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중 극장판 애니메이션의 제작 전략 사례 연구

        문지애,김탁훈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7

        Korea's animation industry is a small domestic market, so the period of earning profits is very short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profit model in the long run. The Korean animation industry must go abroad. On the other side, China has the fastest growing and attractive flim market. This study divided the cooperation strategies of Korean-Chinese animation into three and proposed an efficient way for Korean theater-version animation to enter China.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pros and cons of each strategy and compared co-producing cases with box office results to suggest strategies for activating Korean theater-version animation into China. Based on the date of release, Korean animations from 2013 to 2019 have entered the Chinese market in three categories. First, it is a strategy of jointly investing and producing in cooperation of Korea and China. This is a strategy to produce animation for Korea and China theater-version using Korean IP. Second, China's localization strategy. This is a strategy for Chinese companies to purchase a copyright of Korean IP and get a certificate of Chinese copyright in order to release it as a Chinese theater animation. After the release, a portion of the box office revenue is distributed to the original IP-owned Korean companies. This strategy is suitable for Korean companies where want to actively enter the Chinese animation film market. Third, a strategy that Korean production company produces animation as an outsourcing company of Chinese company in order to enter Chinese market. These strategies allow Korean companies to be outsourcers to Chinese companies. In this case, the contract method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how Korean companies cooperate with Chinese companies for pre-production. Furthermore, we can expect continuous share profits in the Chinese market and entering the global market. In this article, we proposed a method of collaborating with animation in various ways through three strategies and examples of Korean-Chinese theater animation. The co-production cases are as follows. the 2013 Pororo Theatrical Edition: Super Sled Adventure, the 2017 Super Sticking out: A big strategy of Spy and the 2017 My Red Whale. 한국의 애니메이션 산업은 내수 시장이 작아 수익 모델을 장기적으로 유지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은 해외 진출을 해야만 하는 필연성을 가지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영화시장은 매력적인 시장이다. 본 연구는 한국 극장판 애니메이션의 효율적인 중국진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기존 한∙중 극장판 애니메이션의 제작 전략들을 세 가지로 나누어보았다. 그리고 전략별 장∙단점을 파악 후, 2013년~2019년 사이에 개봉한 한·중 극장판 애니메이션 사례의 흥행성적 비교 연구를 통해, 국산 극장판 애니메이션의 중국진출 활성화를 위한 전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개봉 일자 기준, 2013년도에서 2019년도 사이의 국산 극장판 애니메이션이 중국 시장으로 진출한 전략을 세 가지로 분류하였고 이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한·중 공동으로 투자하고 제작하는 전략이다. 이는 한국의 IP를 활용하여서 한∙중 양국의 기업이 극장판 애니메이션을 공동으로 제작하는 전략이다. 이 제작 전략 모델은 한·중 양국기업이 공동 투자, 공동 제작, 동시 개봉을 하여, 수익 분배하는 모델로 가장 이상적인 제작 전략 모델이다. 두 번째, 중국 현지화 전략이다. 이는 중국 기업이 한국 IP에 대한 판권 구매 후, 중국산 판정을 받아 중국산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 개봉하는 전략이다. 개봉 이후, 흥행 수익의 일정 부분은 원 IP를 소유한 한국 기업에 수익 분배된다. 이 전략 모델은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 기업에게 적합한 방안이 될 수 있다. 세 번째, 한국 제작사가 중국 기업의 외주사로서 애니메이션을 제작함으로써 중국산 판정받아 중국 시장에 진출하는 전략이다. 이 전략 모델은 외형상으로 한국기업이 중국 기업의 외주사가 된다. 이때 한국기업이 중국 기업에게 프리 프로덕션 과정에서 협력하는 방식에 따라, 계약 방식이 달라질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중국 시장에서의 지속적인 수익 배분, 글로벌 시장 합작 진출도 기대해볼 수 있다. 즉, 이 전략 모델은 양국 기업의 협업을 통해서 수익분배까지 만들어 내는 제작 전략 모델이다. 본문에선 앞선 세 가지 전략 모델과 한∙중 극장판 애니메이션 사례를 통해, 애니메이션 합작 방안을 다각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공동제작 사례로는 2013년 작품 <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 2017년 작품 <슈퍼 빼꼼: 스파이 대작전>, 2017년 작품 <나의 붉은 고래>를 선정하였다.

      • KCI등재후보

        경정맥 영양요법 환자의 지방 투여량에 따른 영양학적 개선효과 및 유해반응 분석

        문지애,김형숙,최수안,최경숙,이은숙,신완균,박도중,한호성 한국병원약사회 2011 病院藥師會誌 Vol.28 No.1

        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essentially fat emulsions, is commonly administered to prevent the deficiency of essential fatty acids and to provide a calorically dense source without protein-derived calories. A guideline of American Society for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ASPEN) recommends an amount of 1g/kg/d of lipid for typical patients. However, since total nutrients admixtures (TNA) contains varying amounts of fat (viz, up to 80g per one bag), patients may receive lipids exceeding the recommended amounts without effectiveness/safety assess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total parenteral nutritions containing high dose lipid with those of the formulation containing the recommended lipid dose.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arried out for inpatients (≥18 years) receiving TPN for more than 7 day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between January 1, 2009 to June 30.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group A of 1g/kg/d of lipid or less, and group B of more than 1g/kg/d. Various parameters (e.g., the status of nutritional support, the duration of hospitalization, the duration of TPN, the change in body weight, the variation in nutritional index and the incidence of abnormalities in the level of hematologic factors) were consolidated and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Total number of patients of this study was 184 (i.e., 91 patients for group A and 93 patients for group B). Average amounts of lipid dosage were 0.65±0.23g/kg/d for group A and 1.32±0.25g/kg/d for group B. Body weight, albumin, hemoglobin and hematocrit were slightly elevated in group A. Total amounts of protei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 B (i.e., 0.32±0.83g/dL vs. 0.52±1.17g/dL p<0.001). The incidence of reduction in TLC were elevated in group B (i.e., 34.15% vs. 55.36% p=0.039) and the frequency of LFT abnormality increased in group A (i.e., 30.14% vs. 26.47%).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nutritional improvement, there is an elevated risk of compromised immune functions in patients parenterally receiving high dose lipid.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lipid dosage may be set within the recommended amount by ASPEN (i.e., 1g/kg/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구논문 : 현대 머리장식에 표현된 맥시멀리즘의 표현기법과 미적 의미에 관한 연구

        문지애 ( Ji Ae Moon ),권기영 ( Gi Young Kwon ) 한국의류산업학회 2013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15 No.4

        This study analyzes expression methodology and aesthetic meanings in modern hair ornaments that adopt maximalism. Maximalism has appeared in various hair ornaments throughout history. Hair dresses are used for many reasons related to class, social position, religious beliefs, and occupation throughout the Eastern and Western hemispheres. A higher class and social position was often denoted by a fancier and bigger hairdress. In modern society maximalism is expressed in literature, expressionism, maxi-marketing, exaggerative advertisements, and symbolic architecture. Formative expression methodologies in modern hair ornaments that adopt maximalism are transform, overlapping & exaggeration, and mixing & edition. The aesthetic meanings of maximalism in hair ornaments are the reinterpretation of retro ornaments, the exaggeration of internal self-expression, humorous symbolic objects, and the conveyance of a social critical message. The advantages of maximalism help people communicate and co-provide an abundant life. These are expected to create significant and numerous positive impacts in society. In addition, the continued efforts on the investment in hair ornaments that express Maximalism well as a fashion trend shows that further study on the persistence, practicality and recognized design inconvenience in the aesthetic value are need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의류 행택(Hang-Tag)의 브랜드 관리 모형연구

        문지애 ( Ji-ae Moon ),임효선 ( Lim Hyo Se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7 한국디자인포럼 Vol.55 No.-

        연구배경 최근 패션과 의류 시장은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분류되어 있던 소비자들의 구매 채널의 경계가 허물어지며 옴니채널로 소비트랜드가 변화하고 있다. 기업들도 이에 맞춰 옴니채널 서비스를 기업의 브랜드 전략차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과거 소비자들의 구매에 미치는 영향으로 브랜드 인지도나 충성도의 비중이 높았으나, 현재는 정보의 원천이 구매의사 결정에 영향이 커지고 있다 할 수 있다. 소비자는 주로 온라인에서 쉽고 빠르게 구매물품의 정보를 취합할 수 있으나 의류구매는 물품의 특성상 구매 현장에서 복합적인 사고를 통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구매 최종단계에서 결정적 정보를 담고 있는 행택은 소비자의 구매 의사결정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행택을 기업의 브랜드 전략적 차원에서 관리할 수 있는 툴과 모형이 부재한 상황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의 전략적 차원으로서 행택의 브랜드 관리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문헌고찰과 행택의 정보요소를 도출하여 동질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행택의 브랜드 관리모형은 6단계(제품정보, 소재·기술정보, 안전·인증정보, 브랜드정보, 물류·서비스정보, 프로모션 정보)로 구성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기업에서는 행택을 브랜드 관리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6단계의 행택 브랜드관리 모형을 통해 전략적으로 브랜드를 관리하는 툴로서 활용되어지기를 바란다. Background Recently, in fashion and clothing markets, consumers` purchase channels separated online and offline have become unified and formed omni channels in terms of consuming trends. Along with that, companies, too, are striving to use those omni channel services as their brand strategies. In the past, brand awareness or loyalty influenced consumers` purchase intension considerably, but now, information sources influence that more and more. Consumers can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ir purchase item mostly online fast and easily; however, in clothing purchase, for the items` characteristics, they tend to make reasonable decisions in the spot of purchase through complex thinking. Therefore, the Hang-Tags containing crucial information at the last step of product purchase play important roles in consumers` decision-making process for purchase.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tools or models to manage Hang-Tags in terms of companies` brand strategies. Method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brand management model for Hang-Tags in terms of brand strategies by reviewing literatures and drawing the information factors of Hang-Tags and conducting homogeneity analysis on them. Result the brand management model for Hang-Tags is composed of 6 steps: product information, material·technology information, safety·certification information, brand information, logistics·service information, and promotion informatio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companies will recognize Hang-Tags as a crucial factor in their brand management and use this 6-step brand management model for Hang-Tags strategically as a tool to manage their brand.

      • KCI등재

        유아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어머니가 지각한 친사회적 행동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공동체생활 기술에 미치는 영향

        정계숙, 차지량, 문지애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교사교육연구 Vol.56 No.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young children’s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pro-social behaviors perceived by mothers affected on their community living skil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s. Specific attention was paid to recognize any influential sub-factors of pro-social behavior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339 mothers who sent their 3-5 years old children to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