-gyu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1

        Special education area will require a high level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Due to the nature of the uniqueness of the target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Therefore, setting the research discussed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struction adaptation and practical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it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would contribute to take those measures increase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s and the study was conducted. This study surveyed 279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instruction adaptation and practical knowledge. Measuring tools was made to review the test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 Using PASW 20.0,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sub-factors of curriculum content knowledge,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and teaching situation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structional modifications. And instruction adapt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sub-factors of instruction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eco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sub-factors of curriculum content knowledge,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and teaching situation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rac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sub-factors of curriculum knowledge, knowledge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ird, instruction adapt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sub-factors of instruction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rac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sub-factors of evaluation of the teachers themselves and recogni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struction adaptation. Therefore this result means that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instruction adaptation and practical knowledge. It also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instruction adaptation and practical knowledge, as well as mediating variables of teacher quality of teaching, the teacher's beliefs, values, and commitment suggests research is need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and parameters as such. 특수교육 영역은 교육대상 및 내용이나 방법면의 특수성이라는 특성상 높은 수준의 교사의 전문성을 요구하게 된다. 이에 특수교사가 지닌 교수내용 지식과 교수적 수정 및 실천적 지식에 대해 논의하고 그 관계를 알아보는 것은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고자 하는 방안들을 강구하는 데에 일조할 것이라는 연구의의를 설정하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수내용 지식과 교수적 수정 및 실천적 지식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특수교사 279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PASW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의 교수내용 지식의 하위변인인 교과내용지식, 학생이해, 수업상황 및 지원이 교수적 수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하위변인인 교수내용, 교수방법 및 평가가 교수내용 지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교수내용 지식의 하위변인인 교과내용지식, 학생이해, 수업상황 및 지원이 실천적 지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하위변인인 교과과정지식, 교수학습에 대한 지식, 학습자에 대한 이해가 교수내용 지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하위변인인 교수내용, 교수방법 및 평가가 실천적 지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하위변인인 교사자신에 대한 평가, 교육환경에 대한 인식이 교수적 수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수내용 지식. 교수적 수정, 실천적 지식의 세 변인간의 인과적 영향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특수교사의 교수내용 지식, 교수적 수정, 실천적 지식의 매개변인에 따른 관계분석 뿐만 아니라 교사의 수업의 질, 즉 특수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교사의 신념, 가치, 헌신도 등과 같은 매개 변인과의 관계 규명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시사한다.

      • KCI등재

        고등교육 소외계층의 평생학습참여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적 분석

        박선향(Park, Seon-Hya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교육 소외계층의 평생학습참여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을 구안하고, 고등교육 소외계층의 학습자특성, 참여하고 있는 교육기관특성, 참여동기, 참여장애가 평생학습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참여동기와 참여장애가 학습자특성과 교육기관특성을 어떻게 매개하여 평생학습참여도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밝힘으로써 고등교육 소외계층의 평생학습참여도와 관련된 영향요인들을 구조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로서 첫째, 학습자특성, 교육기관특성, 참여동기, 참여장애는 모두 고등교육 소외계층의 평생학습참여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 변인들의 평생학습 참여도에 대한 전체 영향력의 크기를 분석한 결과, 참여동기, 학습자특성, 교육기관특성, 참여장애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동기 및 참여장애는 학습자특성 또는 교육기관특성이 고등교육 소외계층의 평생학습참여도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도록 매개적 역할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lti-phased effect factors related to participa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in the alienated class with higher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proposed structured relationships among five latent variables(learner’s characteristic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motivational levels of participants, participation barriers, participa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arner’s characteristic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motivational levels of participants, participation barriers had a direct effect on the participa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Second, in order of motivational levels of participants, learner’s characteristic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on barriers had th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articipa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in the alienated class with higher education. Third, indirect effects of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participa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were mediated by motivational levels of participants and participation barriers.

      • KCI등재

        학습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K대학 재학생을 중심으로-

        박선향(Seon-hyang Park),김희진(Hee-Jin Kim),윤혜림(Hea-Rim Yoon),조보람(Bo-Ram Cho),최문영(Moon-Young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1

        본 연구에서는 K대학의 학습역량의 구성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측정하는 학습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개념모형 구안과 문항개발 단계를 거쳐 예비문항을 개발한 후 전문가 검토 과정을 거쳤으며, 예비조사는 K대학 재학생 77명, 본조사는 K대학 재학생 47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문헌 및 타 대학 사례조사를 통해 인지역량과 정의역량, 행동역량 요인을 추출하였다. 둘째, 교육학 및 사회학 박사학위자의 내용타당도 검토 과정과 연구진 논의, 예비조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인지전략과 메타인지, 문제해결력을 포함하는 인지영역과, 시험불안 및 학업스트레스, 학업효능감, 자기결정성을 포함하는 정의역량, 목표 및 시간관리, 자원활용 및 정보수집, 수업참여기술, 학습환경관리 하위요인을 포함하는 행동역량을 설정하였다. 셋째, 본조사 실시결과 도출된 최종 척도(총 62문항)의 신뢰도는 .94이고, 각 영역별 TLI 값은 .86~.94, CFI .88~.95, RMSEA .05~.07으로 나타나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대학의 특성을 반영한 학습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여 재학생의 성공적인 학업을 지원할 수 있고, 나아가 체계적 지원 및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stituent factors of K university"s learning competency and develop and validate a learning competency diagnostic tool to measure them. The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the conceptual model drafting and item development stage, and the expert review process was then carried out. The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77 K university students, and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471 K university students. Factors of cognitive competency, defining competency and behavioral competency were extracted through existing literature and case studies of other universities. Based on the content validity review process of doctoral students in Education and Sociology, discussion with researchers and preliminary research results, sub-factors were established. The reliability of the final scale (62 items in total) derived as a result of the main survey was found to be .94. The Tucker-Lewis index (TLI) values for each area were found to be .86~.94, and comparative fit index (CFI) and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RMSEA) were .88~.95 and .05~.07, indicating that it was a suitable model.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a learning competency diagnosis tool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K-University can be developed, and it can be used to develop successful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결혼관의 관계 -경상도지역의 대학생을 중심으로

        박선향 ( Park Seon Hya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6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양성평등의식과 결혼관에 대한 차이 및 양성평등의식이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경상도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6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강정희, 2013; 김양희, 이수연, 김혜영, 2002; 박경미 2012)과 결혼관(김건영, 2009; 김보경, 2005; 이지원, 2006)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검사문항을 제작하였다. 자료처리는 PASW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다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 학년, 출생순위, 가구의 경제수준에 따라 양성평등의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성별, 출생순위, 가구의 경제수준에 따라서는 결혼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학년에 따라서는 결혼관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성평등의식과 결혼관에 대한 분석 결과, 가정생활영역, 학교생활영역, 직업생활영역에서의 양성평등의식은 결혼제도와 관련한 결혼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직업생활영역과 사회문화생활영역에서의 양성평등의식은 결혼조건과 관련된 결혼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서적 안정면의 결혼관에 대해서는 양성평등의식의 각 하위변인들 다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perceptions of marriage in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64 university students and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by sex, grade, birth order and economic level of household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of marriage of university students by sex, birth order and economic level of household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of marriage of university students by grade. Third, Analysis of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perceptions of marriag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home living area, school area and professional life area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marriage of Institution of marriage.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professional life area and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lif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marriage of marriage conditions. However, each of the sub-factors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marriage of emotional stability.

      • KCI등재

        일반논문 : 특수교사의 윤리적 가치관이 실천적 지식에 미치는 영향

        박수경 ( Soo Gyung Park ),박선향 ( Seon Hyang Par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윤리적 가치관과 실천적 지식에 대한 차이 를 검증하였으며, 윤리적 가치관이 실천적 지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경남, 경북, 부산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21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김정규(2014), 박기선(2011), 정재성(2008), Schlenker와 Forsyth(1985)의 설문지를 검토하여 검사문항을 제작하였다. 자료처리 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다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에 따른 특수교사의 윤리적 가치관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과 교직경력에 따른 특수교사의 윤리적 가치관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과 교직경력에 따른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른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윤리적 가치관과 실천적 지식에 대한 분석 결과 이 상주의적 가치관은 교사자신평가, 교과내용지식, 교육환경지식, 교육과정 지식, 교수학습지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습자이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대 주의적 가치관은 실천적 지식 하위 변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윤리적 가치관과 실천적 지식과의 영향관계를 분명히 밝혀 낼 수 있도록 매개변인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the ethical values and practical knowledge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analyze the data of 216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Busan, Gyeongsangnam-do Province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values and practical knowledge. Measuring tools was made to review the test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 Kim Jeong-Gyu(2014), Park Ki-Seon(2011), Jung Jae-Sung(2008), Schlenker and Forsyth(1985). Using PASW 18.0,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thical values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by sex.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thical values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by age and teaching career.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actical knowledge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by sex and teaching career.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actical knowledge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by age. Third, Analysis of the ethical values and practical knowledge, Idealistic value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valuation, knowledge of subject, perception on educational environment, knowledge of curriculum, knowledge on teaching-learning methods except for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And relative value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sub-factors of practical knowledg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a follow-up study of the intermediate variables that can clearly reveal the impact of the ethical values and practical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