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민윤경,허주 한국교육개발원 2023 한국교육 Vol.50 No.2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와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의 교원양성 교육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여 교원양성기관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시사점을 찾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교육대학교(7개교)와 사범대학(8개교)에 재학 중인 학생 각각 14명과 16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고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념도 분석결과 교육대학교의 경우에는 체계성・다양성-실용성의 축과 교수・학습 방식 및 프로그램-대학 교육과정의 축으로, 사범대학의 경우에는 다양성・실용성-목적성・체계성의 축과 대학 수업 및 특강-교사 양성 지원 전반의 축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진술문이 구조화되었다. 특히, 교육대학교 학생들은 교육실습의 체계성 부족, 수업내용의 부적절, 임용 관련 정보 및 프로그램 부족 등을, 사범대학 학생들은 교수의 피드백 부족, 교육실습 경험의 편차, 교육과정의 부정합 등을 교원양성 교육에 대한 경험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교원양성 교육에서 목적성은 물론 내용과 방법의 측면에서 체계성, 다양성, 그리고 무엇보다도 실용성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xperience of prospective teachers at prim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cher education.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he primary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concept mapping. Interviews were conducted 14 prospective primary school teachers and 16 prospective secondary school teachers, followed by concept mapping analysis. Findings/Results: First, prospective primary school teachers conceptualized their experience as encompassing teaching, learning, and programs’ system diversity. Notably, a high demand for project-based learning was identified. Secondly, prospective secondary school teachers conceptualized their experiences as relating learning support and system diversity. Additionally, they expressed needs for practical content knowledge, diverse teaching methods, and more opportunities for teaching practice.. Value: The results reveal that student teachers attending teacher training institutes experience a lack of alignment between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methods in their education. This implies that there should be more discussion about making teacher education more systematic, diverse, and practical.
민윤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k what they believed to be necessary expertise to improve minimum academic competencies, and how they could strengthen such expertise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Methods Survey respondents included 2,002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1,311 middle school teachers, resulting in a total of 3,313 participants. In order to analyze the survey data, the ratio of responses to the survey questions was basically presented, and when asked about the importance and the degree of execution in some questions related to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ctual practice compared to the importance, and if there is a difference, the difference A t-test was performed to see if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examine differences in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eacher experience. Results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many schools currently provide remedial education to underachieving students through after-school programs; teachers believed that this form of guidance was most effective. Guidance for underachieving students was mostly provided by respective students’ homeroom teacher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and subject teachers at the middle school level.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responded that underachieving students were still being taught through in-person guidance, even after Covid-19. Participants also felt that teacher expertise was required in terms of sense of duty, eliciting student motivation, creating rapport, diagnosing causes of underachievement, creating an appropriate pedagogical strategy, and providing relevant learning materials. Yet, levels of implementation for these asp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eir levels of importanc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differs depending on the number of years of service as a teacher. It can be confirmed that related teacher education is important for guiding students who do not have basic academic ability, and teacher training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method.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eachers felt continuous, systematic training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strengthen teachers’ proficiency to improve minimum academic competencies in the future. 목적 본 연구는 기초학력 지도 현황을 파악하고 기초학력 향상을 위해 요구되는 교원 전문성과 이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초등학교 교사 2,002명, 중학교 교사 1,311명등 총 3,313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조사 자료 분석을 위해 기본적으로 조사 문항에 대한 응답 비율을 제시하였으며, 교원 전문성과관련된 일부 문항에서 중요도와 실행도를 물은 경우에는 중요성에 비해 실제 행하고 있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차이가 있다면 그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교사 경력에 따른 전문성의 차이 등을 살펴보기 위해서는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자료 분석 결과, 현재 기초학력 지도는 방과후 지도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초등학교에서는 담임 교사, 중학교에서는 교과 교사가 기초학력 미달 학생 지도를 주로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에도 대면지도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기초학력 미달 학생 지도를 위해서는 교사의 사명감, 동기 유발, 래포 형성, 학습 상황및 원인 진담, 면담을 통한 지도 계획 수립, 교수 목표 설정, 교수학습지도 전략 수립, 개별적 학습 자료 제공 등이 요구되나, 그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교사 재직 연수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기초학력 미달 학생 지도를 위해 관련 교사 교육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방법으로는 연수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기초학력 지도를 위한 교원 전문성 강화를 위해 주기적이고 체계적인 교사 연수가 마련되어야 함을보여준다.
인지적 과업 분석(Cognitive Task Analysis)이 교원 교육에 미치는 함의
민윤경,박소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24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4 No.11
인지심리학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인지적 과업 분석(Cognitive Task Analysis)은 전문가들이 실제 과제를 수행할 때 복잡한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고 판단을 내리는지에 대한 체계적 인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인지적 과업 분석이 무엇이며 어떤 분야에서 어떤 목적으로 활 용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이어 CTA의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해 정리하고 CTA가 교원 교육에 갖는 함 의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언급한 CTA가 교원 교육에 갖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CTA를 배운 학습자들은 전문가에게 지식과 기술을 더 잘 배워 전문성을 갖출 수 있다. 둘 째, CTA를 배운 학습자들은 학생들이 학습할 때 수행하는 인지적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맞춤형 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CTA 학습자들은 self-CTA를 함으로써 자신의 인지적 과정을 분석하여 전문성을 보다 잘 전달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원 교육에 CTA 교육과정을 도입할 것을 주장하며, 이는 전문성이 필요하다는 주장만 있고 전문성을 어떻게 기를 것인가에 대한 방안은 부족한 교원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학교장의 다면적 리더십(Multiple Leadership) 연구
민윤경,정혜주,이정민,신정철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7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new types of principals' leadership('multiple leadership') and to reveal the complex aspects of leadership in the school. Existing traditional leadership research, including contingency theory, presumes that there is one leadership suitable for a specific situation. However, we found from our interview with 42 school principals that new environmental changes surrounding the principal expect the principal to play a different role from the traditional role. In this way, in various situations in the school scene, the principal does not apply one style of leadership but multiple leadership. The concept of 'multiple leadership' propos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 new turning point in leadership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장 리더십의 새로운 유형을 제안하고 학교장 리더십이 발휘되는 복합적 양상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다면적 리더십(multiple leadership)’이라는 개념을 제안하였다. 상황조건적합이론을 위시한 기존의 전통적 리더십 연구는 특정 상황에 적합한 하나의 리더십이 있다고 전제한다. 그러나, 학교장을 둘러싼 새로운 환경 변화는 교장에게 전통적인 역할과는 다른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이처럼 학교 현장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상황 속에서 교장은 하나의 리더십이 아니라 다양한 리더십을 취하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학교장 리더십 유형과 ‘다면적 리더십(multiple leadership)’ 개념은 학교장 리더십 연구에 있어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사회적경제가 공급하는 공동체주택의 통합돌봄 : 오스트롬의 제도분석틀(IAD : Institutional Analysis and Development Framework)을 활용하여
민윤경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4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 No.53
본 연구는 서울시 공동체주택을 대상으로 사회적경제가 공급하는 공동체주택에서 나타나는 통합돌봄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엘리너 오스트롬(1990)의 제도분석틀(IAD: Institutional Analysis and Development Framework)을 적용하였으며, 공동체주택의 정주성과 돌봄이 형성되고 작동하는 방식을 질 적으로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공동체주택은 입주자 간 상호작용을 통해 비공식적 돌봄 체계를 형성하며,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연대를 제공하는 모델로 기능하고 있었다. 특히, 입주자 간 협력과 공유 문화는 아이 돌봄, 긴급 상황 지원, 노인 돌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이는 공동체 내 안전망 형성에 기여하였 다. 공급자인 사회적경제 기업은 돌봄 문화를 확산시키고 있었으며, 서울시의 지원 프로그램은 입주자의 프라이버시와 공동체 생활의 조화를 돕고 있었다. 주택별 협동조합 설립 의무화는 생활 돌봄 체계를 활성 화하고, 공식적·비공식적 규율과 생활 문화의 공유를 촉진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돌봄 체계로서 공동체주택의 가능성과 정책적·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patterns of integrated care in community housing provided by the social economy in Seoul. Utilizing Elinor Ostrom's Institutional Analysis and Development Framework (IAD), it qualitatively investigates how care systems are created and operate within an institutional context. The findings indicate that community housing promotes informal care systems through resident interactions, serving as a model that fosters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cohesion. Notably, residents’ cooperation and a culture of sharing manifest in various forms, including childcare, emergency support, and elderly care, which contribute to a safety net within the community.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ctively encourage this culture of care, while Seoul's support programs help balance privacy with communal living. The requirement for each residence to establish a housing cooperative has strengthened the living care system,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both formal and informal rules, as well as the sharing of cultural practices among tenants.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community housing care systems to extend beyond resident interactions into broader community contexts, providing important policy and practical insights.
발달장애인 고용 사회적기업의 가치 사슬과 인간중심주의(Humanocracy)
민윤경,용혜영,김선희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24 사회적기업연구 Vol.17 No.2
This study focuses on Hamel and Zanini’s(2020) humanocracy managementphilosophy as a response to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bureaucratic organizationswithin the context of the value chain of social enterprises for disabled employment. Humanocracy advocates for human-centered ethical management principles,including Ownership, Markets, Meritocracy, Community, Openness, Experimentation,and Paradox. Based on this framework,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involving three representatives from social enterprises dedicated to employingpeople with disabilities.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he manifestation of humanocracy in socialenterprises employing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intricatelyintertwined with the supporting activities elements of the company’s valuechain. It was found that familialism is organically integrated with a performance-oriented approach for the larger community rather than a closed community. These human-centered supporting activities promote private and public networks,facilitating cooperation in the company’s primary activities(from procurement tomarketing) by fostering mutual investment among employees with developmentaldisabilities, the local community, social missions, and similar enterprises. The study highlights various management contexts where human-centerednessfor vulnerable populations contributes to the value chain, while also suggestingapproaches for internalizing humanocracy principles.
노인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가 인지하는 수퍼비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민윤경,권현정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19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수퍼비전의 영향력을 실증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인적자원이론에 따라 인력의 성장과 발달을 지지하는 체계로 수퍼비전을 주요한 요인으로 보고,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제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방법은 시설의 운영주체와 지역을 중심으로 할당 표집한 다음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방법은 OLS 회귀분석이다. 분석 결과, 수퍼비전 도움정도가 높을수록, 수퍼바이저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반면에 수퍼비전 회의의 정례화여부는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장기요양셋팅에서 함께 일하는 다직종 전문직 수퍼바이저와의 관계와 도움정도가 수퍼바이지인 요양보호사의 직무에 대한 성장과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해석하였다.
민윤경,Min, Yoon-Kyung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03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34 No.2
The change of corporate business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worldwide competitiveness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reaten the survival of corporate libraries. Corporate libraries have to redesign their services and prove the significance of existence within their company. This paper examines the competitive corporate environment of corporate libraries, and the effective management strategy of corporate libraries. Also management strategies of two corporate libraries are analy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