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수처리시설에서 배양 가능한 공기중 미생물의 분포 및 특성

        박교남,고지윤,정춘수,김종설,Park, Kyo-Nam,Koh, Ji-Yun,Jeong, Choon-Soo,Kim, Jong-Seol 한국미생물학회 2011 미생물학회지 Vol.47 No.1

        하수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공기중 미생물은 작업자 및 주민에게 건강상 위해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들 시설에서 공기중 세균과 진균의 농도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울산시에 위치한 위생처리장 1곳(YC-STP)과 하수처리장 3곳(YY-, OS-, HY-STP)의 포기조와 포기조 근처 지점에서 계절별로 공기중 미생물을 포집하였다. YC-STP의 공기중 세균 농도는 포기조에서 $1.3({\pm}0.2){\times}10^3-2.6({\pm}1.1){\times}10^4$ MPN/$m^3$, 포기조 근처에서 $1.7 ({\pm}1.0){\times}10^2-7.2({\pm}2.2){\times}10^3$ MPN/$m^3$로 매우 높았으며, 대장균군도 검출되었다. YY-, OS-, HY-STP의 공기중 세균 농도는 포기조에서 $1.9({\pm}1.2){\times}10^1-1.8({\pm}1.2){\times}10^4$ MPN/$m^3$, 포기조 근처에서 $5.0({\pm}2.8){\times}10^0-6.6({\pm}2.0){\times}10^3$ MPN/$m^3$의 범위였다. YC-, OS-, YY-STP에서의 공기중 세균 농도는 대조군 지점에 비해 평균값 기준으로 포기조에서는 16-1,200배, 포기조 근처에서는 9-280배 정도 더 높은 수치였으며, 포기조 근처(10 m)보다 포기조(0 m)에서 1.7-4.4배 정도 더 높았다. 공기중 세균을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하수처리시설에서는 Pseudomonas luteola, 대조군 지점에서는 Micrococcus sp.가 우점하였다. 공기중 진균의 농도는 포기조 보다 포기조 근처에서 더 높았으며 포기조 외에 다른 주요 발생원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Cladosporium, Alternaria, Penicillium의 3속이 주로 검출되었다. Bioaerosols generated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s may create health risks for plant workers and nearby residents. To determine the levels of culturable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bioaerosols, samples were seasonally collected above and near the aeration tanks of one feces-urine and three sewage treatment plants in Ulsan, Korea with an impaction-type sampler. In the feces-urine treatment plant, concentrations of heterotrophic bacteria were between $1.3({\pm}0.2){\times}10^3$ and $2.6({\pm}1.2){\times}10^4$ MPN/$m^3$ above the aeration tank and between $1.7({\pm}1.0){\times}10^2$ and $7.2({\pm}2.2){\times}10^3$ MPN/$m^3$ near the aeration tank. Coliform bacteria were detected both above and near the aeration tank. In cases of sewage treatment plant, the numbers of heterotrophic bacteria ranged from $1.9({\pm}1.2){\times}10^1$ to $1.8({\pm}1.2){\times}10^4$ MPN/$m^3$ above the aeration tank and from $5.0({\pm}2.8){\times}10^0$ to $6.6({\pm}2.0){\times}10^3$ MPN/$m^3$ near the aeration tank. At reference sites, the concentrations of heterotrophs in ambient air were measured between $7.0{\times}10^0$ and $2.7{\times}10^1$ MPN/$m^3$. When we isolated and tentatively identified heterotrophic bacteria, Pseudomonas luteola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bioaerosols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hereas the most abundant one in reference samples was Micrococcus sp. When we measured fungal concentrations in bioaerosols, they were rather similar regardless of sampling locations and seasons, and such genera as Cladosporium, Alternaria, and Penicillium were commonly identified.

      • KCI등재

        생강에서 뿌리혹선충과 뿌리썩이선충의 사멸을 위한 온탕침지처리 연구

        조동훈,박교남,김양호,고경봉,박영진,Cho, Donghun,Park, Kyonam,Kim, Yangho,Koh, Kyung-bong,Park, Youngji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6 No.2

        식물기생성 선충인 뿌리혹선충과 뿌리썩이선충은 국내에서 생강을 포함한 수입 구근류에서 주로 검출되는 검역대상 해충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충류가 검출된 수입 생강의 경우 적절한 소독처리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폐기 및 반송처리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강에 침입한 검역 대상 선충의 사멸을 위한 식물소독처리 기준 마련을 위해 뿌리혹선충과 뿌리썩이선충을 사멸할 수 있는 온탕침지법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뿌리혹선충과 뿌리썩이선충은 각각 $48^{\circ}C$와 $49^{\circ}C$에서 30초간의 온탕침지 처리로 사멸되었다. $52.5^{\circ}C$로 설정된 60 L의 항온수조에 침지된 생강의 열전도 조사에서 생강 중심부와 내부 5 mm 두께의 온도가 $50^{\circ}C$까지 도달하기까지는 각각 10~32분과 6~16분이 소요되었으며 $51^{\circ}C$에서 30분 동안 온탕침지한 생강은 정상적으로 생육하였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뿌리혹선충의 유충을 생강에 인공접종 한 후 $51^{\circ}C$에서 30분간 온탕침지 하였을 때 처리한 선충이 모두 사멸되었다. 따라서 이상의 온탕침지 처리 조건은 생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두 종의 선충을 사멸시킬 수 있는 식물소독법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Plant parasitic nematodes, Meloidogyne and Pratylenchus spp., are mostly detected in imported bulbs and tubers including a ginger, Zingiber officinale in Korea by quarantine inspection. However,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hot water immersion treatment (HWIT) for control of exotic nematodes, which induce economic loss by discard or send back to exporter, in imported gingers. In here, we determined that mortality of two plant parasitic nematodes and thermal stability of ginger. Meloidogyne and Pratylenchus spp. were completely killed at $48^{\circ}C$ and $49^{\circ}C$ for 30 sec by HWIT. Thermal conduction of Z. officinale to reach a target temperature as $50^{\circ}C$ take 10~32 min and 6~16 min for core and inner 5 mm region from surface, respectively. When ginger exposed at $51^{\circ}C$ for 30 min, growth of Z. officinale was not affected by heat treatment compared with control. Based on these results, HWIT at $51^{\circ}C$ for 30 min completely killed artificially infected juveniles of Meloidogyne spp. in Z. officinale. Therefore, this condition for HWIT will be used as fundamental information on phytosanitory to kill two plant parasitic nematodes without damage on ginger.

      • KCI등재

        황사 발생 기간 낙하먼지에 포함된 미생물의 분포 및 특성

        고지윤,장찬국,차민주,박교남,김민규,김종설,Koh, Ji-Yun,Jang, Chan-Gook,Cha, Min-Ju,Park, Kyo-Nam,Kim, Min-Kyu,Kim, Jong-Seol 한국미생물학회 2012 미생물학회지 Vol.48 No.2

        Asian dust storms originating in the arid desert of China and Mongolia usually occur from late winter through spring, and more than one million tons of dust per year is transported to the Korean Peninsula by the prevalent westerly winds. We supposed that these dust particles could include bioaerosols and act as carriers of microorganisms. In order to clarify the dynamics of microorganisms moving with these particles, the concentration and composition of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settled particles were compared between samples collected during Asian dust events and those under non-dust periods. From February to April 2008, settled dust particles were collected at one location in Ulsan using rainfall meter of 200 mm diameter. During this period, there was one Asian dust event in Ulsan. The bacterial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samples collected during Asian dust event than those under non-dust period, whereas fungal concentrations were rather similar regardless of the Asian dust event. We analyzed 16S rRNA gene sequences of 45 bacterial isolates obtained from the settled particle samples. These isolates belonged to either genus Bacillus or genus Streptococcus and were tentatively identified as B. amyloliquefaciens, B. aryabhattai, B. atrophaeus, B. licheniformis, B. megaterium, B. methylotrophicus, B. pumilus, B. sonorensis, B. subtlis, B. vallismortis, S. epidermidis, and S. succinus. In cases of fungal isolates, genera such as Mucor, Alternaria, Cladosporium, and Aspergillu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from samples collected at both Asian dust and non-Asian dust periods. It appears that endospore-forming bacteria such as Bacillus sp. rather than fungal spores are mo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Asian dust particles. 황사는 중국과 몽골의 사막지역과 중국 황하 중 상류의 황토지대에서 바람에 의해 대기 중에 부유한 미세먼지가 상층 바람을 타고 멀리까지 날아가는 기상 현상을 말한다. 황사 먼지는 bioaerosol을 포함하며 미생물의 운반체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황사 발생 기간과 황사가 없는 기간 동안 각각 포집한 낙하먼지에서 미생물의 농도와 종 조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2008년 2월부터 4월까지 울산 지역의 한 지점에서 직경 200 mm의 강수량계를 사용하여 낙하먼지를 포집하였으며, 조사 기간 동안 울산 지역에서 황사 현상은 3월 2일과 3일에 걸쳐 한번 발생하였다. 낙하먼지에 포함된 세균의 농도는, 황사 기간 동안 포집한 시료에서 황사가 없는 기간의 시료에 비해 크게 높았다. 하지만, 낙하먼지의 진균 농도는 비 황사 기간에 비해 황사 기간 동안 유의성 있게 증가하지 않았으며, 조사 기간 동안 세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낙하먼지 시료로부터 분리한 45개 세균의 16S rRNA 유전자 염기 서열을 분석하였으며, 이들 세균은 Bacillus 속의 B. amyloliquefaciens, B. aryabhattai, B. atrophaeus, B. licheniformis, B. megaterium, B. methylotrophicus, B. pumilus, B. sonorensis, B. subtlis, B. vallismortis와 Staphylococcus 속의 S. epidermidis, S. succinus로 확인되었다. 진균의 경우 Mucor 속, Alternaria 속, Cladosporium 속, Aspergillus 속 등을 황사 기간 및 비 황사 기간의 시료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었다. Bacillus 속과 같은 내생포자를 형성하는 세균이 진균(포자)에 비해 황사 먼지에의 부착 및 이동과 더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국내 감귤류에 발생한 Citrus vein enation virus 분포조사

        김봉섭,양희지,이수현,고승현,박교남,최은진,이성진 한국식물병리학회 2019 식물병연구 Vol.25 No.4

        Citrus vein enation virus (CVEV), which was regulated as a quarantine virus in Korea, was firstly found on Jeju Island in 2017. In February 2018, a surve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CVEV in the main commercial areas growing Citrus spp. and Poncirus trifoliata. The survey was performed at 203 groves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and Jeju Island. CVEV infection was determined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detection and sequencing. The coat protein (CP) gene sequences obtained from the CVEV-infected samples showed high similarities (more than 98%) to the previously reported CVEV CP sequences. In summary, CVEV was detected in 136 groves (67%), in which 85.4% of Citrus junos and 77.8% of Citrus unshiu were infected by CVEV. In Jeju Island, the infection rate of CVEV was relatively higher (90.6%). Our result revealed that CVEV has spread widely in Citrus and Poncirus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the Korean quarantine agency decide to exclude CVEV from quarantine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