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행복감의 매개효과

        류혜숙,고정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The Influence of Resilience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HappinessHyesook Ryu & Jeongwan Go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on their teacher efficac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happiness. For this purpose, 278 university student living in area G were sele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ir inspection pap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efficacy and the happiness and the resilience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resilience was an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teachers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and happines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cnce and teacher efficacy.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more specific information on the educational efforts and methods needed to enhance the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Key Word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Teacher Efficacy, Happiness, Mediated Effect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행복감의 매개효과류 혜 숙**ㆍ고 정 완***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행복감의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를 위해 유아교육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278명을 선정하여 검사지를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및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은 교사효능감을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서 행복감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이에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데 필요한 교육적 노력과 방안 모색에 더 구체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예비유아교사,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행복감, 매개효과 □ 접수일: 2022년 10월 12일, 수정일: 2022년 11월 12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이 연구는 2022년 광주보건대학교 대학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No.2022017). ** 주저자, 광주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First Author, Professor, Gwangju Health Univ.)*** 교신저자, 광주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Gwangju Health Univ., Email: koreakjw11@naver.com)

      • KCI등재

        교육연한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 변화 연구

        류혜숙,김정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grounding materials for seeking a way of educational support that helps students enhance their teaching efficacy by finding factors that affect the teaching efficacy of practice students. Data was collected from student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using a survey approach, follow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6 practice students. In particular, 163 samples were collected in the first study and 148 samples were collected in the second study. Final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practic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changes in the teaching efficacy of practice student through the period of educ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urriculum, relationship with professor and schoolmates, family and neighbor, and part-time job connected with major influenced the teaching efficacy of practice students. 본 연구는 교육연한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형성배경을 알아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가 교사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적 지원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의 A대학과 B대학의 1학년 182명으로 시작하여, 2년 후 3학년에 재학 중인 148명을 최종 선정하였고, 심층면담의 연구대상은 3학년에 재학 중인 148명 중 6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연구, 1차 설문지 수거, 2차 설문지 수거, 3차 심층면담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13.0을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고, 심층면담 자료는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는 교육연한에 따라 1학년보다 3학년이 되었을 때 교사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으로는 교육과정, 교수관계, 교우관계, 가족과 주변인물, 전공 관련 아르바이트 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호박고구마 물 추출물 투여가 마우스의 비장세포와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에 미치는 영향

        류혜숙,Ryu, Hye-Sook 한국식품영양학회 2020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3 No.3

        Pumpkin sweet potato (Ipomoea batas L.) has been known as a traditional remedy and food source, not only in South Korea but worldwide. It is rich in fiber, potassium, vitamin C, and other minerals and vitamins, making it a nutritional food loved by many. showed that pumpkin sweet potato had antioxidant biological effects. The in vitro study showed that both splenocytes and cytokine production byactivated peritoneal macrophages increased when water extracts were supplemented at 100 and 250 μL/mL. Notably, the production of IL-1β, TNF-α, and IFN-γ by splenocyt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100 μL/mL. The results suggest that supplementation with pumpkin sweet potato (Ipomoea batas L.) water extract may enhance immune function by stimulating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improving cytokine production, activating macrophages in vitro.

      • KCI등재

        연근 열수추출물 투여가 마우스의 비장세포와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에 미치는 영향

        류혜숙,Ryu, Hye-Sook 한국식품영양학회 2019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2 No.3

        Nelumbo nucifera Gaertn has been usedas a traditional remedy and food source in South Korea. It promotes gastrointestinal function and controls blood pressures. Nelumbo nucifera Gaertn water extracts supplement at 5, 10, 50, 100, 250, 500, $1,000{\mu}g/mL$ after a 48 h pre-treatment with the mitogen (ConA or LPS) increased the mouse splenocytes proliferation. Water extract supplement also increased the cytokine production ($IL-1{\beta}$, $TNF-{\alpha}$ and $IFN-{\gamma}$), measured by a cytokine ELISA kit. For the result of in vitro study, the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and cytokine production activated by peritoneal macrophages increased when water extracts were supplemented in the range of $50{\sim}500{\mu}L/mL$ concentration. Specifically, the levels of the splenocytes proliferation, $IL-1{\beta}$, $TNF-{\alpha}$ and $IFN-{\gamma}$ were the highest at $250{\mu}L/mL$ concentration. This in vitro study suggestedthat supplementation with Nelumbo nucifera Gaertn water extracts may enhance the immune function by regulating the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enhancing the cytokine production activating macrophage in vitro.

      • KCI등재

        도라지 물 추출물의 경구 투여가 마우스 면역 세포 활성에 미치는 효과

        류혜숙,Ryu, Hye Sook 한국식품영양학회 2014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7 No.1

        Platycodon grandiflorum have been used as a traditional remedy and food sourc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in mouse, using ex vivo experiments. Six to seven-week old mice were fed ad libitum on a chow diet, and water extra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was orally administrated at two different concentractions (50 and 500 mg/kg B.W./day) every other day for four weeks. In ex vivo experiments, the highest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and levels of cytokine (IL-$1{\beta}$, IL-6, TNF-${\alpha}$) production were observed in 500 mg/kg BW/day supplementation group for all three cytokines stimulated by LP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s may enhance the immune function by regulating the splenocytes proliferation and cytokine production capacity by activating macrophages in mice.

      • KCI등재

        유아의 놀이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또래유능성의 매개효과

        류혜숙,고정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유아의 놀이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또래유능성의 매개효과류 혜 숙**ㆍ고 정 완***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놀이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과 또래유능성의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고보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은 G지역에서 생활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228명을 선정하였고, 유아의 놀이성, 행복감 그리고 또래유능성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Pearson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하였으며,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유능성과 행복감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놀이성은 행복감을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서 또래유능성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이에 본 연구는 유아의 행복한 삶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교육적 노력과 방안 모색에 더 구체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유아, 놀이성, 행복감, 또래유능성, 매개효과 □ 접수일: 2022년 8월 2일, 수정일: 2022년 9월 1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이 연구는 2021년 광주보건대학교 대학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No. 2021023). ** 주저자, 광주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First Author, Professor, Gwangju Health Univ.)*** 교신저자, 광주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Gwangju Health Univ., Email: koreakjw11@naver.com) The Influence of Playfulness on Young Children’s Happinessand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CompetenceHyesook Ryu & Jeongwan Go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children’s playfulness on their happin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competence. For this purpose, 228 5-year-old children living in area G were sele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ir playfulness, happiness, and peer competenc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Sobel test 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layfulness and the peer competence and the happiness of the young childre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playfulness was an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happiness of young children, and peer competenc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and happiness. In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more specific information on the educational efforts and ways necessary to support the happy life of infants. Key Words: Young Children, Playfulness, Happiness, Peer Competence, Mediated Effect

      • KCI등재

        가시오가피 물 추출물에 의한 마우스 비장세포 및 대식세포 활성의 항진효과

        류혜숙,Ryu, Hye-Sook 한국식품영양학회 2015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8 No.2

        In vitro 실험을 통한 가시오가피 물 추출물 첨가가 마우스의 면역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 음의 대조군에 비해 가시오가피 물 추출물을 첨가한 모든 농도에서 비장세포 증식능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고농도인 $500{\sim}1,000{\mu}g/mL$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복강 대식세포로부터 유도된 사이토카인 생성의 경우, IL-2, IFN-${\gamma}$, TNF-${\alpha}$ 사이토카인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TNF-${\alpha}$ 사이토카인은 가시오가피 물 추출물 $50{\mu}g/mL$ 농도와 $250{\sim}1,000{\mu}g/mL$ 농도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분비량을 보인 반면, IFN-${\gamma}$에서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IL-2의 경우, $100{\sim}500{\mu}g/mL$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가시오가피 물 추출물은 마우스 비장 세포를 증식시키고, 사이토카인 분비량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며, 면역 기관의 주요 기능을 증진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가시오가피 물 추출물이 면역 증진 기능성식품 개발의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anthopanax senticosus is an herb that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remedy and medicine source. It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have been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anthopanax senticosus water extracts on mouse macrophage cell in vitro. Mouse splenocyte proliferation increased after application of Acanthopanax senticosus water extract supplement of 5, 10, 50, 100, 250, 500, $1,000{\mu}g/mL$ after 48 h pre-treatment with a mitogen (ConA or LPS). The production of cytokines secreted by LPS and non LPS stimulated macrophages was detected by ELISA assay using a cytokine kit. Cytokine production (IL-2, IFN-${\gamma}$, and TNF-${\alpha}$) increased after water extract supplementation. The result of this in vitro study, showed that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cytokine production by activated peritoneal macrophages were increased after Acanthopanax senticosus water extract in the range of $500{\sim}1,000{\mu}L/mL$. Thus, it is suggested that supplementation with Acanthopanax senticosus water extracts may enhance immune function by regulating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enhancing cytokine production by activated macrophage.

      • KCI등재

        산책활동과 연계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에 미치는 영향

        류혜숙,김명화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유아를 대상으로 이뤄진 산책활동과 연계한 환경교육이 환경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환경에 대한 지식과 태도가 환경에 대한 행동 형성과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다니는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은희(2009)가 사용한 환경지식 검사도구, 송명선(2006)이 사용한 환경태도 검사도구, 박수미(2005)가 사용한 환경행동 검사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중다공변량분석, Pearson 단순적률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산책활동과 연계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환경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행동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환경에 대한 태도가 환경행동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young children’s walking activities with regard to environment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Furthermore,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environmental knowledge, and attitudes, and environmental behaviors was also research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five years old children attending at the W kindergarten in G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involv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ough walking activitie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control group in environment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This study also indicated that environmental knowledge and attitudes had the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al behaviors. In addition, environmental attitudes affected environmental behaviors much more than environmental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