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재모델링을 위한 정온식 열감지기의 장치물성 측정

        희원,조재호,문선여,충화,황철홍,김성찬,남동 한국화재소방학회 2014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8 No.1

        The high predictive performance of fire detector models is essentially needed to assure the reliability of fire and evacuationmodeling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Based fire safety Design (PBD). The main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to measure input information in order to predictive the accurate activation time of fixed temperature heat detectorsadopted in Fire Dynamics Simulator (FDS) as a representative fire model. To end this, Fire Detector Evaluator (FDE)which could be measured the device properties of detector was used, and the spot-type fixed temperature heat detectors oftwo thermistor types and one bimetal type were considered as research objectors. Activation temperature and ResponseTime Index (RTI) of detectors required for the fire modeling were measured, and then the RTI was measured for ceilingjet flow and vertical jet flow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 location of detectors. The results of fire modeling using measureddevice properties were compared and validat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of full-scale compartment fires. It wasconfirmed that, in result, the numerically predicted activation time of detector showed reasonable agreement with themeasured activation time. 성능위주 소방설계(PBD)의 과정에서 화재 및 피난모델링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화재감지기 모델의 높은 예측성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표적인 화재모델인 FDS에 적용되고 있는 정온식 열감지기의 정확한작동 개시시간을 예측하기 위한 입력정보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화재감지기의 장치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FireDetector Evaluator (FED)가 사용되었으며, 국내에서 적용되는 2개의 써미스터 방식(Thermistor types)과 1개의 바이메탈 방식(Bimetal type)의 스포트형 정온식 열감지기가 연구대상으로 고려되었다. 화재모델링을 위해 요구되는 감지기의작동 개시온도 및 반응시간지수(Response Time Index)가 측정되었으며, 이때 RTI는 감지기의 설치위치를 고려하여 천장제트기류(Ceiling jet flow)와 수직제트기류(Vertical jet flow)에 대하여 측정되었다. 측정된 장치물성을 이용한 화재모델링 결과는 실규모 구획화재실험 결과와 비교·검증되었다. 그 결과 수치적으로 예측된 감지기의 작동 개시시간은 실험결과를 적절히 잘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 도시자연공원의 야간이용 활성화 방안 : 대전 보문산 공원을 대상으로

        이재만 ․ 박군 ․ 이시영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1 自然科學論文集 Vol.22 No.1

        This research aims to grasp the use status and satisfaction level based on citizen consciousness in night time to improve future design. This study employs a combination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In the literature review, the related materials were collected to obtain the most useful information for references, and the POE study of the Bomunsan Park was conducted. The survey instrument is a questionnaire that includes questions regarding Bomunsan Park.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SPSS17.0 for Windows). Through the POE analysis of the usage status and variables which significantly affect the users’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spaces and facilities were investigated and the following problems have been found. Bomunsan Park requires extensive modification to meet the demand of citizens. Several shortcomings are hampering the development of the Park. The rest space and the nightscape seem to be the two most problematic aspects in the Park. The nightscape design should be particularly emphasized in the overall park design in the future. Usage night and space and facilities for user satisfaction analysis, the increase of bus routes and the lighting was the biggest problem. Therefore, future access to transportation means and at night design considerations will be based on the need to plan.

      • KCI등재후보

        조기위암에서 내시경 점막절제술의 치료성적 -완전 절제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

        김범진,김재준,김지향,양정채,이준행,심상,김영호,이풍렬,백승운,이종철,철근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5 Clinical Endoscopy Vol.31 No.1

        Background/Aims: The aim of the study is to evaluate the results of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for early gastric cancer (EGC)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with influence the complete resect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09 lesions from 108 patients with EGC treated by EMR at Samsung medical center from November 1994 to June 2003. We compared completely resected group with incompletely resected group with regards to size, location, histologic types before and after EMR, methods of procedure, and complication. Results: The mean size of lesions was 11.3 6.5 mm. Eighty two of them were located in the antrum and angle, twenty six in the body, and one in the cardia of stomach. Endoscopically elevated lesions (type I, IIa) were 52 cases and depressed lesions (type IIc) were 40 cases. Histologically curative resection was done in 74 of 109 cases (67.9%). All but one cases have been observed without recurrence for a mean period of 11.1 months. Histologically incomplete resection in 35 cases included 9 positive cancer cell in resection margin, 25 submucosal cancer infiltration, 2 reconstruction failure, 1 lymphatic involvement and 1 signet ring cell type cancer. Complications related to EMR included 9 cases of bleeding and 3 cases of perforation. In comparison of two groups, complete resec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umor was located in the antrum or angle than body or cardia of stomach (p=0.006). Conclusions: Our results show that EMR is one effective curative treatment modality in highly selected patient with EGC and location of lesion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success of complete resection. 목적: 조기위암에 대한 내시경 점막절제술의 치료성적과 완전 절제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내시경 점막절제술을 시행한 108명의 조기위암 환자들의 109병변에 대하여 병변의 크기, 위치, 육안적 모양, 시술전후 조직형과 시술방법 및 합병증 등에 관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연령의 평균값은 61.6세(39~84세), 남녀비는 2.85:1 (80/28)이었다. 결과: 병변의 평균크기는 11.3±6.5 mm였다. 위치는 전정부 73예, 위각부 9예, 위체부 26예, 분문부 1예였다. 육안적 모양은 융기형(I, IIa형)이 52예, 함몰형(IIc형)이 40예였다. 총 109예의 병변 중 74예(67.9%)가 완전 절제되었다. 완전 절제된 경우 평균 11.1개월동안 추적관찰하였으나 1예를 제외하고 재발은 없었다. 불완전 절제된 35예는 절제변연 양성이 9예, 점막하 침윤이 25예, 재구성 불가능으로 인한 판정불가가 2예, 림프절 전이가 1예, 인환세포암종이 1예이었다. 불완전 절제로 19예에서 수술하였고 9예에서 잔류암이 확인되었다. 불완전 절제되었으나 치료없이 평균 13.6개월간 경과관찰한 경우 16예 중 3예에서 재발하였다. 합병증으로는 9예의 출혈과 3예의 천공이 발생하였다. 출혈이 있었던 경우 7예는 내시경 치료법으로 치유되었고 천공된 3예 중 2예는 개복수술을 하지 않고 항생제와 금식 등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치유되었다. 완전 절제군과 불완전 절제군 간의 크기, 위치, 육안적 모양, 시술방법 등을 비교한 결과 병변의 위치가 위각부와 전정부인 경우 체부나 분문부에 위치한 경우보다 완전 절제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6). 결론: 적절한 적응증을 만족하는 조기위암에 대한 내시경 점막절제술은 효과적인 국소적 치료방법의 하나이며 내시경 점막절제술시 병변의 위치가 완전 절제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Effect of Circuit Training on Aging-related Hormones in Obese Middle-aged Women

        Won-Mok Son(손원목),Yi-Sub Kwak(곽이섭),Gun-Do Kim(김군도),Min-Sung Ha(하민성),Song-Young Park(송영),Gi-Dong Sung(성기동) 한국생명과학회 2017 생명과학회지 Vol.27 No.9

        노화 과정에 따라 중년 여성들은 폐경 이후 체력이 저하되기 시작하면서 체지방 증가와 제지방량의 감소로 비만으로 이어지기 쉽고, 이러한 현상은 체내 호르몬의 분비의 변화와 함께 발생된다. 본 연구는 서킷 트레이닝이 비만 중년 여성의 노화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대상자 체지방률 30% 이상인 비만 중년 여성 운동군 10명, 대조군 10명 총 20명을 실시하였다. 운동 시간은 준비운동 5분, 본 운동 20분, 정리운동 5분으로 총 30분 주 3회 실시하였으며, 운동 강도는 운동자각도를 이용하여 13~17(약간 힘들다-매우 힘들다)수준으로 실시하였고, 또한 POLAR 심박수 변화량을 측정하여 1~6주는 60~70%HRR (Heart rate reserve), 7~12주는 70~80%HRR로 설정하였다. IGF-1은 운동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GH는 운동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DHEA-S는 운동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 서킷 트레이닝이 비만 중년 여성의 노화 관련 호르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Due to aging, the physical fitness of middle-aged women decreases after menopause. This results in increased body fat and reduced lean body mass, both of which can lead to obesity. This phenomenon is accompanied by changes in hormone secretion in the bo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ircuit training on aging-related hormones in obese middle-aged women. The subjects were 20 obese middle-aged women.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circuit training group (n=10) and nonexercise control group (n=10). Growth hormone (GH),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estrogen, and DHEA-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circuit training program. The circuit training group performed circuit training for 12 weeks, three times per week. Exercise intensity was increased gradually from 60% to 80% of heart rate reserve every 6 weeks. In the circuit training group, at the end of the 12-week training program, the IGF-1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pre-exercise levels, and the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GH levels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ircuit training group,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HEA-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ircuit training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showed that circuit training improved aging-related hormones levels in obese middle-aged women.

      • KCI등재

        타타리메밀싹의 루틴 함량 향상을 위한 LED 광량 효과와 항산화 활성

        신지영(Jiyoung Shin),강민재(Min-jae Kang),김현정(Hyeon-jeong Kim),지인(Ji-In Park),양지영(Ji-young Yang),김군도(Gun-Do Kim) 한국생명과학회 2018 생명과학회지 Vol.28 No.8

        본 연구는 메밀의 발아 조건을 달리하여 메밀싹에서 생리활성 물질인 루틴의 함량을 높이고자 하였다. 가장 많이 재배되는 일반메밀과 타타리메밀을 이용하였고, 두 종자의 루틴 함량을 비교한 결과, 타타리메밀의 루틴 함량이 487 ppm으로 일반메밀과 비교하여 약 36배 높게 나타났다. 발아 후 싹으로 성장에 따른 루틴 함량을 분석한 결과, 일반메밀과 타타리메밀의 싹 모두 길이 생장에 따라서 루틴 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발아 및 싹의 성장 시에 빛을 조사한 일반메밀과 타타리메밀의 싹은 루틴 함량이 빛을 조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타타리메밀의 경우 10 cm 이상의 싹은 4,579 ppm(빛을 조사하지 않은 경우), 5,160 ppm(빛을 조사한 경우)로 나타났다. 메밀싹의 성장 시에 빛이 루틴의 합성에 영향을 끼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LED 빛의 세기를 2,000 Lux에서 22,000 Lux까지 점차 증가시키면서 타타리메밀싹을 제조하였고, 가장 높은 세기인 22,000 Lux에서 가장 높은 루틴 함량을 가졌다. 타타리메밀싹의 열수 추출물은 85.47 ppm,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에는 1,225.85 ppm의 루틴 함량을 나타내었다. 14,000 Lux까지는 급격하게 루틴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그 후에는 증가 폭이 줄어들어 메밀싹은 14,000 Lux에서 10 cm 이상 성장한 것이 최적의 루틴을 포함하는 메밀싹 제조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열처리(70~90℃의 온도 범위)를 한 추출물의 루틴 함량이 미처리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 결과 메밀에서 추출한 루틴은 열안정성을 가진다고 판단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nhance rutin contents by controlling germination condition for manufacturing buckwheat sprouts. Two kinds of buckwheat, a common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and a tartary buckwheat (Fagopyrum tataricum Gaertner) were used. By comparing the rutin content of two buckwheats, tartary buckwheat was 487 ppm, about 36 times higher than common buckwheat. Both common buckwheat and tartary buckwheat which germinated and grew under the light had higher rutin content relatively. In case of tartary buckwheat, rutin content of over 10 cm sprout was 4,579 ppm (without the light), and 5,160 ppm (with the light). Furthermore, tartary buckwheat was germinated and grew under different light strengths from 2,000 to 22,000 Lux. The rutin contents of tartary buckwheat sprout that was grown under the 22,000 Lux light was the highest. The rutin content was increased dramatically at 14,000 Lux of light. From 14,000 to 22,000 Lux, there was a little change on rutin content. Therefore, the condition of 14,000 Lux light was determined optimal for manufacturing tartary buckwheat sprouts. Also, rutin contents of extracts treated with 60, 70, 80 and 90℃ during different time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rutin of tartary buckwheat sprout extract had thermostability up to 90℃.

      • KCI등재

        중국 특수교육 제도적 실제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화문 ( Hwa Moon Park ),조수 ( Shu Jun Zha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 No.3

        중국 인구의 비율에 따라 장애 아동의 발생률은 다른 국가에 비해 증가하고 있기에 중국에 있어서 특수교육의 필요성은 점차적으로 그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어지고 있다. 특수교육의 발전은 사회의 안정에 기여하게 되고, 보다 단결된 13억 인구의 사회주의 중국이 인도주의로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따라서 중국 특수교육이 발전되어 온 역사적 과정에 따라 제도적 실제의 변천과정을 살펴본다는 것은 중국 특수교육의 역사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미래 중국 특수교육의 발전 방향과 해결과제를 알 수 있는 필수 요건이라고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Chinese histor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separated from the germinal students in edification period, and special education was involved under the general education, at that time there were 40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2,000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at period. Second, Chinese special education was influenced and built by communism educational institution in mature period. Specially both Mao ZeDong and Deng XiaoPing``s policy influenced the special education system very much. The most important thing were that a government gave a opportunity to students with disability to go to school at time. Third, Chinese special education was influenced by the reformation and opening a door of nation in developmental period, and lots of laws were systemed and enacted for individual with disabilities by Chinese government. Fourth, Since 1994 in China, 『8·5 plan』and 『9·5 plan』among them, were being treated the concrete policy, the rights of the disabilities, and inclusion, which were introduce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disabilities. Fifth, Recently, Chinese special education should cover so many things such as education, employment, welfare so on for over 60,000,000(sixty million) disabilities, considering many aspects in China and the best way to buil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 to solve chinese special education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