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통치성과 공립병원의 경제·정치적 분화

        문우종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2 아시아리뷰 Vol.12 No.1

        In this paper, I explore the economic and political differentiation of China’s public hospitals and argue that this process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governmentality. According to Foucault, governmentality is intimately related to power relations and ruling strategy to configure the health, social, and economic lives of individuals and populations in a specific way. Public hospitals have played a main role in China’s healthcare system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Regardless of China’s market-oriented transition and the government’s withdrawal from social welfare provision in the 1980s and 1990s, socialist ideology and practices have been consistently imposed on public hospitals. Nevertheless, hospitals’ financial situation was exacerbated and had to find various informal ways for survival. This resulted in doctors’ over-prescriptions, informal payments from patients to doctors, soaring individual healthcare spending, and increasing medical disputes. In 2009, China’s new healthcare reform began to address these problems. Despite some successes, hospitals have been increasingly differentiated by their grades, medical services, and patients’ socioeconomic status. Higher-grade hospitals pursue their growth on China’s neoliberal and developmental governmentality. On the other hand, lower-grade public hospitals, which depend more on government subsidies, are used as places for increasing medical accessibility and socialist propaganda to strengthen the ideological legitimacy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본 연구는 중국의 경제개혁과 의료개혁 속에서 공립병원이 경제적·정치적으로 상당한 수준의 분화를 겪는 과정을 탐색하고, 이러한 과정이 공산당 통치의 정당성 확보 전략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음을 밝힌다. 푸코에 의하면 통치성은 개인 혹은 인구집단의 건강과 사회적·경제적 삶을 특정 방식으로 형성하려는 권력관계 및 통치 전략에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중국의 공립병원은 사회주의적 통치성하에서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으며 ‘인민에 대한 봉사’라는 공공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개혁개방 이후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에 따른 정부의 공립병원에 대한 재정 지원 감소는 병원 생존을 위협했으며, 개별 병원은 운영과 이윤의 기반을 스스로 마련해야 했다. 이러한 변화는 매우 부정적인 결과로 나타났다. 의사들의 과다처방과 각종 수뢰 행위, 이로 인한 개인 지출 의료비의 급증, 의료분쟁 증가 등의 심각한 문제들이 양산된 것이다. 이를해결하기 위해 2009년부터 추진된 신의료개혁은 공립병원의 등급과 의료서비스의 질, 환자의 경제적·사회적 지위에 따른 분화의 양상을 더욱 심화시키는 모습을 보인다. 즉, 상급 병원은 중국의 신자유주의적 통치성과 발전주의적 성과를 기반으로 양적·질적 성장을 추구하는 한편,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정부 의존도가 높은 하급 병원은 인민을 위한 의료접근성을 확대하고 정치적 사상 선전의 공간으로 활용되며, 공산당 통치의 정당성을 사회주의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강화하고자 하는 면모를 보이는 것이다.

      • KCI등재

        소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일상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초등 머신러닝 교육 프로그램 개발

        문우종,고승환,이준호,김종훈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5

        본 연구는 인공지능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초등학교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교육 프로그램은 ADDIE 모형의 단계에 따라 초등교사 70명 대상의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목적과 방향을 설계하였다. 설문 결과 초등학생들이 인공지능을 처음 배울 때 생활 속에서 가 장 접하기 쉬운 소리 데이터를 주제로 설정하고, 일상생활에서 소리 데이터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서 인공지능의 원리를 익히고, 그 과정에서 컴퓨팅 사고력도 키울 수 있도록 머신러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 였다. 인공지능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요즘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일상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초등 머신러닝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 인공지능 교육의 기반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s that can be easily applied in elementary schools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calle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training program designed the purpose and direc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needs of 70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 steps of the ADDIE model. According to the survey,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ed a machine learning education program to set sound data as the theme of the most accessible in their daily lives and to learn the principl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solving problems using sound data in real life. These days, when the nee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emerges, elementary machine learning education programs that solve daily life problems based on sound data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lay the foundation for elementary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 KCI등재

        소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일상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초등 머신러닝 교육 프로그램 개발

        문우종,고승환,이준호,김종훈,Moon, Woojong,Ko, Seunghwan,Lee, Junho,Kim, Jonghoon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5

        본 연구는 인공지능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초등학교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교육 프로그램은 ADDIE 모형의 단계에 따라 초등교사 70명 대상의 요구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목적과 방향을 설계하였다. 설문 결과 초등학생들이 인공지능을 처음 배울 때 생활 속에서 가장 접하기 쉬운 소리 데이터를 주제로 설정하고, 일상생활에서 소리 데이터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인공지능의 원리를 익히고, 그 과정에서 컴퓨팅 사고력도 키울 수 있도록 머신러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인공지능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요즘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일상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초등 머신러닝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 인공지능 교육의 기반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s that can be easily applied in elementary schools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calle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training program designed the purpose and direc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needs of 70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 steps of the ADDIE model. According to the survey,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ed a machine learning education program to set sound data as the theme of the most accessible in their daily lives and to learn the principl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solving problems using sound data in real life. These days, when the nee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emerges, elementary machine learning education programs that solve daily life problems based on sound data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lay the foundation for elementary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 KCI등재

        데이터 라벨링 중심의 머신러닝 교육이 초등학생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문우종,김봄솔,김정아,김봉철,서영호,오정철,김용민,김종훈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방법으로 데이터 라벨링 중심의 머신러닝 교 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현직 초등학교 교사 100명을 대상으 로 실시한 사전 요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설계 및 개발을 진행하였다.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 기 위하여 K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학생 17명을 대상으로 1일 2차시씩 총 6주간 12차시의 교육을 진행하 였다. 해당 교육이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미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비버챌린지(Bebras Challenge)'를 활용하 여 사전 사후 검사를 진행하여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데이터 라벨링 중심의 머신러닝 교육이 초 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machine learning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data labeling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and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a preliminary demand analysis conducted on 1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education program, 17 sixth-grade students attending K Elementary School were given 2 classes per day for a total of 6 weeks.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 of the training on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the educational effects were analyzed by conducting pre-post-inspection using the Beaver Challenge. According to the analysis, machine learning education focused on data labeling contributed to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숫자 데이터를 활용한 블록 기반의 머신러닝 교육이 초등학생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문우종,이준호,김봉철,서영호,김정아,오정철,김용민,김종훈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육 방법으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ADDIE(Analysis-Design-Development-Implementation-Evaluation) 모형에 따라 사전에 초등학교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구글 설문을 이용하여 실시한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그 목표와 방향을 설계하였다. 머신러닝 포 키즈 중 블록 기반의 프로그래밍을 위해 스크래치를 사용하였고 숫 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공지능의 원리를 학습하고 직접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교재를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비버챌린지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통해 컴퓨팅 사 고력의 변화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developed and applied a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increasing computational thin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The educational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the results of a demand analysis conducted using Google survey of 1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advance according to the ADDIE(Analysis-Design-Development-Implementation-Evaluation) model. Among Machine Learning for Kids, we use scratch for block-based programming and develop and apply textbooks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in the programming process of learning the principl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olving problems directly by utilizing numerical data. The degree of change in computational thinking was analyzed through pre- and post-test results using beaver challenge,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this study had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수행시간 중심의 초등 EPL 교육이 초등학생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문우종,부용호,김종훈 한국정보교육학회 202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4 No.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육 방법으로 수행시간 중심의 초등 EPL 교육 프로그램 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학생 4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전 요 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개발하였다.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대학교에서 실시 한 초등학생 교육 기부 프로그램의 지원자 표집에 의한 지원자 표본 25명을 대상으로 6일간 1일 7차시씩 42차시 를 진행하였다. 한국정보과학교육연합회에서 주최한 ‘비버챌린지(Korea Bebras Challenge 2018)’를 활용하여 사 전·사후 검사 결과를 통해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수행시간 중심의 초등 EPL 교육이 초등학생 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developed and applied an elementary EPL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execution time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n its effect has been verified. The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preliminary demand analysis conducted on 48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program, 25 student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cla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a seven hours for six days. Using the Korea Bebras Challenge 2018, educational effects were analyzed through the results of pre- and post-mortem examinations,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elementary EPL education centered on performance time was effective in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정보·환경 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연구

        문우종,고승환,부용호,박예진,김종훈 한국정보교육학회 2022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6 No.2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general study relea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September 2021, environmental issues are emerging as a socially important topic, with climate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ppearing at the forefront along with software education. In this study, by applying Python Monte Carlo simulation, a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that combines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oftware education emphasiz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developed program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program with Lawshe's Content Validity Ratio for science, environment, and information subject education experts, and the verific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meets the development purpose, environment, and information subject achievement standards. 교육부에서 2021년 9월에 발표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연구 결과에서는 기후·환경 교육이 소프트웨어 교육과 더불어 전면에 등장하는 등 환경 문제가 사회적으로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이썬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환경교육과 소프트웨어교육을 융합한 고등학생 대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과학·환경·정보 교과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Lawshe의 내용타당도 비율(Content Validity Ratio: CVR)로 검증하였고, 검증 결과 프로그램은 개발 취지와 환경 및 정보 교과 성취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딥러닝 원리 중심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문우종,김봄솔,고승환,고은정,김종훈 한국정보교육학회 2023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7 No.3

        교육부는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초 소양과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교육과정 개선을 추진하며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 교육을 비롯한 디지털 기초 소양 강화를 강조하고 있다. 인공지능 교육 분야에서도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따른 사회 변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인공지능의 개념과 원리, 기술을 활용하여 실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초 소양인 인공지능 리터러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머신러닝 포 키즈에서 딥러닝 모델을 구현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부분을 활용해서 인공지능의 개념과 원리(노드, 은닉층 등)를 익힐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인공지능 리터러시를 함양하는 데 그 목적을두고 있다.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교사 50명의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목적과 방향을 설계하였고, 초등 정보영재 20명을 대상으로 적용 후 인공지능 리터러시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통해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교육 프로그램은 인공지능 리터러시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수행시간 중심의 파이썬 정렬 알고리즘 교육이 초등학생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양영훈,문우종,김종훈 한국정보교육학회 201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ython sorting algorithm training program based on execution time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enhancing the logical thinking power of elementary students and then to verify the effect. The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demand analysis conducted on 1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 25 students of the volunteer sample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donation program conducted at ○○ University conducted 42 hours of 7 days per day for 6 days. The results of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analyzed using the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GALT)' develop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ython sorting algorithm training centered on execution time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logical think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육 방법으로 수행시간 중심의 파이썬 정렬 알고리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현직 초등학교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전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개발하였다.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대학교에서 실시한 초등학생 교육기부 프로그램의 지원자 표집에 의한 지원자 표본 25명을 대상으로 6일간 1일 7차시씩 42차시를 진행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논리적 사고 검사(GALT)’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통해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수행시간 중심의 파이썬 정렬 알고리즘교육이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Review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Health Information System Studies

        박경수,문우종 대한의료정보학회 2024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30 No.1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hospital-based health information system (HIS) studies that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evaluate their methodological contexts and implications. In addition, we propose practical guidelines for HIS researchers who plan to us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Methods: We collected papers published from 2012 to 2022 by searching the PubMed and CINAHL databases. As search keywords, we used specific system terms related to HISs, such as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s,” linked with their operational terms, such as “implementation” and “adaptation,” and qualitative methodological terms such as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We finally selected 74 studies that met this review’s inclusion criteria and conducted an analytical review of the selected studies. Results: We analyzed the selected articles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ur poin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articles; research design; participant sampling, identification, and recruitment; and data collection, processing, and analysis. This review found methodologically problematic issues regarding researchers’ reflections, participant sampling methods and research accessibility, and data management. Conclusions: Reports on the qualitative research process should include descriptions of researchers’ reflections and ethical considerations, which are meaningful for strengthening the rigor and credibility of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these discussions, we suggest guidance for conducting ethical, feasible, and reliable qualitative research on HISs in hospital set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