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허권과 연구개발 회계처리가 경제적 부가가치에 미치는 영향

        박미경(Park, Mi-Kyung),김문태(Kim, Moon-Tae) 한국회계정보학회 2021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21 No.4

        [연구목적]본 연구는 한국거래소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특허권 및 연구개발 관련 지출에 대한 자본화 혹은 비용화 회계처리, 그리고 이들의 상호작용이 경제적 부가가치(EVA:Economic Value Added)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의 대상기간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이며, 특허권이 재무상태표에 표시된 284개 기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경제적 부가가치는 세후순영업이익에서 총자본비용액을 차감하여 산출하였으며, 특허권과 연구개발 관련 지출은 재무제표에서 추출하였다. [연구결과]가설검증을 위하여 단변량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특허권 보유액이 많을수록 이에 비례하여 경제적 부가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 활동을 자산으로 회계처리하였을 경우에 경제적 부가가치에 유의한 양(+)의 설명력을 보인 반면, 연구개발 지출을 비용으로 처리하는 회계처리에 대하여 경제적 부가가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보이지 않았다. 자본화 연구개발 활동과 특허권의 상호작용 변수는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경제적 부가가치에 양(+)의 설명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용화 연구개발 활동과 특허권의 상호작용 변수는 경제적 부가가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보이지 않았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특허권과 연구개발 활동이 타인자본비용 및 자기자본에 대한 기회비용을 세후순영업이익에서 차감하여 산출한 경제적 부가가치에 긍정적인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하여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이를 심화하여 연구개발 활동의 자산화와 비용화가 회계처리가 특허권과 상호작용되었을 경우에 경제적 부가가치에 미치는 효과가 차별적으로 도출될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Purpose]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pitalization or expensing on patent rights and R&D expenditures and their interaction on economic value added (EVA). [Methodology]The study was conducted from 2016 to 2019, and 284 companies whose patents were listed on the financial status. The economic value added wa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total capital cost from the net operating profit after tax, and the expenditure related to patent rights and R&D was extracted from the financial statements. [Findings]As the results of un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showed that the more the patent holding amount, the more positive the EVA. For the capitalization of R&D activities as assets, i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xplanation for economic value added, 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ion for EVA for R&D expensing. The interaction variables between capitalization R&D and patent right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 influence on EVA a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but the interaction variables between expensing R&D and patent right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EVA. [Implications]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discriminatory effect of accounting choice of R&D expenditures on EVA when it interacts with patent rights, which are the formalized form of intellectual asset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by suggesting that patent rights and R&D expenditures can induce positive effects on EVA. It may be meaningful that the effect of capitalization or expensing of R&D activities on EVA can be differentiated when accounting method is interacted with patent rights.

      • KCI등재

        탄산칼슘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안정동위원소 표준시료 제작에 대한 연구

        박미경,박선영,강동진,리선란,김재연,조춘옥,김주일,김경렬,Park, Mi-Kyung,Park, Sunyoung,Kang, Dong-Jin,Li, Shanlan,Kim, Jae-Yeon,Jo, Chun Ok,Kim, Jooil,Kim, Kyung-Ryul 한국해양학회 2013 바다 Vol.18 No.1

        안정동위원소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탄소와 산소의 동위원소비 측정은, 이산화탄소 표준기체의 동위원소 비에 대하여 그 상대적인 값을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실험실 표준기체는 ${\delta}^{13}C$와 ${\delta}^{18}O$ 값의 국제 표준물질인 PDB와 V-SMOW에 대해 보정된 이산화탄소이여야 하며, 이는 국제적 자료의 비교와 검증을 위해 필수적이다. 그러나 표준기체는 제작 기간이 길며,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고, 장기간 사용 시 실린더 내부 압력의 변화로 동위원소의 분별이 생길 우려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험실 표준기체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장기간 안정적 보관이 가능한 고체 표준물질로부터 동위원소 분별없이 순수한 이산화탄소 기체를 추출하여, 실험실 표준기체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Coplen et al.(1983)에 의하여 제안된 방법을 기초로 한 다량의 이산화탄소 표준 기체 제작에 초점을 두었다. 이산화탄소는 탄산칼슘과 100% 순수 인산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데, 두 물질의 반응에 필요한 실험 장치 및 실험 과정을 상세히 기술하였으며, 최적의 실험 조건 결정을 위한 다양한 분석 결과를 소개하였다. 이어 생성된 이산화탄소 기체의 추출, 정제와 포집은 자체 제작된 진공관에서 이루어졌으며, 각 단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주어진다. 이산화탄소의 ${\delta}^{13}C$와 ${\delta}^{18}O$ 측정은 서울대학교 기초과학교육연구 공동기기원에서 운영 중인 안정동위원소 질량분석기(VG Isotech, SIRA Series II)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탄산칼슘 고체 표준물질로부터 이산화탄소 기체 추출과 추출된 기체의 정제 포집 등 전체 분석과정의 정밀도 검증을 위해 동일한 Solenhofen-ori $CaCO_3$(< $63{\mu}m$) 고체 시료로 부터 15회에 걸쳐 표준기체를 제작하였고, 매회 100 mg $CaCO_3$을 이용하여 총 15개의 표준기체 제작이 8일에 걸쳐 이루어졌다. 이 표준기체들의 분석 표준편차($1{\sigma}$)는 ${\delta}^{13}C$의 경우 ${\pm}0.01$‰, ${\delta}^{18}O$는 ${\pm}0.05$‰로 매우 높은 정밀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 정밀도는 안정동위원소 질량분석기기 자체와 같은 내부 정밀도에 상응하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험실 표준기체 제작방법의 높은 신뢰성과 재현성을 입증하는 결과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표준기체 보유가 어려워 정밀, 정확한 안정동위원소 분석에 어려움이 많았던 연구 분야에 자체 표준기체 제작 기술을 제공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isotope ratios of $^{13}C/^{12}C$ and $^{18}O/^{16}O$ for a sample in a mass spectrometer are measured relative to those of a pure $CO_2$ reference gas (i.e., laboratory working standard). Thus, the calibration of a laboratory working standard gas to the international isotope scales (Pee Dee Belemnite (PDB) for ${\delta}^{13}C$ and Vienna Standard Mean Ocean Water (V-SMOW) for ${\delta}^{18}O$) is essential for comparisons between data sets obtained by other groups on other mass spectrometers. However, one often finds difficulties in getting well-calibrated standard gases, because of their production time and high price. Additional difficulty is that fractionation processes can occur inside the gas cylinder most likely due to pressure drop in long-term use. Therefore, studies on laboratory production of pure $CO_2$ isotope standard gas from stable solid calcium carbonate standard materials, have been performed. For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to extract pure $CO_2$ gas without isotope fractionation from a solid calcium carbonate material. The method is similar to that suggested by Coplen et al., (1983), but is better optimized particularly to make a large amount of pure $CO_2$ gas from calcium carbonate material. The $CaCO_3$ releases $CO_2$ in reaction with 100% pure phosphoric acid at $25^{\circ}C$ in a custom designed, evacuated reaction vessel. Here we introduce optimal procedure, reaction conditions, and samples/reactants size for calcium carbonate-phosphoric acid reaction and also provide the details for extracting, purifying and collecting $CO_2$ gas out of the reaction vessel. The measurements for ${\delta}^{18}O$ and ${\delta}^{13}C$ of $CO_2$ were perform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using a stable isotope ratio mass spectrometer (VG Isotech, SIRA Series II) operated in dual-inlet mode. The entire analysis precisions for ${\delta}^{18}O$ and ${\delta}^{13}C$ were evaluated based on the standard deviations of multiple measurements on 15 separate samples of purified $CO_2$. The pure $CO_2$ samples were taken from 100-mg aliquots of a solid calcium carbonate (Solenhofen-ori $CaCO_3$) during 8-day experimental period. The multiple measurements yielded the $1{\sigma}$ precisions of ${\pm}0.01$‰ for ${\delta}^{13}C$ and ${\pm}0.05$‰ for ${\delta}^{18}O$, comparable to the internal instrumental precisions of SIRA. Therefore, we conclude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can serve as a way to produce an accurate secondary and/or laboratory $CO_2$ standard gas. We hope this study helps resolve difficulties in placing a laboratory working standard onto the international isotope scales and does make accurate comparisons with other data sets from other groups.

      • SCOPUSKCI등재

        신종플루 확산(2009년) 이후 호흡기감염 아동 보호자의 감염관리 지식정도 및 수행정도

        박미경,고영숙,박경임,Park, Mi-Kyung,Ko, Young-Sook,Park, Kyung-Im 한국아동간호학회 2011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2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practice level of infection managements in child guardians with respiratory infections after H1N1 diffusion of 2009.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February and March 2010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participants were 228 child guardians.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s, SD, t-test, F-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Cronbach's alpha with the SPSS 17.0 program. Results: Mean age of the guardians and children were 37.8 years, 4.1 years respectively. For knowledge level of respiratory infections, hand washing method had the highest score and snuffles prevention method, the lowest. For practice level for respiratory infections, environmental hygiene management had the highest score and symptom management, the lowest. Infection management knowledge and practice level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in every area.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e necessity of continual education on infection management, and that the most efficient timing for the education appears be for participants during their first pregnancy or after the woman has delivered her child.

      • KCI등재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해수 중 산소안정동위원소 분석법의 개선

        박미경,강동진,김경렬,Park, Mi-Kyung,Kang, Dong-Jin,Kim, Kyung-Ryul 한국해양학회 2008 바다 Vol.13 No.4

        산소안정동위원소는 추적자로서의 뛰어난 특성에도 불구하고 분석상의 어려움으로 해양수괴 연구에 많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물시료에 함유된 산소의 안정동위원소비를 측정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H_2O/CO_2$ 평형기를 이용해 시료인 물을 이산화탄소와 동위원소평형을 이루게 한 뒤, 이산화탄소의 동위원소 비율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 $H_2O/CO_2$ 평형기를 이용한 물 시료 분석시의 정밀도는 ${\pm}0.1%o$, 해양에서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정밀도를 보다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석상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요인들을 파악하여 분석장치의 보완 및 분석방법의 개선으로 정밀도 최소 0.05%o 향상시킴으로서 산소동안정동위원소의 변화폭이 작은 해양에서도 추적자로서 활발히 응용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하였다. $H_2O/CO_2$ 평형기를 이용하는 경우 가장 큰 문제점은 시료가스가 전처리 장치로부터 질량분석기까지 이동해야 하는 거리가 멀고 평형가스가 팽창해야 하는 부피가 크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단순히 압력 차를 이용해서 가스를 이동시킬 경우, 가벼운 동위원소종이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동위원소 분별작용이 일어날 수 있고, 분석 장치 전체의 부피가 플라스크에 담긴 시료가스의 부피에 비해 크기 때문에 시료가스가 충분히 혼합되지 않을 수가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액체질소 트랩과 고진공 균일도를 향상시켰다. 동일한 해수시료를 기존방법과 보완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14번씩 분석한 결과 평균 측정값은 0.023, 0.024%o 서로 거의 동일한 값을 보였으나 표준편차는 각각 ${\pm}0.081$, ${\pm}0.021%o$ 네 배가량 개선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그 결과 해양에서의 동위원소 분석시 발생할 수 있는 중요한 오차 요인을 현저하게 감소시킴으로서 동위원소 변화폭이 작은 해양수괴 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xygen isotope has not been used actively in water mass studies because of difficulties on the analysis though it has advantages as a water mass tracer. The most popular method to analysis the oxygen isotope ratio in water samples is equilibration method: isotopic equilibrium of water with $CO_2$ at constant temperature. The precision of oxygen isotope analysis using commercial automatic $H_2O/CO_2$ equilibrator is ${\pm}0.1%o$. This value is not sufficient for studies in open ocean.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analytical precision enough to apply open ocean studies by modification of the instrument. When sample gas is transferr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the fractionation which is preferential transportation of light isotope can be occurred since the long transportation path between the equilibrator and mass spectrometer. And the The biggest source of error during the analysis is long distance and large volume of the pathway of sample gas between. Therefore, liquid nitrogen trap and high vacuum system are introduced to the system. The precisions of 14 time analysis of same seawater sample are ${\pm}0.081%o$ and ${\pm}0.021%o$ by built-in system and by modified system in this study, respectively.

      • KCI등재

        표층해수 내 용존 메탄 탄소동위원소 실시간 측정을 위한 광학기기의 개발 및 활용 전망

        박미경,박선영,PARK, MI-KYUNG,PARK, SUNYOUNG 한국해양학회 2018 바다 Vol.23 No.1

        대기 중 메탄의 해양 흡수와 방출 메커니즘은 생지화학 순환이 갖는 복잡성과 해양-대기 경계면에서 지역 규모 혹은 기작 단위에서의 관측 연구 부족으로 잘 알려져 있지 못하다. 그러나 다양한 시 공간적 규모에서 탄소 수지와 순환을 조절하는 해양 메커니즘에 대한 완전한 이해 없이는, 해양의 탄소 변동과 전 지구적 지역적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란 불가능하다. 표층해양 및 해양대기에서 용존 메탄의 탄소동위원소 조성에 대한 정밀한 연속 관측은 해양-대기 경계면에서의 유 출입 및 생산 소모 과정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최근 급격히 발전한 광학기반 동위원소 분석 기기들을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표층 양 내 용존 메탄과 해양대기 메탄의 탄소동위원소 실시간 연속 측정으로의 적용을 위해, 현재 이들 기기들의 기술 및 활용 현황을 논의한다. 이어 레이저 광원의 흡수분광기 중 하나로, 사용이 최근 급증하고 있는 광공동 링다운분광기(CRDS, Cavity Ring Down Spectroscopy)기반 동위원소 분석기기를 예시로 하여 연속 관측 시스템의 운용, 최적화 조건, 보정법을 제안하며, 기체 시료로부터 실시간 관측된 메탄 농도 및 메탄 탄소동위원소의 관측 예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러한 가능성 검토를 통해 향후 해양 환경에서의 실시간 메탄 탄소동위원소 분석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mechanisms of $CH_4$ uptake into and release from the ocean are not well understood due mainly to complexity of the biogeochemical cycle and to lack of regional-scale and/or process-scale observations in the marine boundary layers. Without complete understanding of oceanic mechanisms to control the carbon balance and cycles on a various spatial and temporal scal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dict future perturbation of oceanic carbon levels and its influence on the global and regional climates. High frequency, high precision continuous measurements for carbon isotopic compositions from dissolved $CH_4$ in the surface ocean and marine atmosphere can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flux pathways and production/consumption processes occurring in the boundary of two large reservoirs. This paper introduces recent advances on optical instruments for real time $CH_4$ isotope analysis to diagnose potential applications for in situ, continuous measurements of carbon isotopic composition of dissolved $CH_4$. Commercially available, three laser absorption spectrometers - quantum cascade laser spectroscopy (QCLAS), off-axis integrated cavity output spectrometer (OA-ICOS), and cavity ring-down spectrometer (CRDS) are discus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isotope ratio mass spectrometry (IRMS). Details of functioning and performance of a CRDS isotope instrument for atmospheric ${\delta}^{13}C-CH_4$ are also given, showing its capability to detect localized methane emission sources.

      • KCI등재후보

        Algal bioassay 에 의한 조류생장 제한영양염류 결정

        오희목(Hee Mock Oh),이석준(Seog June Lee),김성빈(Seong Bin Kim),박미경(Mi Kyung Park),윤병대(Byung Dae Yoon),김도한(Do Han Kim) 한국하천호수학회 1998 생태와 환경 Vol.31 No.2

        Determination of Limiting Nutrient for Algal Growth by Algal Bioassay. Oh, Hee-Mock, Seog June Lee, Seong-Bin Kim, Mi- Kyung Park, Byung-Dae Yoon and Do-Han Kim (Environmental Microbiology Research Unit,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Taejon 305-333, Korea and Water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Taejon 305-390, Korea) Water quaiity and algal growth potential (AGP) using Microcystis aeruginosa were investigated from April to September 1997 in Daechung Reservoir. Secchi disk transparency was 1.1 m in August. Chlorophyll-a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10㎍/l at all samples. Total phosphorus concentration was in a range of 0.020∼0.027mg/l which is at the approximate value of 0.03 mg/l, the general critical level of eutrophic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aechung Reservoir is in an eutrophic state except some temporary times and restricted sites. Phosphorus uptake rate of M. aeruginosa was higher in the water from the epilimnion than in the hypolimnion and also higher under light condition than under dark condition. Therefore, phosphorus uptake rate appears to depend on cellular phosphorous content and light condition, a meaning of endergonic process. Phosphorus was the most frequently limiting nutrient: phosphorus was limiting algal gowth in April and May, nitrogen, phosphorus and trace elements were the limiting factors for algae in August, and trace elements in September. If a fast growing alga, M, aeruginosa, is used as a test organism for assaying AGP, in vivo fluorescence instead of dry weight can be measured for algal biomass and incubation period can be reduced from traditional 14 days to 7 days.

      • KCI등재

        현대 국악사의 핵심 담론 -‘전통의 전승과 재창조’를 둘러싼 논의들의 지수-

        박미경 ( Park Mi-kyung ) 한국음악사학회 2018 한국음악사학보 Vol.60 No.-

        19세기 말까지 전통사회의 문맥안의 음악만을 향유하던 한국인들에게 선교사들의 손에 들려 제공되는 음악은 낯설고 새로웠을 것이다. 개화를 향한 당시의 전반적 추세에 따라 서양음악의 낯섦은 배격되지 않고 수용되기 시작하였다. 그 엶의 미약한 시작이 이후 백오십 년 가까이를 넘긴 시간을 지나 한국에는 서양음악뿐만 아니라 모든 음악에 열리게 된 지금의 음악향유 문화가 형성된 것이다. 그 과정에서 전통음악과 서양음악 간에 교환이 이루어졌지만, 그 전개 양상은 격동적 변화와 역동성을 담고 있다. 두 전통이 함께 존재하면서 같음과 다름을 지향하며 곳곳에 나타난 독특한 대응양상은 매우 흥미롭다. 우리 전통음악은 각각의 연행문맥을 잃고 한 장르로 묶인 후 100년 여 전개되면서 격동적 위상을 겪었다. 일제강점기와 해방공간을 지나 민주국가의 성립 초기에 전통음악은 서구화가 지향되면서 공적교육체계에 진입하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일반인들의 삶에서 유리되고 소외되어 갔다. 이후 전통 음악은 국가적 이데올로기로 정부 주도의 정책적 지원체제를 획득하면서 보호 육성되었으며 그 흐름은 지금까지 존속하고 있다. 그렇게 세워진 울타리는 그 활성화에 큰 힘이 되었으며 일반인들의 인식전환에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인위적인 부양이 궁극적으로 생성시킨 연행 문화가 긍정적이기만 하지는 않다. 이 논문은 전통음악과 관련되어 주창된 담론들을 두루 살피며 그 영향으로 나타난 현상들을 진단하고 미래지향적으로 비판한 글이다. By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music provided by missionaries to Koreans who enjoyed only the music in the context of traditional society would have been strange and new. According to the general tendency of the time, the familiarity of Western music began to be accepted without being rejected. After the meager start of the Western music, the time has passed for over a hundred and fifty years, Korea now has a musical culture that has been opened in all music as well as Western music. Meanwhile,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ve shown turbulent changes and dynamics. It is very interesting especially that the Korean and Western traditions exist in parallel while the uniquely reacting patterns appearing in various social sectors such as in education, performance, and academic discipline for the same and/or different. Korean traditional music genres had undergone a turbulent phase as it has been unfolding for over a hundred years since it lost its context and was bound to one ‘traditional’ genre. In the early perio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democratic nation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raditional music was not able to enter the public education system with the aim of westernization, and therefore it was neglected and marginalized in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Since then, traditional music has been protected and promoted by obtaining government support, being regarded as a national ideology.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traditional music for a long time seemed to serve in such a way that it has never rooted to the life of general people of Korea. This paper examines the various discourses appeared in relation to traditional music scenes, diagnoses the phenomena that have been influenced by them, and views the future of traditional music.

      • KCI등재

        목차 : 보문 ; 지능형 소방복의 양산화를 위한 이방향 형상기억합금 부착 방법

        박미경 ( Mi Kyung Park ),이지연 ( Ji Yeon Lee ),김은애 ( Eun Ae Kim ) 한국의류학회 2012 한국의류학회지 Vol.36 No.4

        This study shows the optimum attachment of Two-Way Shape Memory Alloy (TWSMA) springs onto thermal liner and its sewing method for the mass production of fire fighter`s intelligent turnout gear. SMA springs were attached to the fabric by four different methods and stitched by two different shapes (square and wave). The durability of the attached springs was tested by laundering up to 50 cycles. Examined were whether the springs would remain attached to the fabric after repeated laundering, the shape memory effect and reaction of the springs, and the anti-corrosiveness of the springs. A Human-Clothing-Environment simulator evaluated thermal insulation according to attachment methods, air layer volume, and stitch types. The findings showed that silicon attached springs remained intact after repeated laundering; in addition, repeated laundering did not influence the responsiveness and anti-corrosiveness of SMAs. Air volume had positive relations with the insulation. Attachment methods or stitch methods had limited impact on the thermal insulation. As a result, a wave type stitch with silicone attachment was suggested as the optimum method to attach the SMA springs onto the intelligent turnout gear for fire fighters.

      • KCI등재

        근거이론에 의한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 형성과정 분석

        박미경(Park Mi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본 연구는 근거이론에 따라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 형성과정에 대해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1년 4월부터 8월까지 다문화가정 유아를 현재 담임하고 있거나 최근 1~2년 이내에 담임한 경력이 있는 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15개 범주를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 인과적 조건은 ‘다문화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다문화가정 유아를 담임하는 심정’이, 맥락적 조건은 ‘유아의 특성과 반응’, ‘다문화가정 부모의 특성과 태도’로 나타났다. 현상으로는 ‘다문화교육 실행하기’, 중재적 조건으로는 ‘사회적 분위기’, ‘교직풍토’, ‘개인 특성’이 도출되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반성적 성찰하기’, ‘다문화역량 키우기’, ‘성공적인 방식 찾기’, ‘다문화가정 부모와 관계 맺기’가 분석되었고, 결과로는 ‘머무르기’, ‘다문화교육 깊게 이해하기’, ‘자신감 획득하기’가 도출되었다. 또한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 형성과정은 ‘실행의 필요성 인식’, ‘실행의 어려움’, ‘교수능력 향상’, ‘전문성 강화’, ‘다문화교육 효능감 형성’의 5단계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황모형을 활용한 결과, 유아교사가 유아, 부모와 함께 다문화교육을 실행하면서 효능감을 형성해 가는 과정은 다문화교육을 실해하는 유치원 차원만이 아니라 자신의 고정관념이나 편견을 탈피하는 노력 등이 포함되는 개인적 차원, 사회분위기 및 지원체제 등의 사회 전체 맥락 속에서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procedures in which data and theory are co-constructed by researcher and participants, this qualitative study constructs a foundational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In-depth interviews with fifteen early childhood teacher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conducted using the Grounded Theory coding methodology to establish workable concepts to form categories. In our analyses, the constructed categories were divid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paradigm model: The casual conditions elicited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eelings about being in charge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contextual condition indicated were ‘young children s characteristics and reactions’ and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of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henomenon was analyzed as execu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intervening condition was analyzed as ‘social atmosphere,’ ‘climate of teaching profession,’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indicated were ‘examining reflectively,’ ‘fostering multicultural capability,’ ‘searching for successful method,’ and ‘having relationship with parents form multicultural families.’ The consequences elicited were ‘staying,’ ‘deeply understand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cquiring self-confidence.’ The process of construc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was indicated to be stages such as ‘recognition of necessity for execution,’ ‘difficulty for execution,’ ‘improvement in teaching ability,’ ‘reinforcement in professionalism,’ and ‘constru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As a result of utilizing conditional matrix for integra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each of categories was indicated to be different, respectively, in the dimension of individual, kindergarten, and society.

      • KCI등재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예측모형 연구

        박미경(Park, Mi Kyung),이홍재(Lee, Hong J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 조직지원인식을 중심으로 이직의도 예측모형을 분석하고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중 보육교사 자료를 활용하여 데이터마이닝 기법인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예측하기 위해 교사의 개인적 요인인 교사효능감, 직무요인인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 조직요인인 조직지원인식을 선정하였다. 이직의도 예측변인의 유의성과 설명력, 그리고 조합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의사결정나무분석 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조직지원인식은 이직의도를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예측요인의 설명력은 직무스트레스, 조직지원인식, 직무만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의사결정은 이들 변인 간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나타난다. 결론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조직지원인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논의와 접근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prediction model of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 and to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Methods The present study used data from the 2018 National Child Care Survey conduct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e analysed the data with data mining decision tree analysis. The present study analysed the effects teacher efficacy,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f childcare teachers on the their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examined the significance and strength of effect of the predictors on the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 and interaction of theses variable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had the most effect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ir turnover intention. Decision-making regard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is explained through various combinations of these variab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discus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order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manage the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