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Marker-based Detection Method of Object Position using Perspective Projection

        박민주,장경식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 Vol.20 No.1

        With the mark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mart factory is evolving into a new future manufacturing plant. As a human-machine-interactive tool, augmented reality (AR) helps workers acquire the proficiency needed in smart factories. The valuable data displayed on the AR device must be delivered intuitively to users. Current AR applications used in smart factories lack user movement calibration, and visual fiducial markers for position correction are detected only nearby. This paper demonstrates a marker-based object detection using perspective projection to adjust augmented content while maintaining the user’s original perspective with displacement. A new angle, location, and scaling values for the AR content can be calculated by comparing equivalent marker positions in two image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implementation of the algorithm and its practicality in the smart factory. The markers were well-detected in both experiments, and the applicability in smart factories was verified by presenting appropriate displacement values for AR contents according to various movements.

      • KCI등재

        북한 연구와 신유물론의 접점: 일상생활연구를 위한 ‘행위적 실재론’ ‧ ‘사이보그 선언’의 방법론적 가능성

        박민주 통일연구원 2022 統一 政策 硏究 Vol.31 No.1

        This study proposes to apply ‘Agential Realism’ and ‘Cyborg Manifesto’ to the study of daily life in North Korea, paying attention to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ossibilities of material changes in North Korean society after marketization.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in the study of North Korean studies, which requires concentration on humans, the theory of new-materialism does not result in alienation or fragmentation of North Koreans, but rather helps them analyze their daily lives in a timely manner. When reconstructing daily life through matter and attempting semiotic analysis, the connection between governance-material-daily life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이 연구는 시장화 이후 북한의 물질-사회적 급변현상과 일상생활 연구의 필요에 주목하여, 북한 연구에 ‘행위적 실재론’과 ‘사이보그 선언’을 적용해볼 것을 제안한다. 검토 결과, ‘인간으로의 전회’가 절실한 북한 연구의 흐름 속에서, 신유물론은 일각의 우려처럼 북한 주민의 소외나 파편화를 결과하는 것이 아니라, 시의적절한 방법으로 일상을 재구성하고 소외된 이들의 삶을 재발견하며 주민 실천의 다중적 특성을 입체적으로 분석하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중요한 물질(키워드)을 실마리 삼아 일상세계를 서술하고 기호학적 접근을 가미할 때, 낮은 자료접근성의 문제도 일부 해결하면서 통치-물질-일상의 연계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Patterning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by micromolding in capillary

        박민주,최원묵,박오옥 한국물리학회 2006 Current Applied Physics Vol.6 No.4

        Here we describe a method of patterning electroluminescent (EL) polymers using micromolding in capillary (MIMIC). MIMIC isthe one of the lithographic methods based on the microudics among the soft lithography using a patterned poly(dimethylsiloxane)(PDMS) elastomer. The patterned microstructures of poly(dioctyluorene) (PDOF), poly(p-phenylenevinylene) (PPV), and poly(2-methoxy-5-20-ethylhexyloxy)-p-phenylenevinylene) (MEH-PPV) were fabricated by MIMIC f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PLEDs). In addition, the solution viscosity eect on MIMIC process was studied. Finally, a PLED device was fabricated usingthe patterned EL polymer microstructure and a patterned emission image was obtained.

      • KCI등재

        경부고속도로 상습정체구간에 대한 버스전용차로 영향 분석 - CTM 활용 -

        박민주,정병두,권오훈 한국교통연구원 2015 交通硏究 Vol.22 No.3

        We investigated traffic flow data to identify chronically congested sections from Cheonan IC to Yangjae IC Seoul-bound on the Gyeongbu Expressway. The Osan IC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ly congested section and we assumed that frequent congestions mainly result from the starting location of the bus-exclusive lane located near Osan IC. To verify our assumption, we analyzed the effects of starting location of bus-exclusive lane using the cell transmission model. Analysis included comparison of simulation results for total delay time and traffic density with varying the starting locations of the bus-exclusive lane from Osan IC to Cheonan IC. The results could suggest an optimal option for the starting location to improve performance of the expressway. 본 연구에서는 버스전용차로가 포함된 경부고속도로에서 버스전용차로가 정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방향 천안 IC-양재 IC 구간의 상습 정체 구간(병목지점)을 분석 구간으로 선정하였다. 이 구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버스전용차로제가 시작하는 오산 IC 부근에서 가장 잦은 병목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 지점의 다양한 정체의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그중 평일 버스전용차로 시작에 의한 도로 용량 감소와 진출‧입 교통량이 평일 상습 정체에 주된 요인으로 간주하였다. 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CTM(Cell Transmission Model)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였다. 또한 버스전용차로 시작 지점이 오산 IC의 진출‧입 구간과 겹치고 있음에 착안하여 버스전용차로 시작 지점을 변경시켜 가며 도로의 차량 밀도와 지연 시간(total delay time)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로 최적의 버스전용차로의 시작 지점에 대한 판단 근거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보리 베타글루칸이 식후 혈당 반응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박민주,김경진,박수연,곽진숙,김지연 한국식품과학회 202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5 No.4

        This meta-analysis evaluated the impact of barley fiber on postprandial glucose regulation. Several databases, including PubMed-Medline, Embase, Cochrane, and th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were searched up to November 2022.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ith 172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Barley fiber intake improved the incremental area under the curve (iAUC) of postprandial blood glucose levels by 17.12 mmol/L·min, the glycemic index (GI) by 23.36, and 1-hour blood glucose by 0.30 mmol/L. However, no significant effect was observed on insulin iAUC. Funnel plots and Egger’s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no publication bias in any of the biomarkers. This meta-analysis suggests that consuming barley fiber may positively impact glucose iAUC, GI, and 1-hour blood glucose levels and confirms that barley fiber provides functional benefits for postprandial glucose regulation.

      • 일과성 뇌허혈 발작 없이 진단된 모야모야병 1예

        박민주,이승은,이정호,서은숙 순천향대학교 순천향의학연구소 2015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21 No.1

        Moyamoya disease is a cerebrovascular disorder characterized by internal carotid arteries’ occlusion or stenosis. Its etiology remains unknown, and it occurs more frequently in Asian countries than western countries. It can occur at any age, and approximately 50% of patients are children. Initial manifestations of moyamoya disease are very different according to age. In general, cerebral ischemic symptoms like transient ischemic attacks (TIA) are the most common manifestation of children. It is a chronic progressive disease and cause recurrent stroke, so early diagnosis and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We report a case of moyamoya disease without TIA, in a 7 years old female child presenting as unusual symptoms, such as walking difficulty and dysarthria.

      • KCI등재

        웹툰에서의 영화 연출 적용에 관한 연구 -윤태호의 <이끼>를 중심으로-

        박민주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hots and transitions in webtoons with the film directing point of view and categorize them to prove their effects. This paper firstly investigated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webtoons through the preceding research papers. It also proceeded an intensive study about time and space in the language of webtoons and the techniques of film directing applied into webtoons to present sequential storytelling. I have chosen the webtoon <Moss(2007)> by Yoon Tae Ho as a case study and the paper could reach to a conclusion as it follows. First, the vertical scroll in webtoons created a new layout and directing techniques that were impossible on the pages of classic comic books. Second, the infinite digital space of webtoons gave gutters much more flexibility and it generated influence from film directing. Third, it is not difficult to find that several similar images repeatedly appear in slightly different size or angle of shots in webtoons. Fourth, digital production environment brought new techniques like ‘image blur’ so that film transitions such as ‘lack focus’ and ‘dissolve’ have become possible. Fifth, webtoons actively drag audience into narratives using POV shot, that matches the audiences’ point of view to the characters’. Sixth, webtoons adopted the editing technique with sound that are used only in films like ‘J cut’ to enhance their continuity. Additionally, those techniques have created new layouts, editing and directing systems in webtoons. This research has focused on webtoons’ attributes in terms of storytelling and its flexibility from other media. Further research should be done as needed for direction of webtoon education, curriculum and educational model analysis. 본 연구의 목적은 웹툰의 장면 구성과 전환에 적용되고 있는 영화 연출의 기법을 유형별로 연구 분석하여 이에 대한 효과를 입증하고, 웹툰 고유의 연출 방법론을 재고하는 데 있다. 이에 대한 연구방법으로 먼저 선행연구분석을 통해 웹툰의 형식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웹툰의 시간성과 공간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웹툰의 시공간 연출을 위해 적용된 영화 연출의 기법을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각각의 유형에 해당하는 연출 기법의 비교와 분석에 대한 사례연구로 윤태호 작가의 웹툰 <이끼(2007)>를 채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웹툰의 세로 스크롤 방식이 전통 출판 만화에서는 불가능했던 레이아웃과 연출 기법을 탄생시켰다. 둘째, 웹툰의 무한대의 디지털 공간은 패널과 패널 사이의 공간인 홈통의 연출에 대한 유연성을 가지며 영화적 시공간 연출을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비슷한 내용의 이미지를 쇼트의 크기를 달리하여 반복하는 방식으로 영화에 가까운 세련된 연출을 시도하고 있다. 넷째, 디지털 제작 환경이 이미지 블러 방식을 가능하게 하여 랙 포커스, 디졸브 등의 영화적 장면 전환이 가능해졌다. 다섯째, 등장인물과 독자들의 시점을 일치시키는 POV샷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며 내러티브 전개에 독자들을 능동적으로 끌어들였다. 여섯째, J컷과 같은 사운드를 이용한 영화적 편집 기법을 텍스트를 활용하여 시도함으로써 연속성을 높임과 동시에 웹툰 만의 창의적 연출을 탄생시켰다. 영화나 애니메이션과 같은 주변 매체로부터의 영향과 더불어 웹툰 고유의 연출 방법론을 논의하였다는 점에 본 논문의 의의가 있으며, 후속 연구로 대학에서의 웹툰 교육, 커리큘럼, 교육모델 연구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