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수종 식물의 Plasmin 저해 활성 검색

        박미현,정현주,배기환,김영호,Park, Mi-Hyoun,Jung, Hyun-Ju,Bae, Ki-Hwan,Kim, Young-Ho 한국생약학회 1998 생약학회지 Vol.29 No.3

        Binding of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to its cellular receptor accelerate production of plasmin from plasminogen on the cell surface. Plasmin can digest extracellular matrix components and basement membranes through activating certain proMMPs, which is related to the invasiveness to the cells. Plasmin also acts the regulation of blood coagulation and relates closely to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stroke and coronary occlusion. Therefore, its inhibitors may be useful as antimetastatic agents and to the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To search for plasmin inhibitors from plant resources, we screened plasmin inhibitory activities with 76 methanol extract of plant species. Among them, three plant samples showed strong inhibitory activities (>70%) and thirteen plant samples showed more than 50% inhibitory activities of plasmin. Their inhibitory activities were not directly related with uPA inhibitory activites and cell viability.

      • KCI등재

        중학생의 자유 탐구 보고서에 나타난 특징과 탐구 수행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박미현,차정호,김인환,Park, Mi-Hyun,Cha, Jeong-Ho,Kim, In-Whan 대한화학회 2012 대한화학회지 Vol.56 No.3

        이 연구에서는 대구 지역 중학교 2학년 165명이 작성한 자유 탐구 보고서를 주제 영역, 탐구 가설, 그리고 탐구 변인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여름방학이 시작되기 전 2시간 동안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면서 탐구 과정에 대해 소개하고, 주제를 탐색하도록 하였다. 여름방학 동안 학생들은 주제 선정, 실험설계 및 수행, 자료 수집 및 분석, 결과 보고서 작성 등의 과정을 스스로 진행하였다. 여름방학 후, 결과보고서를 제출받으면서 학생들이 주제 선정에서 활용한 자료의 출처, 가설의 정의, 그리고 탐구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단계에 대한 인식도 조사하였다. 보고서의 주제 영역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생활 영역으로, 보고서에 기술된 가설은 예측 가설과 설명 가설로 분류하였고 가설의 정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비교하였다. 탐구 주제, 탐구 가설, 실험 설계 부분에 제시된 탐구 변인을 분석하여 범주형, 연속형, 불확실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주제 영역 중 화학 영역의 보고서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생물과 생활 영역이 많았다. 전체 165개 보고서 중 130개에 탐구 가설을 포함하고 있었는데, 이들 중 대부분은 예측 가설에 해당하였다. 보고서에 제시된 탐구 변인을 분석한 결과, 탐구 주제와 탐구 가설에 기술된 독립 변인과 종속 변인은 불확실 유형이 많았다. 그러나 실험 설계 부분에 기술된 변인들은 불확실 유형이 많이 줄어들었고, 범주형 변인이 증가하였다. 탐구 수행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단계에 대한 질문에 학생들은 주제 선정 단계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In this study, open inquiry reports of 165 eighth graders in Daegu were analyzed in terms of content area, the types of inquiry hypothesis, and the types of inquiry variables. Before summer vacation, students learned about inquiry process and explored their own inquiry topic for two class hours. During summer vacation, students performed open inquiry including problem selection, designing and performing experiment,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and writing report. After the vacation, students submitted their reports, and answered to additional survey regarding the source of inquiry idea, the definition of hypothesis, and the most difficult step of inquiry process. As a result, chemistry was the most dominant content area of the reports and biology and life science were the next. 130 out of 165 reports included inquiry hypotheses, and most of them were predictive hypotheses. In many reports,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could not be identified because of their ambiguity. However, inquiry variables described in experimental design, which were mostly categorical variables, were clearer than those described in inquiry subject and inquiry hypothesis. The most difficult step of inquiry process for students was to generate an idea for open inquiry.

      • KCI등재

        清濁混用万葉仮名について

        박미현(朴美賢, Park, Mi-Hyun) 일본어문학회 2010 일본어문학 Vol.51 No.-

        万葉集における頭は用例数から基本的に濁音仮名として用いられる中、清音の用例もある。清音の例について考察を行った結果、ヲツツは巻 十七以下では本来濁音仮名である賀を清音に用いる大伴家持の表記意識 と同様なものであると考えられる。また辞書類と現行のテキスト類により語形の捉え方が異なることが分った。辞書類では頭が主に濁音として用いられていること、にが下接し ていること、続くの意義との関連からヲツヅとして捉える。一方テキ スト類ではウツツとの関連からヲツツとして捉えているため辞書類と テキスト類との間に語形のずれが生じていることを論じた。 八ツは鵜牟八頭虎…八頭のように動物とともに見られることから動物と頭から連想される表現の効果を期待したものであることを論じた。 そして漢字音の観点から清音としての用例は呉音の新層よるものの可能 性について論じた。

      • KCI등재

        和名類聚抄における子音音節の脱落について

        朴美賢(박미현, Park, Mi-Hyun) 일본어문학회 2009 일본어문학 Vol.45 No.-

        地名は先行研究などでは非中央語の資料であるため、音韻研究の対象にならない場合が多い。しかし本稿では地名を音節脱落の観点から次のようなことを考察した。まず、多くの地名にも一般の複合語と同じ脱落の傾向が見られることが明らかであり、一般語ではナ行·マ行·ラ行の音節の脱落は純粋な脱落と見ていないが、地名には脱落に伴う濁音·促音·撥音と関係なく、前項末尾のナ行·マ行·ラ行の音節が脱落されることが分かる。この場合、調音点や調音法のあい近いことが要因と考えられる。このようなことから音節脱落に地名を入れて検討することで脱落の条件をより一般化できると考えられる。

      • KCI등재

        근대 사직공원의 형성과 변천

        김서린 ( Seo Lin Kim ),김해경 ( Hai Gyoung Kim ),박미현 ( Mi Hyun Park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4

        조선 개국 시 영조된 사직단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사직공원으로 고착화되었고, 최근 복원에 대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통시적으로 분석된 사직단의 변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 나라의 중요 국가제사를 지내던 장소로의 입지를 확보하고 강화되었던 조선시대 태조에서 일제강점기 이전까지의 시기이다. 태조대에 인왕산 자락에 축조했으며 임진왜란 시 소실된 후 영조 대에 제례시설이 완비되었다. 그러나 1908년 일제의 간섭이본격화되자 공간 멸실과 제사가 폐지되었다. 둘째, 일제에 의해 공원화가 진행되어 고착화된 1910년부터 1944년까지이다. 공원 관련 시설과 경계부에 이질적인 건축물이 들어섰고, 단 영역·재실·사직단문이 고적과 보물로 지정되기도 하였다. 셋째, 해방 이후 1984년까지 이질적 성격의 동상과 기념비, 건축물이 축조되어 혼재된 장소성을 지니게 된 시기이다. 사직터널의 개설로 사직단 문이 2번에 걸쳐서 이축되기도 하였다. 넷째, 사직단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는 1985년부터 현재까지이다. 사직단 권역의 복원 계획이 진행되고 있으나 주민에 대한 반발로 난항을 겪고 있는 시기이기도 하다. 향후, 사직단의 원형 회복을 위한 복원을 위해서는 발굴조사를 통한 면밀한 고증과 주민의 이해가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Sajikdan(a sort of national shrine in Korea) built at the time of foundation of Joseon was entrenched into Sajik Park going through Japanese colonial era and recently the efforts to restore it is in progress. The details of change in Sajikdan in terms of diachronic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 first period refers to one prior to Japanese colonial era from the first king (also named as Taejo in Korean) of the Joseon Dynasty, during which it secured and strengthened the presence as a place for performing important national rites in a nation. It was built on the foot of Inwangsan Mt. at the time of the first king in Joseon Dynasty at first, was destroyed fully by fire during a Japanese Invasion period to Korea(1592-98) and afterward its ancestral ritual facilities were completed under the regime of Youngjo. However, as Japanese intervention coming to the fore, its place was destroyed and then ancestral rites were also abolished in 1908. Secondly, next period falls on 1910 to 1944 when it was transformed and entrenched into a park by the Japanese Empire. While facilities related to a park and an heterogeneous building around the part of boundary were set up, the area of altar, a ritual house and d door of Sajikdan were also designated as historical remains and treasures. Thirdly, this period refers to one from Korea`s liberation year from Japanese colony(1945) to the year of 1984 when it had a mixed placeness with the statues, monuments and buildings with heterogeneous nature built. Furthermore, a door of Sajikdan was removed and reconstructed over twice due to opening of Sajik Tunnel. Fourthly, a final period falls on 1985 to the present when efforts are in progress to restore the historicity and symbolism of Sajikdan. A plan for restoration is promoted but now is a difficult time suffering from troubles caused by residents` resistance. Scrutinized historical researches through excavation investigation and residents` understanding are required altogether for restoration of Sajikdan.

      • 원격교육 유형에 따른 컴퓨팅 교육 학생 선호도 분석 연구

        박미현(Mihyun Park),허균(Gyun Heo)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5 No.2(A)

        코로나 19 이전까지 원격교육은 주로 자기 주도적 학습을 원하는 성인 학습자에게 선호되는 자기계발 교육방법의 하나로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대학의 교양 교육이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되었을 때 학습 만족도나 학습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비자발적 원격교육 상황에서의 학습자 만족도 및 선호도 조사를 통하여 원격교육의 교육 서비스 향상 및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비자발적으로 행해진 원격교육이지만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는 나쁘지 않았다. 다만, 적절한 과제와 피드백, 그리고 교수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수록 원격 강의의 수업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교수자의 역할이 단순히 수업 콘텐츠 연구에 그칠 것이 아니라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부단한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또한, 편리한 학습 환경을 위한 교육 통합 플랫폼의 개발이 우선 되어야 한다. 보안이 확실하며, 다양한 매체를 활용할 수 있는 원격수업 시스템을 개발하여 학습자들이 자발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교수자와 원활히 상호작용하며, 수업 관리 및 평가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평가 방식은 온라인 시험보다는 대면시험을 통해 평가의 공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를 높이는 방안으로 보인다. 차후에는 빅데이터 기반의 공정성이 보장된 온라인 평가시스템도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통합적 동시 활동에서 나타나는 2세 영아의 탐색활동 및 반응 탐구

        박미현(Park Mee-hyun),김주후(Kim Juhu),이봉선(Lee Bongs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적 동시 활동을 하는 동안 나타나는 2세 영아의 탐색활동과 반응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2세 영아의 발달적 특성을 이해하고 통합적 동시 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재조명해 보는 것이다. 통합적 동시활동을 하는 2세 영아반에서 참여관찰을 통해 동시가 제시되는 상황에서 영아의 탐색 행동과 다양한 반응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참여관찰 결과에 따르면 첫째, 통합적 동시 활동을 위한 동시 제시 상황에서 2세 영아의 탐색 행동은 ‘표정과 몸짓으로 따라하기’와 ‘웅얼거림과 따라읊기’로 나타났다. 둘째, 제시된 동시의 통합적 활동에 참여하는 2세 영아들은 특정 어휘에 흥미를 보이고 참조 구하기 행동,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반응하기, 창의적 신체 표현을 즐겼다. 또한 2세 영아들은 모방이나 동조로 또래와 함께 하는 즐거움을 느끼기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미루어 볼 때, 통합적 동시 활동은 2세 영아들에게 감각운동적 탐색 과정을 제공하고 언어적, 정서적,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요소를 통합적으로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2-year-old children's exploration process and responses on integrated poems activities. By analyzing the children's responses, the researchers tried to understand 2-year-old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reconfigure educational meanings of integrated poems activities.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t was pursued to extract 2-year-old children's exploratory behaviors and various responses from the process of conducting integrated poems activ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bservation, first, 2-year-old children's exploratory behaviors on the integrated poems activities were found to be ‘response using facial expression and gesture’ and ‘murmuring and rhythmization.’ Second, the 2-year-old participants showed deep interests in particular vocabularies, and conducted reference-seeking behaviors. In addition, they responded in accordance with their prior experiences, and enjoyed creative body expressions. They also enjoyed feeling of fun through imitation and conformity by being with pe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integrated poems activities provide sensory-motor exploratory processes to 2-year-old children, and hold verbal, emotional, physical, cognitive, and social elements, which holistically facilitate young children's development.

      • KCI등재

        부모화 경험이 대학생의 사회불안 인식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과 무조건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

        박미현(Park Mi-hyun),최경란(Choi, Kyung Ran),홍지영(Hong, Ji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화 경험, 사회불안 인식, 정서표현양가성, 무조 건적 자기수용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사회불안 인식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89명을 대상으로 부모화, 사회불안, 정서표현양가성, 무조건적 자기 수용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자료는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순차적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화 경험은 사회불안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화 경험수준이 높을수록 사회불안 수준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화 경험과 사회불안 인식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가 각각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화 경험과 사회불안 인식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과 무조건적 자기수 용의 매개효과가 순차적으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부모화 경험으로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대학생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상담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 of amv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 of parentification and social anxiety cognition. For the study, questionnaires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parentification, social anxiety were given to 389 enrolled students of universities in Chonbuk. used to perform mediated effect analyses including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al results indicate the parentific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dicate the parentific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fication and social anxiety cognition, the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showed dual mediating effect.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might be important factors to consider in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for social anxiety of the college students who has parentifica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the suggestion for the further study.

      • KCI등재

        교류분석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조기 유학생 동반 어머니들의 부모효능감 및 문화 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박미현(Mi Hyun Park),이영호(Young Ho Lee),김윤주(Yoon Joo Kim)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조기 유학생 동반 어머니들의 부모효능감 및 문화 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 비아주 광역 밴쿠버 내 코퀴틀람시에 소재한 R 영어학원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 300여명 중 부모교육을 신청한 20명을 무선 표집 하였고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류분석 관련 실증적 연구들을 토대로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TA철학 3가지, 부모교육에서 추구하는 3P, Clarke의 발달단계의 이해와 긍정적 지지어의 사용, 스트로크 이론, 스트로크 경제와 스트로크 대향연 집단, P-A-C model, 교류 유형, 과녁 맞추기 교류, 인생태도와 게임, 맑은 물 붓기 및 재결단 등 8회기로 구성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은 1주일에 한 번씩 총 8주 동안 진행되었고 매 회기마다 부모로서 자신의 부모효능감 및 문화 적응 스트레스 관련 교육, 상호 피드백, 과제부여, 과제 피드백을 하였다.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 보고식 부모양육 효능감 척도, 문화 적응 스트레스 척도, 어머니 스트레스 반응 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0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test와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TAPT 프로그램이 조기 유학 동반 어머니들의 부모양육효능감의 증가와 문화 적응 스트레스의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With the rapid increase in number of young children studying abroad, there also has been an accompanying increase in the number of mothers who face a new lifestyle without their partners. In addition to the children who are challenged with adapting to a new school and culture, it is being recognized that their mothers also report a certain degree of psychological suffering stemming from their acculturative stress. This study provided a Transactional Analysis (TA) theory-based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these mothers in order to provide a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strengthen their confidence, reduce their acculturative stress and evaluate their parent efficacy.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scores for acculturative stress, parent efficacy and symptoms of stres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Howev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parent efficacy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acculturative stress following the program. TA theory-based parent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at decreasing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as well as increasing their parent efficacy. It also reduces their symptoms of stress through management of anger and anxiety.

      • KCI등재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환경변인 분석

        박미현(Park, Mi-hyeon),김수영(Kim, Soo-Yo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유아의 개인변인, 환경변인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상대적 기여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변인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U시와 K지역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4, 5세 유아 208명의 배 경특징을 조사하고 자연친화적 태도, 정서지능과 창의성을 측정하였다. 유아의 부모들에게는 질문지를 배부하여 부모 배경특징과 부모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적률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모든 개인변인과 자연친화적 태도와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 째, 유아의 환경변인 중 부모 유년시기의 생태교육경험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들과 자연친화적 태도와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자연친화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기여도는 유아의 자연체험활동 경험여부와 정서지능, 부모 인식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son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affect the nature-friendly attitude of young children, and to establish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the two types of variables in determining the children’s attitude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208 children aged four to five and their parents in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the southern area of Korea. For data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indings show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 child’s personal variables (age, educational facility use experience, nature-friendly education facility use experience, emotional intelligence, life respect knowledge, creativity) and nature-friendly attitude. There is also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variables (education facility, parental personality) and the nature-friendly attitude of a child.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s' childhood nature-friendly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he child's experiences. Finally, among person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contributing to a child’s nature-friendly attitude, the largest contribution was the child’s nature-activity experience, followed by the child’s life respect knowledge and emotional intellig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