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판 대학생 진로타협 경향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

        박기라,김소은,양은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5 No.2

        This study validated the Willingness to Career Compromise scale measuring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tendency of career compromise with Korean college students. Specifically, the factor structure,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with career variables were examined.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measurement invariance and latent means between men and women. A total of 456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and 368 participants returned for test-retest reliability in 6 months. They completed an online survey consisting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Willingness to Career Compromise scale, career compromise scale for college students, career compromise scale for unemployed youths, career value discrepancy scale, and career adaptability scale. The results supported one factor structure with an exception of one item. The results also provided the evidence for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stest reliability.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yielded configural, metric, partial scalar invariances across genders. Women reported a higher latent mean than men. Moreover, the Willingness to Career Compromise scale was positively related to two types of career compromise measures, and negatively with internal value discrepancy, career aspir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Willingness to Career Compromise scale are similar to those of the original scale in general, and it is appropriate for being used across genders. 본 연구는 진로타협에 있어서 개인차를 반영하는 진로타협 경향성 척도를 국내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진로타협 경향성 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내적 일치도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분석하였으며, 진로관련 요인들과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추가적으로 본 척도가 남녀 집단에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측정모형의 동일성과 잠재평균검증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총 456명의 남녀대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그 중 368명을 대상으로 6개월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이 이루어졌다. 연구참여자들은 온라인 설문을 통해 한국어로 번안된 진로타협 경향성 척도에 응답하였으며, 진로타협 경향성 척도와의 준거타당도 분석을 위하여 대학생 진로타협척도, 청년 실업자를 위한 진로타협척도, 타협으로 인한 진로가치 불일치 척도, 진로포부척도, 진로적응성 척도도 함께 실시되었다. 진로타협 경향성 척도의 요인분석 결과 요인부하량이 낮은 1개의 문항을 제외한 8개의 문항들의 단일요인구조가 지지되었으며, 내적 일치도와 안정적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지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남녀 집단차와 관련해서는 형태동일성, 측정단위동일성, 부분절편동일성이 성립되었으며 잠재평균분석 결과 여자대학생 집단의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진로타협경향성은 두 유형의 진로타협척도와 정적 상관을, 내적 진로가치 불일치, 진로포부 및 진로적응성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판 진로타협 경향성 척도가 전반적으로 원척도와 유사한 심리측정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남녀 대학생 집단 모두에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SCOPUSKCI등재

        액체 혼합물의 끓음에 대한 예비 화학교사의 이해

        박기라,윤희숙,Park, Kira,Yoon, Heesook 대한화학회 2015 대한화학회지 Vol.59 No.5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boiling process of a liquid mixture. We surveyed 65 students in the chemistry progra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about the boiling point of a 50%(by mole) ethanol aqueous solution and the temperature changes during heating. We then interviewed 9 of these student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percent of the pre-service teachers who thought that the boiling point of the ethanol solution would be ‘between the boiling points of ethanol and water (78-100 ℃)’ and ‘the same as that of ethanol’ were 52.3% and 35.4%, respectively. The majority of those who stated the former explained that the boiling point of the ethanol solution increased due to the effects of attraction or blocking by water molecules. Most of those who believed the latter explained tha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he boiling point would not be changed by the addition of water. With regard to the temperature change during heating, 69.2% of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 temperature would increase gradually while boiling, which some thought resulted from the increasing amount of water in the solution as the ethanol boiled off. Others thought that two temperature plateaus would be observed as each component of the liquid mixture underwent phase transition at its specific boiling point. When asked about the particle model of the gas phase during the boiling and evaporation process, some students drew both ethanol and water during evaporation but only ethanol when boiling. We discussed several alternative concepts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about the boiling process of liquid mixtures and ways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 KCI등재

        개방형 탐구를 지도하는 초임 과학교사의 전문성 성장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박기라,윤희숙 한국과학교육학회 202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4 No.5

        개방형 탐구에서 교사는 학생들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적절한 도움을 제공해 주어야 하지만 과학교사 대부분이 개방형 탐구 지도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탐구를 지도하는초임 과학교사의 전문성 성장에 초점을 맞추어, 2년간 개방형 탐구를지도한 과학교사의 경험을 자문화기술지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개방형 탐구 지도의 어려움, 극복과정, 전문성 성장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자기회상자료, 자기성찰자료, 면접자료, 문화기물자료를 구분하여 수집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포괄적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개방형 탐구에서의 전문성은 학생을 대상으로 직접적인 탐구 지도 시 경험하게 되는 교수실행과 관련된 영역, 학생과 교사 자신을 제외한 외부 환경과 관련된 영역, 교사 자신의내적인 영역 등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째, 연구자는개방형 탐구 지도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지도교사에게 필요한 역량과 자질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학생들에게적절한 비계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고, 전문성이 성장하게 되었다. 둘째, 동아리 활동 시간부족, 과학실 기자재 부족, 예산 사용의 어려움과 같은 제도적인 제약에 따른 어려움을 겪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자는 주변의 자원을 파악, 활용하여 학생들이 탐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할수 있었다. 셋째, 개방형 탐구를 지도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내적인고민과 갈등을 도움 받을 수 있는 지원 시스템이 부재하여 어려움을겪었고, 과학부장님과의 소통으로 용기와 힘을 얻으며 지도교사로서효능감을 높일 수 있었다. 연구자에게 개방형 탐구를 지도한 경험은성장의 밑거름이 되었으며, 2년 후 지도교사로서 성장한 모습을 확인하였다. In open inquiry, teachers must identify the difficulties of students and provide appropriate help, but most science teachers are struggling with open inquiry guidance. Therefore, this study, using autoethnography, focused on the professional growth of a novice science teacher who guided open inquiry and examined the experiences of a science teacher who guided open inquiry for two years. Based on this, we tried to explore the difficulties of open inquiry guidance,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m, and the process of professional growth.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llected self-recall data, self-reflection data, interview data, and cultural artifacts data,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a comprehensive analysis procedure. Teacher expertise in open inquiry instruction could be divided into three areas: areas related to teaching practice experienced during direct inquiry instruction to students, areas relat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excluding students and teachers themselves, and the internal area of the teachers themselves. First, the researcher encountered difficulties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an open inquiry instructor but overcame difficulties and developed professionalism through the process of considering the competencies and qualities necessary for an instructor and making efforts to provide appropriate scaffolding to students. Second, difficulties were experienced due to institutional constraints such as lack of time for club activities, lack of science lab equipment, and difficulty in budgeting. To overcome these issues, researchers identified and utilized surrounding resources to create an environment so that students could focus on inquiry. Third, there was a difficulty due to the lack of a support system to receive internal concerns and conflicts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guiding open inquiry. But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head science teacher, the researcher was able to gain courage and strength and increase the efficacy as a teacher. The experience of guiding open inquiry served as a foundation for growth, and two years later, the researcher was able to confirm the growth as a teacher.

      • KCI등재

        애착이 얼굴표정 인식의 정확성에 미치는 효과

        박기라,고영건 한국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0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styles on the accuracy of emotion awareness from facial expression. For this purpose, the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s, Revised (ECR-R) and the Facial Awareness Task were administrated to 247 Korea University undergraduate students (90 males, 157 female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attachment styles (secure, preoccupied, dismissing, and fearful) according to their scores of the two dimensions of the ECR-R. On the Facial Awareness Task,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ate intensities of happiness, anger, sadness, disgust, surprise, and fear in the mixed facial exp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attachment-related anxiet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awareness accuracy of anger facial expression, while avoidance was not related to the awareness accuracy. In addition, the group with fearful attachment style recognized anger facial expression more incorrectly than the group with secure attachment styl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애착이 복합표정에 대한 정서인식 정확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47명(남자 90명, 여자 157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유형 질문지와 얼굴표정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전체 피험자는 애착회피 차원과 애착불안 차원 간의 조합에 기초하여 애착유형을 안정형, 몰입형, 거부형, 두려움형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몰핑기법으로 제작된 복합표정 자극으로 얼굴표정 인식 검사를 제작하였으며 피험자의 검사 수행 결과를 통해 정서 인식의 정확성이 평가되었다. 얼굴표정 인식 검사 수행 시 피험자들은 컴퓨터 화면에 나타난 얼굴표정 자극을 보고, 행복․분노․놀람․슬픔․공포․혐오의 강도를 평정했다. 연구결과 첫째, 애착불안 차원은 얼굴표정 인식 검사 중 분노표정 인식의 정확성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애착회피 차원은 정서인식 정확성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애착 유형 중 두려움형은 안정형에 비해 분노표정 인식의 정확성 면에서 낮은 수행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해 애착유형 중 두려움형이 분노 관련 정서의 인식 능력에서 결함을 보일 가능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상담자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가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 불안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효진,박기라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2 인간이해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fear of self-compassion through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counselor burnout. The sample included 206 counselors who had more than one year of experience in psychological counseling.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SPSS macro PROCESS v3.5.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clarity, self-compassion, fear of self-compassion, and counselor burnou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Second, a mediating model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counselor burnout was partially mediated by self-compassion.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counselor burnout was moderated by fear of self-compassion.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상담자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및 자기자비 불안의 조절효과를 포함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심리 상담 경력이 1년 이상인 상담자 206명을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 자기자비, 자기자비불안, 상담자 소진을 측정하였고,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21.0과 SPSS macro PROCESS v3.5 를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 자기자비 불안, 그리고 상담자 소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매개효과검증 결과 정서인식명확성이 상담자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이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결과 정서인식명확성과 상담자 소진의 관계를 자기자비가 매개하며, 자기자비와 상담자 소진의 관계가 자기자비 불안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고, 상담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 KCI등재

        ‘두 풍선 실험(Two-balloon experiment)’에 대한 고등학생과 예비교사의 설명 탐색

        박세희,박기라,윤희숙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2 현장과학교육 Vol.16 No.3

        ‘두 풍선 실험(Two-balloon experiment)’은 크기가 다른 풍선 두 개를 긴 호스로 연결하고 콕을 막아두었다가 열었을 때 두 풍선의 크기 변화를 살펴보는 실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 풍선 실험(Two-balloon experiment)’에 대한 고등학생들과 예비교사들의 인지 갈등 및 이의 해결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화학교육전공과 물리교육전공 예비교사 30명과 고등학생 5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풍선 실험’ 관찰 전과 관찰 후, 풍선의 부피 변화와 그 이유에 대하여 질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또한 예비교사의 경우 소집단 토론을 수행하여 풍선 부피 변화에 대한 전공별 설명 방식을 살펴보았다. 질문지 분석 결과, 실험 관찰 전 고등학생들과 예비교사들 두 집단 모두 ‘두 풍선의 크기가 같아질 것이다’라고 예측하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고등학생들은 공기의 양이 많을수록 압력이 커진다고 보는 직관적 관념을 가지고 있었고, 대부분이 풍선의 탄성을 인식하지 못하였다. 일부는 풍선의 크기가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예비교사들도 유사하였으며, 일부 물리교육전공 예비교사만이, 풍선의 탄성을 인식하여 설명하였다. 현상 관찰 후에 고등학생들은 풍선의 부피 변화 이유를 보일의 법칙으로 설명하는 등 현상에 맞추어 자신에게 친숙한 이론을 차용하여 설명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각 전공별 예비교사의 설명 방식을 분석한 결과 화학교육전공의 경우 입자 관점으로, 물리교육전공의 경우 탄성과 힘의 합력으로 설명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 KCI등재

        Morphology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e epiphytic dinoflagellate Amphidinium massartii, isolated from the temperate waters off Jeju Island, Korea

        이경하,정해진,박기라,강남선,유영두,이무준,이진우,이수진,김태경,김형섭,노재훈 한국조류학회I 2013 ALGAE Vol.28 No.3

        Amphidinium massartii Biecheler is an epiphytic and toxic dinoflagellate. Prior to the present study, A. massartii has been reported in the waters off the Mediterranean, Australian, USA, and Canadian coasts. We isolated Amphidinium cells from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 and their morphology and rDNA sequences indicated that they were A. massartii. Herein, we report for the first time the occurrence of A. massartii in the waters of the temperate region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The large subunit (LSU) rDNA sequences of the Korean strains were 0.7% different from those of an Australian strain of A. massartii CS-259, the closest species, but were 4.1-5.8% different from those of the other Australian strains and the USA strains of A. massartii and from those of Amphidinium sp. HG115 that was isolated from subtropical Okinawan waters. In phylogenetic trees based on LSU,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mall subunit rDNA, and cytochrome b sequences, the Korean strains belonged to the A. massartii clade, which was clearly divergent from the A. carterae clade. The morphology of the Korean A. massartii strains was similar to that of the originally described French strain and recently described Australian strain. However, we report for the first time here that scales were observed on the surface of the flagella. In conclusion, the Korean A. massartii strains have unique rDNA sequences, even though they have a very similar morphology to that of previously reported strains. This report extends the known range of this dinoflagellate to the temperate waters of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 KCI등재

        초심상담자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정신화와 정서조절곤란의 순차적 매개효과

        장두용,이해림,박기라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3 인간이해 Vol.44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mentalizat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burnout among novice counselors. Data were collected from 222 counselor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using an online survey.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1 and SPSS PROCESS Macro. Resulting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mentaliz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burnout. Second, emotional dysregul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burnout but does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burnout. Third, mentalizat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burnout. Finally, research implications and study limit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심상담자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신화와 정서조절 곤란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성인애착의 하위 차원인 애착회피와 애착불안이 초심상담자의 소진에 어떻게 다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력 3년 이내의 초심상담자 22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자료는 SPSS Statistics 21과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화는 애착회피 및 애착불안과 소진의 관계를 각각 매개하였다. 둘째, 정서조절 곤란은 애착회피와 소진의 관계는 매개하였으나, 애착불안과 소진의 관계는 매개하지 않았다. 셋째, 정신화와 정서조절 곤란은 애착회피와 소진의 관계를 순차적으로매개하였으나, 애착불안과 소진의 관계에서는 정신화만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