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와 몽골어의 평서형어미 대조 연구

        바야르마 한국몽골학회 2023 몽골학 Vol.- No.75

        한국어에서 어미는 위치에 따라 선어말어미와 어말어미로 나뉘는데, 어말어미는 문장을 끝맺는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종결어미와 비종결어미로 나눌 수 있다. 비종결어미에는 내포의 기능을 지닌 연결어미가 있다. 한편 몽골어의 종결어미에는 시제 종결어미, 인칭 종결어미가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와 몽골어의 평서형어미 체계의 특징을 살펴봤다. 평서형어미는 초급 단계에서부터 학습하는 사용 빈도수가 높은 어미 중 하나이다. 따라서 한국어와 몽골어의 평서형어미 구성을 대조하고 그 안에 있는 세부적인 특징에 대해서도 검토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 두 언어의 평서형어미의 유사점으로는 기능의 유사점, 형태 및 활용의 유사점, 문체의 유사점을 각각 살펴봤다. 그리고 두 언어의 평서형어미의 차이점으로는 형태의 차이점, 규칙 및 불규칙 활용의 차이점, 문체의 차이점을 살펴봤다. In the Korean language, the ending is divided into a “prefinal ending” and a “final ending” according to the location. The final ending can be divided into a termination ending and a non termination ending depending on whether the sentence ends or not. The non-terminating ending has a connection ending with a function of inclusion. On the other hand, Mongolian terminative endings include tense terminative endings and number of personal names declarative endings. In this paper, we wer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clarative ending system of Korean and Mongolian. Declarative endings are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endings to learn from the beginner level.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contrast the composition of the declarative ending of Korean and Mongolian languages and review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within them. As a result,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languages’ declarative endings, similarities in function, similarities in form and use, and similarities in literary style and colloquial style are examined, In add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clarative ending of the two languages, the differences in form, the differences in the use of rules and irregularities, and the differences in literary style and colloquial style were examined.

      • KCI등재

        한국어와 몽골어의 종결어미 대조 연구

        바야르마 한국몽골학회 2023 몽골학 Vol.- No.74

        본고에서는 한국어와 몽골어의 종결어미 체계를 대조하여 개별 종결어미의 의미와 기능에 따른 대응 양상을 살펴본다. 두 언어의 종결어미 체계를 대조하여 체계의 특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어와 몽골어의 어미 체계의 경우, 한국어에서는 종결어미의 분류 기준은 문체법과 상대높임법 체계 두 가지이다. 한국어의 종결어미는 문장을 종결하므로 문체법이 기준이 되고, 종결어미가 상대를 대하므로 높임법이 하나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 반면에 몽골어에서는 종결어미를 시제와 인칭의 수에 따라 분류한다. 다음으로 한국어의 종결어미 분류 체계 중심으로 몽골어의 종결어미와 대조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몽골어의 명령형어미가 한국어의 상대높임의 체계별 어미 형태와 제일 일치하게 대응되는데 그외 청유형, 약속형, 허락형과 경계형의 경우 각각 상대높임법 체계가 따로 나타나지 않고 한 형태와 대응된다. 또한 몽골어의 ‘-ya/ye/yo’형태가 화자의 의지를 나타낼 때 한국어의 약속형어미와 대응되고, 청자에게 공동 참여를 제안할 때 한국어의 청유형어미와 각각 대응되는 것을 봤을 때 한 형태소가 두 가지의 의미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평서형어미, 감탄형어미와 의문형어미의 경우 동사와 형용사에 따라서 각각 대응되는 형태들이 다르다. 그렇지만 한국어의 한 형태에 대응되는 몽골어의 어미가 평서형의 경우 4개, 의문형의 경우 2개이다. 한국어의 종결어미는 상대높임법 체계에 따라서 형태들이 달라지고 모음조화규칙에 따른 이형태들이 있고 활용할 때에도 앞의 용언 어간이 모음이냐 자음이냐에 따른 이형태가 있어서 불규칙 활용도 유의해야 한다. 반면에 몽골어에서는 모음조화교칙에 따른 이형태가 있는데 불규칙 활용에 따른 이형태가 없다. 또한 한국어에 대응되지 않는 몽골어의 종결어미도 있다. 즉 몽골어의 축복 기원 ‘-tygai/tugei, 희망 -aasai4, -sygai/sugei, -g’ 어미는 한국어에서 대응되는 종결어미가 없다. 그렇지만 각각 기능과 의미 면에서 대응시킬 수 있는 문법 표현들이 있는데, 본고에서는 몽골어의 축복 기원 ‘-tygai/tugei’를 한국어의 ‘-기를 바란다’ 문법 표현과 대응시키고, 몽골어의 희망 ‘-aasai4’ 형태를 한국어의 ‘-었/았/였으면 한다’ 문법 표현, ‘-sygai/sugei’를 ‘-ㅁ’ 전성어미로, ‘-g’ 어미를 ‘-도 좋다, -도록 하다’ 문법 표현에 대응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종결어미의 체계 분류 및 기능적 대조 연구를 통해서 그간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에 대해 밝힌다는 언어학적 의의도 있으며 이와 더불어 한국어-몽골어 번역이나 외국어교육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sponse patterns according to the meaning and function of individual termination endings by comparing the termination endings system of Korean and Mongolia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are summarized as follows by comparing the termination ending system of the two languages. First of all, in the case of the Korean and Mongolian ending systems, there are two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terminating endings in Korean: the sentence style and the Korean relative honorifics system. The ending of the Korean language ends the sentence, so the sentence style is the standard. In addition, Korean relative honorifics system becomes an important criterion because the ending end treats the opponent. On the other hand, in Mongolian, the ending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ense and number of personal names. Nex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examined in contrast to the end of Mongolian, focusing on the end of Korean. As a result, the imperative ending of Mongolian was most consistent with the ending form of each Korean relative honorifics system.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equest ending, the promised ending, the permitted ending, and the boundary ending, respectively, it was Korean relative honorifics system did not appear separately and correspond to one form. In addition, when the Mongolian form of '-ya/ye/yo' indicates the speaker's will, it corresponds to the promised ending of the Korean language. When suggesting joint participation to listeners, it corresponds to the request ending of the Korean language, respectively. Looking at this, it can be seen that one morpheme represents two meanings. In the case of declarative, exclamatory, and interrogative endings, the corresponding form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verb and adjective. However, there are four Mongolian declarative endings corresponding to one form of Korean, and two for the interrogative endings. The final ending of the Korean language varies according to the Korean relative honorifics system, and there are these forms according to the vowel harmony rule. In addition, when conjugation it, there is a form depending on whether the previous word stem is a vowel or a consonant, so irregular use should be noted. On the other hand, in Mongolian, there is a form according to the rules of vowel harmony, but there is no form according to irregular use. There is also an end to Mongolian that does not correspond to Korean. In other words, the Mongolian blessing origin '-tygai/tugei, hope -aasai4, -sygai/sugei, -g' does not have a termination ending corresponding to the Korean language. However, there are grammatical expressions that can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erms of function and meaning. In this paper, the Mongolian blessing origin ‘-tygai/tugei is corresponding to the Korean ‘-기를 바란다’ grammatical form, and the Mongolian hope ‘-aasai4’ is expressed in the Korean grammar form ‘-었/았/였으면 한다’, ‘-sygai/sugei’ as a "-m" genitive ending, and the "-g" ending is corresponding to the Korean ‘-도 좋다, -도록 하다’ grammatical forms. There will also be linguistic significance in revealing parts that have not been made through system classification and functional contrast studies of these termination end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a basic material that can be used in Korean-Mongolian translation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몽골 농업통계의 소개 및 발전을 위한 시사점 탐구: 한국의 농업통계 발전 경험을 참고하여

        바야르마,박진우 통계청 2015 통계연구 Vol.20 No.3

        As basic information for present or past state of a nation, national statistics play important roles to present national vision, to make public policies. Furthermore, they serve essential information for private sectors to make effective strategies, or to make critical decisions. Since agriculture is an important industry in Mongolia, which accounts for 21.3% of the GDP and 35% of the workforce. Democracy and the market economy system have been adopted since 1990 in Mongolia. As a result, Mongolia adopted a centralized statistical system in whice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Morngolia (MNSO) as the core. MNSO have been trying to comply with international statistical conventions and principles. Now most of the Mongolian agricultural statistics are made through censuses by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1960 South Korea was also similar circumstances. However, South Korea gradually switched to sampling surveys to increase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various national aricultural statistic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agricultural statistics and statistical systems of Korea and Mongolia, and to suggest some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Mongolia agricultural statistics. 통계는 국가의 현 재 상황과 발전과정을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기 본 정보로서 국가비전의 제 시 , 정책의 수립에 있어서 필수적인 지표일 뿐 아니라 동시에 기 업 및 개인의 전략수립과 의사결정을 위한 기초 정보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몽골에서 농업은 GDP의 21.3%, 전체 노동력의35% 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농업통계의 중요성 또 한 지대하다. 몽골 은 1990년부터 다양한 형태의 재 산 소유권을 허용하는 민주주의 및 시장경제 체제로 전환하였 고 이 에 따 라 통계제도도 몽 골 통계청을 중심으로 하 는 집중형을 채택하였으며, 통계자료 수집 방법에 있어서도 국제적인 관례와 원칙을 도입하려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 다 . 현 재 몽골의 농업통계는 대부분 행정조직을 활용한 센서스에 의 해 작성되고 있 다 . 1960년 대 한국의 농업통계는 몽골과 비슷하게 주로 행정조직을 활용한 센서스를 통해 작성된 바 있었으나 점진적으로표본조사로 전환함으로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 인 경험이 있 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몽골과 한국의농업통계와 통계작성을 위 한 제도를 비교하고, 몽 골 농업통계 발전을 위 한 대책을 제시하는데있 다 .

      • 뷰티 산업의 에코 트렌드 분석

        바야르마,안은재 한국뷰티경영학회 2021 한국뷰티경영학회지 Vol.9 No.1

        This study completed the literature survey such as the articles, reports and etc. in order to analyzed the eco trends of the domestic beauty industry and the following researches are finished in order to the find the awareness of the consumers on the environment friendly beauty and their characters. First, the definition, backgrounds and development of beauty industry are analyz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co phenomenon appeared at beauty industry Second, the eco state of beauty is analyzed and eco characters of each business item are derived. Ecology trends of make-up and nail industry became popular and people prefer the designs emphasizing the healthy make-up expression and natural characters. The various environment friendly products such as make-up and nail products are developed, whereas the beauty service consumers are protected using the products without harmful ingredients under the comfortable environment. The survey results of consumer's in depth interview showed they prefer the environment friendly products and services with the recognition of the harmful effects to the human body. These trends reflect the new life style of naturalism, eco, lohas, well being, healing and etc. among the consumers using the beauty services and the awareness of the environmental friendliness also increased, so finally they prefer the beauty service combined with the pursue of emotional consumption.

      • All-Pass Network를 이용한 Tunable 위상천이기 설계

        바야르마(Bayarmaa. O),김빛나(Bit-na Kim),강성운(Sung-Woon Kang),주양로(Yang-Ro Kim),김갑기(Kab-Ki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1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2 No.5

        본 논문에서는 LTE (@1.8GHz, @2.1GHz, @2.3GHz) 대역에서 만족하는 All-pass Network Tunable 위상 천이기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위상천이기 인덕터의 사이즈는 200um×40um, 재료는 알루미늄, 금속은 구리 (5.8e7), 공간은 4, 두께는 1um, via는 8x8um, 인덕턴스는 ~5nH, 최대 Q factor는 13.6, 위상천위기 turn number는 6으로 구성하였다. ADS (Advanced Design System) 2009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0~10GHz 대역에서 케패시터 값은 10%~50%까지 변화하였고, 반사손실은 -35dB 이하, 삽입 손실은 -2dB이며 위상차는 0~160도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In this paper, a Tunable phase-shifter uses All-pass network LTE (@ 1.8GHz, @ 2.1GHz, @ 2.3GHz) was created by using ADS (Advanced Design System) 2009 program. The inductor ‘s substrate is Alumina, metal is copper and weight 40 um, length of 200 um, spacing between metal is 4 um, thickness the 1 um, Via size is 8*8um, inductance is about 5 nH, maximum Q factor is 13.6 and turn number is 6. By using All-pass network with tunable phase shifter changes capacitor value from 10% to 50% and the result of experiment between frequency of 0-10GHz is shown that S-parameter value is less than -35dB, insertion loss is -2dB and phase difference is 0~160 degree.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 시대 기술변화의 영향으로 인한 고용정책변화 : 몽골의 주력산업분야 사례

        바야르마(BAYARMAA Tserendorj),이찬구(YI, Chan-Goo) 한국정책개발학회 2021 정책개발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몽골 주력산업분야의 고용시장 및 고용정책 분석을 통해 제4차 산업혁명 시대 기술변화로 인한 고용변화와 관련된 문제점을 도출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연구의 대상은 몽골의 중장기국가 개발정책과 각 산업분야 개별 정책에서의 고용정책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제4 차 산업혁명 시대 기술변화의 영향으로 인한 고용변화로 일자리 수의 변화, 고용형태 변화를 설정하고 분석에 활용했다. 연구결과, 통합적인 중장기 국가개발 정책에서 미래 고용변화에 대응하고자 하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으나, 주력산업분야에서는 정책변동이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이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몽골 주력산업분야 고용정책 방향으로 산업구조의 전환, 고용전망시스템 구축 및 고용노동연구의 개발, 일자리창출, 인력수급균형 유지, 직업전환교육 및 평생교육제도 강화, 고용통계조사재설계, 사회보험을 포함한 사회 안전망 체계 강화 등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2차 자료만 이용한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이런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정책결정자 및 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고용시장에 대한 실증연구를 후속연구로 진행하고자 한다. Through the analysis of employment markets and employment policies in Mongolia s main industries, this study sought to derive problems related to employment changes caused by technological chang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present policy directi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employment market conditions in major industries, mid- to long-term national development policies, and employment policies in individual policies in each industry.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the literature analysis method, and through prior research, changes in the number of jobs and employment patterns were established and used for analysis due to changes in employment due to technology chang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ttempts are made to respond to future employment changes in the integrated mid- to long-term national development policy, while policy changes should be made in the major industri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government proposed the transition of industrial structures, establishment of employment outlook systems, development of employment and labor research, job transition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systems, redesigning employment statistics. This study has limitations using only secondary data. Therefore, to compensate for these limitations, we would like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policymakers and officials and conduct empirical research on the job market as a follow-up study.

      • KCI등재

        몽골의 가축통계조사를 위한 표본설계 연구

        바야르마 ( Badrahbayr Bayrmaa ),김진경 ( Jeankyung Kim ),박진우 ( Jin Woo Park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6 조사연구 Vol.17 No.2

        몽골은 1990년부터 다양한 형태의 재산 소유권을 허용하는 민주주의 및 시장경제 체제로 전환하였다. 이에 따라 몽골은 통계청을 중심으로 하는 집중형 통계제도를 골격으로 하는 통계작성 체계를 세워가고 있다. 몽골의 가축센서스는 매년 주기로 작성되는데 비용이나 통계품질 측면에서 이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몽골의 가축센서스를 표본조사로 대치하기 위한 합리적인 표본설계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몽골 통계청에서도 매년 가축센서스에 드는 비용의 부담과 조사의 정확성에 대한 의구심으로 인해 표본조사로 전환하는 것을 심도 있게 고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몽골의 투브(Tuv) 아이막(Aimag)을 모집단으로 한 표본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As the Mongolia government adopted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that allows private ownerships of various assets since 1990, they started to build central statistical system initiated by the Mongolia bureau of statistics. The livestock census has been conducted annually but showed some problems in terms of cost and quality. So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provide a reasonable sampling design to replace the annual livestock census of Mongolia because the Mongolia bureau of statistics has been considering seriously the option of sampling survey due to growing concern of cost and accuracy of the census. In this vein our study propose a sampling design method based on the population of the Tuv Aimag region of Mongolia.

      • KCI등재

        Case study of Google Classroom in Mongolian University

        Bayarmaa Natsagdorj(바야르마 ),Kuensoo Lee(이근수)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

        논문은 몽골대학에서 구글크레스룸(GC)을 온라인 환경으로 이용하고 각 교수님들이 자기 수업에서 GC을 적용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몽골대학에서 GC의 효율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몽골 D 대학교 14 명의 교수님들이 4주 동안 GC을 활용한 강의 모델을 설계하고 수업을 진행했다. GC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기 때문에 직접 대면 학습 보다 효율적인 새로운 학습 기회를 제공했다. GC의 효율성을 살펴보기 위해 수업에 참여한 교수님들로부터 설문 조사를 받은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협동성 100%(7 명 매우 좋음, 7 명 좋음), 능력별 학습100%(10 명 매우 좋음, 4명 좋음), 수업용이성 100% (11명 매우 좋음, 3 명 좋음), 적합성 100%(8명 매우 좋음, 6명 좋음), 피드백 용이성100% (7명 매우 좋음, 7명 좋음), 연결 용이성 100%(7명 매우 좋음, 7명 좋음), 빠른 속도성 100%(7명 매우 좋음, 7명 좋음), 학습 효율성 100% (9명 매우 좋음, 5명 좋음), 종이 없는 학습성 100%(8명 매우 좋음, 6명 좋음). 이 수업에 참여한 교수님들은 이와 같은 GC이용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기에 몽골대학에서 GC의 적용은 적합하고 효율적인 학습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 하였다. GC 활용은 전통적인 학습을 깨고, 특히 몽골 교수와 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길을 열어줌으로써 교육 기관의 온라인 학습을 강화하고 개선하는 데 더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Google Classroom (GC) and to examine the satisfaction of professors using GC as an online environment at a Mongolian University. Fourteen professors designed the lecture model and provided lessons using GC at D University for four weeks. GC provides new learning opportunities that are more efficient than face-to-face learning, because i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with the professor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GC show that the system provides: cooperation: 100% (strongly agree=7, Agree=7), personal learning opportunity: 100% (strongly agree=10, Agree=4), ease in learning: 100% (strongly agree=11, Agree=3), suitability: 100% (strongly agree=8, Agree=6), feedback opportunities: 100% (strongly agree=7, Agree=7), connection: 100% (strongly agree=7, Agree=7), accessibility: 100% (strongly agree=7, Agree=7), learning effectiveness: 100% (strongly agree=9, Agree=5), paperless experience: 100% (strongly agree=8, Agree=6). The professors who attended the class reacted positively to the use of GC, proving that the application of GC at this Mongolian University was appropriate and efficient. The use of GC is expected to help educational institutions strengthen and improve online learning, especially by breaking from traditional learning, and opening new paths for professors and students in Mongolia.

      • KCI등재

        Study of the Application of Economics Class Using PBL Mongolian University

        Natsagdorj Bayarmaa(바야르마),Keunsoo Lee(이근수)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1

        본 논문은 몽골 대학에 학생들이 21 세기 요구하는 여러 가지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PBL을 경제학 교과목에 적용하였다. 몽골 대학에서 처음으로 PBL 활용을 위하여 PBL 문제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고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제학 교과목을 수강한 D 대학 1 학년 학생 60명이였으며, PBL수업은 16주에 5개 PBL문제를 적용하였다. 학생들은 수업을 끝날 때마다 성찰일지 작성하여 제출하였으며 마지막 PBL 문제 활동이 끝난 후에 PBL 수업에 대한 강의 평가지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습내용의 대한 이해, 협동학습의 대한 이해, 실제적 경험, 창의 문제해결력, 프리젠테이션 스킬,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자신감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PBL학습 활동 과정에서 학습 환경 아직 잘 준비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어려움이 도출되기도 하였다. 몽골 학생들은 21 세기에 요구하는 미래의 리더로서의 전문성을 기를 수 있는 새롭고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능동적인 학습 방향을 갖춘 전문인재를 육성하고자 하는 몽골 대학 교육의 궁극적인 교육 목표 달성에 큰 시사점을 준다. This paper applied to the economics subject using PBL(Problem-Based Learning) for improving students many skills in Mongolian University that 21st century demands. For the first time at Mongolian University, the PBL problem was developed for the use of PBL and applied to the class and confirmed its effectiveness. The study subjects were 60 freshman students in D university who took "Economics". We applied 5 problems for 16 weeks. Students wrote and submitted a reflective journal when they finished the every activity. In addition, they completed a class evaluation form after the PBL program ended. The study showed that they experienced various effects such as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s, understanding of cooperative learning, practical experie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presentation skill, communication ability,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 - confidence. In the PBL learning activities, the learning environment was not well prepared yet, so some difficulties were encountered. Mongolian students perceived it as a new and effective way to develop their expertise as a future leader in the 21st century. The main goal of Mongolian university is to produce leaders with professional talent wi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ctive learning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