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를 방문한 첫방문객과 재방문객 간 다목적지 여행 패턴 비교: 사회연결망 분석을 적용하여

        박득희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21 대구경북연구 Vol.20 No.1

        International tourists who have visited Daegu metropolitan city tend to visit several places or participate in multi-attraction travel. The current study aims to compare the multi-attraction travel patterns between first and repeat visitors among international tourists to Daegu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echniques. This study used raw data from the 2019 Deagu Tourism Survey distributed by the Deagu metropolitan city. The raw data were converted to relational data matrix utilizing UCINET 6.682 softwar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Of social network analysis techniques, the present study utilized density analysis, normalized in-degree centrality, normalized out-degree centrality, and normalized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first and repeat visitor networks. The results of density analysis disclose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network density between first and repeat visitor groups. In addition, results of the normalized centrality analysis reveal that differences in ranks of tourist attractions between first and repeat visitors. Additionally, major travel routes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major travel routes also differed by tourists' number of visits. The theoretical implication and future study avenues were presente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enhancing multi-attraction travel in Deagu were also offered. 대구를 방문하는 대다수의 외래 관광객들은 한 번의 여행에서 다수의 관광목적지를 방문하는 다목적지 여행 행동을 하고 있으며, 재방문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첫방문객과 재방문객의 다목적지 여행 행동을 심도 있게 연구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광역시에 실시한 “2019 대구관광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연구 목적에 알맞게 정제 후 밀도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여행객의 관광목적지 이동 순서를 내포하고 있는 방향성 자료를 활용해서 관광목적지의 정규화된 내향 연결정도 중심성 및 외향 연결정도 중심성, 정규화된 매개 중심성을 계산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첫방문객과 재방문객 연결망의 구조적 특성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즉, 다목적지 여행 패턴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정규화된 중심성 분석을 통해서 도출된 관광목적지의 순위에서도 첫방문객과 재방문객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첫방문객과 재방문객에 있어 앵커 포인트는 상이함을 확인했다. 또한, 대구광역시에 산재해 있는 관광목적지들은 하나의 중심 관광목적지를 중심으로 위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끝으로, 첫방문객과 재방문객 간의 주요 이동경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행객의 다목적지 여행과 관련한 학술적 시사점, 대구관광 활성화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 향후 연구방향을 결론에서 제시했다.

      • KCI등재

        Intra-destination Travel Behaviors Analyse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among FITs from China, Japan, and North Americans to Seoul, South Korea

        박득희,이계희,김태구 한국무역연구원 2019 무역연구 Vol.15 No.4

        Purpose - This study aims to compare intra-destination travel behavior among Chinese, Japanese, and American international inbound tourists to Seoul, by means of social network analysis (SNA) using 2015 International Visitor Survey data.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e raw data were converted into social network data and then social networks among the sub destinations were constructed using UCINET software for SNA. Findings - Results indicate that first, the density indices contrastingly differ across three intra-destination travel networks and the different destinations of high normalized centrality indices were also identified in the networks. Second, different attractions of high scores in terms of frequency and normalized centrality indices were identified. Lastly,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ree nationality-based networks have a contrastingly different network structure through 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 (QAP) analysi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Marketing and planning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were also present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venue.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싱글 여성 소비자들의 추구편익과 해외여행행동에 대한 연구

        박득희,정희진 한국관광학회 2014 관광학연구 Vol.38 No.1

        본 연구에서는 싱글 여성 소비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 싱글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을 적용하여 싱글 여성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의 차이를 밝혀내어 세분시장들의 특징을 체계화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25세 이상에서 34세 이하인 싱글 여성)은 총 264부의 유효 표본을 수집하여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싱글족의 라이프스타일 차원을 규명하기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시장세분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계층적 군집분석을 실행한 결과 군집은 총 3개로 분류되었다. 셋째, 추구편익의 차원을 규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끝으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추구편익과 해외여행 행동특성의 유의미한 차이를 밝히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군집간의 추구편익과 해외여행 행동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여성 소비자들의 독특한 니즈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나아가 관광산업에서의 표적시장 선정 및 개발, 커뮤니케이션 전략 등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 benefits sought by single Korean womean and their outbound tour behavior.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single women (aged 25-34, living alone). Out of 475 distributed questionnaires, 264 were analyzed (55.58% response rate). The data was analyzed as follow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cluster analysis, discriminant variable, one-way ANOVA analysis using SPSS. the resu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factor analysis, Korean single women lifestyles were categorized into five factors, and the benefits sought were divided into four factors. Second,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cluster analysis: Low Energy group, Moderate Energy group, and High Energy group.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in conducting the one-way ANOVA test, the Low Energy group, Moderate Energy group and High Energy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benefits sought in their outbound tour behavior. By understanding the results from this study, tourism industry practitioners can be aided in developing tourist products.

      • KCI우수등재

        다목적지 여행에서 관광 목적지 순위의 결정 요인 -앵커 포인트 이론의 적용-

        박득희,이계희,강상훈 한국관광학회 2020 관광학연구 Vol.44 No.5

        Tourism has been recognized as a critical power for sound condition of regional economy. It is also essential to understand tourists’ multi-destination travel patterns for vitalizing regional tourism, since tourists tend to visit multi-destinations during their single trip. Applying Anchor-point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terminants related to the ranks in tourism destination hierarchy, which was computed by social network analysis techniques, such as degree centrality. We used raw data of “2016 Korea National Tourism Survey” and “Regional Tourism Competitiveness Model Index,” conducted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f Korea and Korea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 respectively. Data were analyzed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Haeundae was the 1st-ranked tourist destination in both in-degree and out-degree networks, and confirmed to be the anchor-point among other tourist destinations. Meanwhile, out of fifteen tourism competitiveness indicators, only the number of tourism accommodation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in-degree centrality scores (ranks), while no other indicators showed such relationships. The results hold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travelers’ multi-destination travel behavi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m destinations and multi-destination travel of travelers. 관광이 지역 발전을 위한 유효한 수단으로 인식되면서, 지역관광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지역의 관광 환경을 활성화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여행객들의 다목적지 여행 패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관광객이 한 번의 여행을 통해서 하나의 이상의 도시를 방문하는 다목적지 여행의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리학에서 개발된 앵커 포인트 이론을 적용하여 여행객의 다목적지 여행을 통해서 방문한 관광 목적지들 간의 위계적 구조를 파악하고 이러한 위계 구조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조사했다. 이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한 “2016 국민 여행 실태 조사”의 원자료와 한국관광공사에서 2018년에 공개한 “관광 경쟁력 진단 및 분석”의 원자료를 이용하여, 사회연결망 분석기법과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향․외향 연결정도 중심성 분석결과, 해운대구는 내향과 외향 연결정도 모두에서 가장 높은 순위로 나타나 대한민국의 관광 목적지 가운데 앵커 포인트임을 확인했다. 둘째, 15개의 관광경쟁력 진단 핵심 지표에서 내향 연결정도 중심성과 관련해서는 관광숙박업객실 수가 유일하게 유의미한 요인이었지만, 외향 연결정도 중심성 점수와 관련해서는 유의미하게 관련되어진 변수가 도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여행객의 다목적지 여행 패턴을 이해하는 것과 관련하여 앵커 포인트 이론의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고, 국토 공간에 산재해 있는 관광 목적지 간의 연결 관계의 특징 및 연결 관계를 결정하는데 유의미하게 관련되는 변수를 파악했다. 여행객의 다목적지 여행과 관련한 이론적 시사점과 함께,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 및 향후 연구 과제를 결론에서 제시했다.

      • KCI등재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이후 관광객의 관광 공간 행동 비교 연구: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박득희,윤선미 한국호텔관광학회 2023 호텔관광연구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시점인 2019년과 코로나 팬데믹 이후 시점인 2021년 대구 관광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대구광역시를 방문하는 관광객의 관광 공간 행동에 대해 지리학적 접근을 통해 관광객이 실제로 방문했던 관광 공간 간의 관계에 존재하는 특성을 사회연결망 분석을 적용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밀도 분석(density analysis)을 통해 두시점 간 관광객의 관광 공간 행동 패턴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내향/외향 연결정도 중심성 분석(in/out-degree centrality analysis)과 매개 중심성 분석(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을 통해 두 시점 간에 있어 관광 공간의 역할 및 특징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첫째,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 비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 더욱 다양한 관광 공간을 이용하는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이후의 관광 공간의 정규화된 내향 연결정도 중심성 지수의 순위는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고, 외향 연결성 중심성 지수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보다 이후 시점에 실내 공간이 아닌 실외 공간이 개방적인 역할 하는 관광 공간의 역할이 더욱 중요함을 파악하였다. 셋째, 매개 연결성 중심성 지수를 보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시점에 대구광역시 관광에 있어 대구수목원이라는 관광 공간의 영향력은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이후 관광 공간의 동시 방문 유형과 순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이후 관광객의 관광 행동에 대해 객관적인고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으며, 코로나19에로 인한 관광객의 관광 행동 변화를 바탕으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관광환경계획을 위한 초미세먼지 농도의 공간군집 특성과 관광지 특성 간의 관계 분석: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를 대상으로

        박득희,임철희 한국호텔관광학회 2022 호텔관광연구 Vol.24 No.4

        미세먼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미세먼지와 관련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지만, 초미세먼지 데이터와 관광지 통계 데이터를 활용하여 관광공간을 조사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초미세먼지 공간군집 특성을 파악하고 관광지의 특성(관광객 수, 관광지 수, 관광목적의 교통량)과 초미세먼지의 공간군집 특성 간에 연관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고해상도 전세계 초미세먼지 데이터, 국가교통DB, 관광정보시스템에서 제공받은 데이터를 본 연구에 적합하게 정제하여 활용했다. 본 연구는 Getos-Ord Gi*와 Local Moran’s I 공간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한 시가화 및 농업지역이 주로 초미세먼지 고농도로 볼 수 있는 Hotspot과 HH군집으로 확인되었고, 신안군과 순천시는 초미세먼지가 낮은 군집인 Coldspot과 LL군집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미세먼지의 농도와 관광지 수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초미세먼지의 농도와 교통량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초미세먼지의 공간군집 특성에 따라 관광객 수, 관광지 수, 교통량의 평균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관광환경 계획에 관련하여 관광객 수, 관광목적의 교통량은 초미세먼지 농도의 차이가 발생 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줬고, 초미세먼지의 공간군집 특성과 관광지 특성 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있음을 보여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관광환경 계획에 관련한 학술적 시사점과 함께 지속가능한 관광 발전을 위한 지역의 관광환경 정책 설계 및 계획, 교통 정책 수립과 관련한 실무적 시사점을 결론에 구체적으로 작성하였다.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코로나19 발생 전⋅후 안동의 관광공간 구조 파악

        박득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22 호텔경영학연구 Vol.31 No.2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ourism spatial structure of Andong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by using social media dat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text data including, tourist attraction of Andong keywords from Naver, Daum, and Google, web portal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2019, and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2020.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and refined by Textom software, and refined data were analyzed by UCINET software. Amo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techniques, this study performed network density analysis, normalized eigenvector analysis, and 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 (QAP) analysis to identify changes tourism spatial structure of Andong. Analysis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high-frequency tourist attractions show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outbreak of COVID-19. Second, normalized eigenvector centrality indices of tourist attractions represented differences in ranks among tourist attractions between the two groups. Third, there was low similarity between the two different networks, meaning before the outbreak of the COVID-19 network and after the outbreak of the COVID-19 network, but the similar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cademic and practical contributions are provided in the conclusion section. 본 연구는 앵커 포인트 이론를 활용하여 코로나19 발병 전과 후 안동시 관광공간 구조를 비교분석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코로나19 발병 이전(2019년 1월부터 2019년 12월)과 이후(2020년1월부터 2020년 12월)의 자료를 네이버, 다음, 구글 포털에서 수집했다. 자료의 수집 및 정제는 텍스톰을사용했으며, 정제된 자료는 UCINET 6.68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밀도 분석, 표준화된 위세 중심성 분석, QAP 상관분석 등의 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여 코로나19 발병 전후의 안동시 관광공간 구조의 변화를 파악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 분석 결과, 코로나19 발병 전후에 따라 높은 출현 빈도를 가지는키워드(관광목적지)는 차이가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준화된 위세 중심성 분석결과, 코로나19 발병이전과 이후의 관광목적지 연결망 내 관광목적지의 순위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끝으로, QAP 상관분석결과, 코로나19 발병 이전과 이후 관광목적지 연결망 간에는 낮은 유사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관광공간 개발 및 계획에 관련한 연구의 확장에 대한 학술적 시사점과 향후안동시의 균형적 관광공간 조성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했다. 뿐만아니라 본 연구의 한계점과 위한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결론에 자세하게 제시했다.

      • KCI등재

        관광정보 원천에 따른 대구 방문객의 관광지 이동패턴 네트워크 분석

        박득희,윤선미 재단법인 경북연구원 2023 대구경북연구 Vol.22 No.1

        This study applied social network analysis to identify the tourism spatial behavior of tourists according to the tourism information source by using the data of the Daegu tourism survey in 2021. This study aims to check the network between tourism spatial according to online and offline information sources and compare the differences. To analyze the tourism spatial network, density analysis, and centralit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Ucinet 6.733 version. Also using Boostrap Paired Sample T-test, the differences in the tourism spatial network between online and offline information sources were verifi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networks, and the results of the in-degree centrality analysis, the out-degree centrality analysis, and the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 were different.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esent specific and objective data on the tourist's behavior in the tourism spatial in order to activate Daegu tourism. 본 연구는 2021년 대구관광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 정보 소스에 따른 관광객의 관광공간 행동, 관광공간 네트워크를 확인하고 차이점을 비교하고자 한다. 관광공간 연결망을 분석하기 위해서 Ucinet 6.733 version을 사용하여 밀도분석과 중심성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Boostrap Paired Sample T-test을 이용하여 온라인 정보원천과 오프라인 정보원천간의 관광공간 연결망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두 연결망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내향 연결정도, 외향 연결정도, 그리고 매개 중심성분석의 결과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구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 관광객의 관광공간 행동에 대해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소셜 네크워크 분석을 적용한 내국인 관광객들의교통수단에 따른 네트워크 비교 연구: 부산 지역 관광목적지를 중심으로

        박득희,전재균 한국관광연구학회 2018 관광연구저널 Vol.32 No.3

        본 연구는 부산 지역에 위치한 관광목적지를 방문한 내국인 개별관광객들의 다목적지 여행 행동을 파악하기 위해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는 2곳 또는 그 이상의 관광목적지를 방문한 관광객들의 자료를 이용하여 관광 시 이용한 교통 별로(자가용, 대중교통) 다목적지 여행 행동의 매트릭스를 구성했다.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인 UCINET 6.0을 사용하여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 기법 중 네트워크의 밀도, 정규화된 중심성(내향⋅외향 연결정도 중심성, 내향⋅외향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키플레이어 분석 등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자가용 네트워크와 대중교통 네트워크 밀도 지수는 유사 하였다. 둘째, 표준화된 중심성 분석 결과, 자가용 네트워크와 대중교통 네트워크 안에 위치한 중심성 지수가 높은 관광목적지들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키플레이어 분석결과, 자가용 네트워크와 대중교통 네트워크 내의 핵심 관광목적지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방문한 관광목적지들의 연결관계는 관광객들이 관광 시 이용한 교통편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에 관련한 실무자들에게 부산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한 관광목적지 개발 및 관리, 홍보 및 마케팅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판단된다. 이와 더불어 다목적지 여행 행동에 대한 후속연구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이라 판단된다.

      • KCI우수등재

        언어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관광 행동 연구 동향 분석: Journal of Destination Marketing & Management 논문을 중심으로

        박득희,김지언,이계희 한국관광학회 2022 관광학연구 Vol.46 No.3

        Due to the change in the tourism paradigm,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ourists' tourism behavior has been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in tourism behavior resear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Destination Marketing & Management and to provide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is study collected research related to tourism behavior and/or tourist behavior from the JDMM database from 2012 to 2021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s goal. The current study used UCINET 6.682 to perform some language network analysis techniques, including density, eigenvector centrality, frequency of co-occurrence keywords, and CONCOR. The linkage patterns of keywords were concentrated into a few keywords, according to density analysis. The eigenvector centrality analysis results show that a few keywords in the keywords network were hierarchically structured. Furthermore, the first-ranked keywords were Behavioral intentions, Satisfaction, Tourist behavior, COVID-19, and Destination image, which can play a key role as the central keywords in the keyword network. The frequency of co-occurrence keywords results show that the frequency of co-occurrence keywords results show that Behavioral intentions -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 Destination image were the most common co-occurrence keywords within the keyword network. Finally, as a result of the CONCOR analysis, four clusters were identified, and it was confirmed that clusters related to social issues and destination images were the most important. The implications for future tourism behavior research were provid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analysis.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suggested by expanding various analysis techniques. 관광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해 관광객의 관광 행동 이해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연구는 Journal of Destination Marketing & Management에 게재된 관광 행동 논문들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JDMM에서 2012년부터 2021년까지의 관광 행동 논문들을 수집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UCINET 6.68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밀도 분석, 위세 중심성 분석, 동시 출현 빈도 분석, CONCOR 분석 등의 언어 연결망 분석을 수행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밀도 분석 결과, 주제어 연결망의 연결 형태는 균형적으로 연결을 가지는 형태가 아닌 특정 주제어에 집중적으로 연결된 형태임을 확인했다. 둘째, 위세 중심성 분석 결과, 주제어 연결망 내에 포함된 주제어들은 소수의 주제어들에따른 위계적 연결 형태를 가지는 것을 확인했다. 이와 더불어, Behavioral intentions, Satisfaction, Tourist behavior, COVID-19, 그리고 Destination image는 주제어 중에서 중심 주제어가 될 수 있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주제어임을 확인했다. 셋째, 동시 출현 빈도 분석 결과, Behavioral intentions - Satisfaction, Behavioral intentions - Destination image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했다. 끝으로, CONCOR 분석 결과, 4개의 군집이 도출되었으며, 사회적 이슈와 이미지에 관련한 군집의 중요도가 가장 큰 것을 확인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관광 행동에 관련한 연구의 확장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했고, 이 연구의 한계점과 다양한 분석기법에 대한 확장을 통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