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COVID-19 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한 대학생의 지식, 정신건강실태 및 감염예방행위

        박나라,류지홍,남민아,소애영 다문화건강학회 2021 다문화건강학회지 Vol.11 No.1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knowledge, mental health status, and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about COVID-19 epidemic.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180 students at the university in W city from 2020.10.19 to 2020.10.23. The research tools included a fear measurement tool(nine questions) developed by the KSTSS, and GAD-7 and PHQ-9, which measure anxiety and depression. The COVID-19 knowledge and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were developed and used by researchers referring to the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19 Prevention National Code of Conduct' and '2020 Living Prevention Guidelines(draft)' of the KDCA. Results: Students' knowledge about COVID-19 was high at 10.14±0.87 out of 11, fear at 17.12±0.58, anxiety at 3.28±4.19, and depression at 4.17±4.96. Prevention health behavior was high with 4.04. The higher fear, the higher anxiety and depression. The better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lower anxiety and depression, and the higher prevention health behavior. Conclusion: Students' fear, anxiety and depression about COVID-19, alcohol consumption, exercise, and subjective health was correlated. Mental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 programs are need.

      • KCI우수등재

        공공부문 투명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2010-2015년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와 고객만족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나라 한국행정학회 2017 韓國行政學報 Vol.51 No.4

        This article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parency and citizen satisfaction with regard to public agencies in Korea. Korean public agencies increasingly release information that they possess and/or manage, and disclosure rates have been maintained at 97% during the past decade. As is the case with governmental institutions, public agencies are required to proactively provide citizens, or their policy customers, with their information. Simply put,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as well as achievements in increasing transparency in the public sector. But why do public agencies (need to) strive to be transparent? Employing partial proportional odds-ordered probit regression with random effects on a panel dataset covering all public agencies in Korea, 2010 to 2015, this study shows that transparenc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itizen satisfaction, which is another critical goal that public agencies progressively pursue. Furthermore, while the extant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parency and citizen satisfaction in the public sector revolves around “perceived transparency” by utilizing survey results, this study attempts to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by empirically highlighting "observed transparency" as measured by the degree to which public agencies disclose their internal information to the public. 본 논문은 한국의 공공부문에서의 투명성과 만족도의 관계를 연구한다. 공공기관들은 정보공개제도를 통해 자신이 보유・관리하는 정보를 해마다 점점 더 많이 공개하고 있고, 정보공개율은 97%를 상회하고 있다. 공공기관에게도 정부기관과 마찬가지로 사전정보・원문정보 공개가 의무화되는 등 정보공개 투명성을 더욱 높이고자 하는 움직임은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공공기관들이 이처럼 정보공개에 적극적인 이유, 혹은 적극적이 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본 논문은 2010-2015년 패널 데이터에 대한 ‘무작위효과를 고려한 부분 비율 승산비 서열 프로빗 회귀분석 (partial proportional odds-ordered probit regression with random effects)’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통해, 공공기관의 정보공개가 공공기관의 또 다른 중요한 목표인 만족도 달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정보공개 제도의 효용성을 고객만족도와의 관계 속에서 찾아보려는 시도를 통해, 투명성 및 만족도 제고 등 다양한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는 공공기관에게 목표 간의 조화가 가능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투명성과 만족도의 관계에 대해 연구한 기존 논문들이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측정한 ‘인식된 투명성 (perceived transparency)’을 주로 다루고 있는데 비해, 본 연구에서는 정보 공개 실적으로 측정한 ‘관찰된 투명성 (observed transparency)’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관련 연구의 지평을 넓힌 데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테러경보시스템의 운용 현황과 발전 방향

        박나라,이보현 한국치안행정학회 2018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5 No.2

        본 연구는 국내테러경보시스템의 운용 현황을 연속성, 일관성, 기관 간 일치성의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대테러 정책 발전 방안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고자 한다. 2005년 7월부터 2018년 5월 현재까지 발령된 총 58건의 테러 경보에 대한 정밀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테러경보시스템 운용상의 한계를 발견하였다. 첫째, 테러경보 발령에 있어 시간적 비연속성이 발견되었다. 2005년 도입 이후 테러경보시스템이 12개월 이상 발령 경보가 없었던 것은 두 차례로, 약 42개월간의 ‘1차 단절(2005년 11월–2009년 5월),’ 약 18개월간의 ‘2차 단절(2015년 11월-2017년 5월)’이 있었다. 국내외 정세와 테러 첩보를 민감하게 포착하여 테러 경보를 발령해야 할 테러경보시스템의 기본 목표가 달성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둘째, 테러경보의 과거 발령 기록의 일관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다. 테러경보 발령내역에 대하여 잦은 변경이 행해졌으며, 변경 여부 및 내용, 그리고 변경 사유를 공개하지 않음으로써, 테러경보시스템 운용 전반에 대한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게 된다. 셋째, 테러경보시스템 유관기관인 대테러센터와 국가정보원의 발령 기록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다수 발견하였다. 향후 중요 정책정보이자 국가기록인 테러경보 내역의 생산・관리에 철저를 기함으로써, 현대 민주 국가에서 테러경보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공공정책 및 제도의 기본 목표라 할 수 있는 행정의 투명성과 책임성에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records of the national terror alert system of South Korea from multiple angles including continuity, consistency, and congruence between operating agencies. In so doing, we ultimately aim at developing suggestions for Korea’s counter-terrorism policy. Since July 2005, when the terror alert system was instituted, the Korean government has issued terror alerts 58 times. According to our 5-month research, there have mainly been three issues with the operation and records management of the terror alert system. First of all, we discovered temporal discontinuity in terror alerts. Since 2005, there were two times when no terror alerts were issued for a period longer than 12 months: 42 months from November 2005 to May 2009, and 18 months from November 2016 to May 2017. There seems to be room for improvement of the terror alert system to properly reflect the likelihood of terrorism based on thorough evaluations of political situations and critical information on terror attacks. Second, the past records of terror alerts do not maintain temporal consistency. We observed many cases that were changed without any explanations for the changes per se, details of the changes, and reasons for the changes, which led us to question the reliability of terror alert issuance. Third, we found multiple instances where the terror alert data from relevant agencies differed. Hence, we suggest the Korean government to exert extra efforts for proper management of the terror alert system, which will help them achieve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in administration.

      • KCI등재

        Wear characteristics of Stellite6 and NOREM02 hardfaced SKD61 hot working tool steel at the elevated temperature

        박나라,안동규 한국정밀공학회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Vol.16 No.2

        Recently, interest in hardfacing technology has steadily increased in effort to improve wear characteristics of hot forming die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wear characteristics of Stellite6 and NOREM02 hardfaced SKD61 hot working tools steel at the elevated temperature. Stellite6 and NOREM02 superalloys are deposited onto the SKD61 hot working tool steel using the laser-aided direct metal rapid tooling (DMT) process.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hardfacing materials on the hardness of hardfaced specimens, hardness experiments are performed beyond the full annealing temperature of the SKD61 material. Pin-on-disk experiments are carried out to examine wear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worn volume, the worn depth, the worn width, and the friction induced work hardening, of the hardfaced specimens at the elevated temperature. The morphology in the vicinity of the worn region is observed by a digital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 (SEM)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and the microstructure of the worn region. In addition, the efficiency of the hardfaced specimen is discussed via the comparison of wear characteristics of superalloy hardfaced specimens with those of the SKD61 specimen.

      • KCI등재

        펄스전류활성소결장치를 이용한 다공성 Fe-Cu-C계 합금 제조 및 기계적 특성 평가

        박나라,김기열,이병현,김태완,송준혁 한국기계기술학회 2020 한국기계기술학회지 Vol.22 No.3

        Porous Fe-Cu-C alloy was sintered by Pulsed Current Activated Sintering(PCAS) method within 10 min from horizontal ball mill mixture. The relative density of Fe-20wt.%Cu-0.8wt.%C alloy fabricated by PCAS method was 91%. The average hardness of the Fe-20wt.%Cu-0.8wt.%C alloy was HRB 92. The phase analysis, microstructure and composition information of the sintered alloy were investigated by using XRD, FESEM, EDAX.

      • KCI등재

        고주파유도가열 연소합성에 의한 4.25 Co<sub>0.53</sub>Fe<sub>0.47</sub>-Al<sub>2</sub>O<sub>3</sub> 복합재료 제조

        박나라,남궁훈,고인용,손인진,Park, Na-Ra,NamKung, Hoon,Ko, In-Yong,Shon, In-Jin 한국분말야금학회 2009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16 No.2

        Nanopowders of $Co_3O_4$ and FeAl were fabricated by high energy ball milling. Dense 4.25 $Co_{0.53}Fe_{0.47}-Al_2O_3$ composite was simultaneously synthesized and consolidated by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ed combustion method within 2 min from mechanically activated powders. Consolidation was accomplished under the combined effects of a induced current and mechanical pressure of 80 MPa.

      • KCI우수등재

        한국 정부 규제의 정당화 논리는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 : 보건ㆍ복지 정책 분야 신설ㆍ강화 규제(1998~2019) 분석

        박나라,함지현,손연우 한국정치학회 2022 한국정치학회보 Vol.56 No.1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double-sidedness of the South Korean regulatory state which has been founded on the legacies of the developmental state. We do not attempt to criticize the increase of government regulations per se, but pay attention to the underlying rationales. Government regulations have increased and been reinforced as opposed to the government’s claim to decrease or rationalize them. We analyze the review outcomes of health and welfare regulations documented in the Regulatory Reform White Papers published annually for two decades (1998-2019)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ve Regulations. We code values inherent in the data, and categorize them into significant themes. Our primary findings are threefold. First, rather simple logic (e.g. whether regulation is necessary) dominated in the early days of regulatory reform, but the grounds for generating and reinforcing regulations have diversified over time. Second, non-economic values (e.g. prioritizing democratic processes have predominated over considerations of formality (e.g. the hierarchy of laws). Third, economic values appear more frequently in health regulations and during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2008-2013). This article offers in-depth analyses on all available data during the chosen period, which helps improve on existing exploratory studies lacking empirical analyses. 본 연구는 한국이 발전국가 유산 하에서 규제국가로 이행하면서 정부 주도 규제 개혁을 단행하였지만, 동시에 매년 상당히 많은 규제가 신설, 강화되는 현상에 주목하였다. 이때 규제가 늘어나는 것 자체에 의문을 가지기보다는 탈규제, 규제 합리화 기치 아래 정부 규제가 이루어질 때 어떠한 정당화 논리가 사용되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1998년 행정규제기본법 제정 이후 규제개혁백서(1998~2019)를 통해 매년 발표되는 보건ㆍ복지 분야의 신설ㆍ강화 규제의 심사내용 및 결과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에는 규제 필요 여부를 따지는 단순한 논리가 주를 이루었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규제를 합리화하기 위한 근거들이 다변화되었다. 둘째, 최근으로 올수록 상위법과의 관계 등 형식적인 것에서 민주적 절차에 대한 고려 등의 비경제적 가치가 중심이 되고 있다. 셋째, 정책 영역별로는 복지 분야보다 보건 분야에서 경제적 이유를 합리화 근거로 삼은 경우가 더 많았으며, 정권별로는 이명박 정부에서 경제적 가치가 두드러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은 정부가 공개한 자료 전수를 분석 대상으로 실증성 높은 심층적인 분석을 체계적으로 시도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우수등재

        한국 행정학 질적 연구의 방법(론)상 논점: 2000-2019년 한국행정학보 게재 논문 메타 분석

        박나라,윤선우 한국행정학회 2022 韓國行政學報 Vol.56 No.1

        In this article, we mainly discuss three critical points regard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methodology based on a meta-analysis of research published in the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between 2000 and 2019. First, many case studies have not made a comparison among plural cases, but only examined a single case without developing a theoretical framework of their own. Second, in-depth interviews have not been rigorously analyzed, but rather quoted as supplementary evidence to increase the validity of quantitative analysis. This invites caution because the in-depth interview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hose primary purpose is to collect data that then needs to be substantively parsed. Third, most content analysis articles have been conducted quantitatively with frequency analyses of keywords, rather than qualitatively with semantic analysis of their meanings. In conclusion, we suggest boundary spanning through an active combination of multiple research methods and deepening of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mixed methods integrative research design. To improve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we recommend that public administration scholars build an institutional and normative foundation for fully fledged academic development by strengthening education 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methods. 본 논문은 2000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행정학보에 게재된 일반논문들의 방법(론)적 경향성을 검토하고 질적 연구 방법과 관련한 세 가지 논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단일 사례연구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나 별도의 이론적 분석틀이 없거나 기존의 수입 모형 및 이론을 그대로 한국적 맥락에 적용하는 형태로 수행된 경우가 많았다. 둘째, 질적·양적연구에서 심층면담 자료가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단순 인용하거나 분석 결과를 보고하지 않는 등 엄밀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셋째, 내용분석에서 양적 접근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내용분석을 체계적인 분석 방법으로 이해하고 분석한 경우가 드물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논점들에 대한 제언으로, 다양한 질적 방법의 활용을 통한 질적 연구의 확대와 혼합적 연구 설계를 통한 질적 연구의 심화를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질적 연구 방법(론) 교육을 통해 연구 방법의 기술적 측면뿐만 아니라 제도적, 체계적으로 질적 연구 윤리를 추구하는 풍토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한국 행정학 연구 공동체가 집합적인 노력을 경주해 나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