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과학교육 자원으로서 현장견학 접근모형

        류칠선,이성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9

        본 연구에서는 현장 견학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과학교육 자원으로서 견학의 의의를 논하였으며, 유아교육과정과 관련된 현장 견학 자원을 정리하였다. 또한 접근방법을 현장 견학실시 사례와 함께 제시하여 현장견학 접근방법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 과정에서 다루어지는 내용과 관련되어 교육목표 도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현장 견학 자원을 조사하였다. 과학교육의 목적을 사회과학적 목적과 자연과학적 목적으로 구분하여 다른 사람과 더불어 생활하며 사회현상과 환경에 대하여 관심가지는 사회과학에 관한 목적과 주위의 환경, 동식물, 자연현상 관찰, 비교를 통해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 논리수학적 사고, 창의적 문제해결과 태도 형성하기를 자연과학에 관한 목적으로 제시하였다. 사회 과학적 내용과 관련된 현장 견학 자원으로는 사회현상과 환경에 관심가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유아교육기관 주변 산책하기, 우리동네 견학하기, 우체국, 한밭 교육박물관, 한학마을, 국립 민속 박물관 등을 제시하였다. 자연현상과 주위의 사물을 탐색할 목적으로 대학교 표본실, 애완 동물 가게, 야생동물 전시장, 정미소, 목공소 등을 제시하였다. 현장견학의 방법으로는 견학전, 견학일, 견학후의 교사의 역할과 유아의 활동을 나누어 정리하였다. 제시된 현장 견학 자원과 접근 모형은 견학활동이 유아의 흥미나 요구를 충족 시키면서 교육주제와 관련된 교육 목적을 달성하는데 기여하도록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과 독일 유아교사의 교사이미지 평가 비교연구

        류칠선,이성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4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early childhood teachers' evaluations of the "Teachers Image" which developed by Rue(1998). Participants are 98 Germa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06 Korean teachers working in Taejon City. The research was performed from August 2004 to December 2004 in German and Korea by mean of evaluation forms on the "Teacher Image". From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s, it was found that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high levels of conception on the categories that "job attitude" and "Teachers' personality". However German teachers have high levels of conception on the categories that "conception on professionalism" and "knowledge on culture". Korean teachers show the high concept level on the categories that "professional skill" and "job attitude" than German teach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유아교사와 독일유아교사가 갖는 교사 자신에 대한 교사이미지 평가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두 나라 교사의 교사이미지 평가와, 두 나라 교사간의 이미지 평가 경향의 차이가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독일 중소도시에 있는 유아교사 98명과 우리나라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106명을 대상으로 2004년 9월부터 12월 사이에 이미지 평가에 대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분석결과 한국의 유아교사는 교사이미지의 6개요인 중 직업의식과 교사의 인성적 특성에 관한 요인의 이미지를 높게 지각하였고, 독일의 유아교사는 전문성 인식과 교양지식에 관한 요인의 이미지를 각각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독일 유아교사 간에 6개의 이미지 요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의 교사가 독일의 교사보다 전문적 기능 요인과 직업의식 요인을 더 중요하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유아의 탐구능력 증진을 위한 물리적 지식 활동의 효과에 관한 연구

        류칠선 영유아교육학회 2002 영유아교육연구 Vol.5 No.-

        본 연구는 물리적 지식 활동을 선정하여 이를 유아교육기관에 적용하여봄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 유아는 대전시에 위치한 D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 세 유아 30명이었으며, 일화기록 자료와 비디오 녹화자료를 분석하여 유아의 탐구능력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8회에 걸쳐 실행된 물리적 지식 활동은 유아의 탐구능력을 증직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hysical knowledge activity to increase the inquiry ability for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children belonged to D day care in Daejeon city. The obtained data were verified by SAS. The result was that the inquiry ability for children was improved as the number of the implementation was increased.

      • KCI등재

        요인분석과 내적일관성신뢰도를 이용한 유아기 어머니의 행복감 평가척도 개발

        류칠선,박혜정,최유경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19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ystemic, useful assessment scale to evaluate the preschool mothers' happi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9 preschool mothers in D city and S city. They were randomly chosen. A survey was performed from October, 2018 to January, 2019.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rvey were evaluated by factor analysis and coefficient of internal consistency. To clarify factor analysis, varimax rotation was applied. The results and further analysis revealed 6 factors for happiness of mothers of preschoolers: 1) familial relationship; feeling happiness through family including children, 2) absolute satisfaction; relying on religion and trusting God, 3) positive attitude; recognizing one’s sociocultural environment positively, 4) reciprocal interaction; intimate relationship with people around them, 5) inner desire; emphasizing happiness through one’s ‘own’ life and joy, 6) self-improvement; effort to improve one’s potential and capacity. The Cronbach’s Coefficient Alpha value of this assessment scale comprised of 37 questions was .943, a sufficiently high value. As a result, assessment scale of preschool mothers' happiness involving Korea's unique sociocultural phenomena was developed. Researches for evaluation of mothers' happiness and multi-cultural studies with this assessment scale will be required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유치원 교사 이미지 연구 : 유치원 원장과 교사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류칠선,이성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7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2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과 교사가 지각하는 교사이미지의 구조적 유형과 이들 유형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유치원 교사 31명, 유치원 원장 28명이었다. 유치원 교사는 대전광역시내의 5개구에 소재한 유치원중 초등학교병설유치원 10곳, 대학(전문대학)부속유치원 3곳, 사립유치원 5곳을 무선표집하고 다시 형태별로 초등병설과 대학부속 유치원 교사 각각 10명씩, 사립유치원 교사 11명을 무선표집하였다. 또한 유치원 원장은 대학부속유치원장 1명, 사립유치원장 27명을 무선표집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이미지의 구조적 유형은 유치원 원장의 경우에 수용적 부모역할 지향형과 창조적 전문가 지향형의 2가지 유형으로, 교사의 경우에는 자기개발지향형, 사회적·환경적 요소추구형, 내적 만족지향형의 3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들 유형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한 결과 유치원 원장과 교사들은 공통적으로 교사의 개인적·인성적 특성의 자질을 중시하며 전문적 지식을 가진 교수자·연구자의 교사이미지를 중요하게 지각하였다. 원장과 교사의 차이점은 유치원 원장이 교사의 성실성을 무조건 강조하는데 비해 교사는 현실적으로 인내심이 지나치게 요구되며 인내하기가 어려운 점도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으며, 원장은 교사가 원장의 지도에 잘 따르는 것을 선호하는 반면 교사는 원장의 지도에 잘 따르는 것 보다 개성있는 교육이 되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유치원 교사와 원장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갈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러한 갈등요인을 상담하고 해결해 줄 수 있는 전담부처의 신설과 교사와 원장이 협동적으로 공동의 목표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교사 이미지 연구 : Q-방법론적 접근

        류칠선 한국유아교육학회 1996 유아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는 교사 이미지의 구조적 유형을 분석하여 유치원 교사 이미지 향상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전지역의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31명을 무선표집하였으며, 인간의 주관성을 심층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 이미지의 구조적 유형은 자기개발 지향형, 사회적 · 환경적 요소 추구형, 내적만족 지향형의 3개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delineates specific structural patterns of kindergarten teachers' self image. The subjects were 31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city of Taejeon. Q-methodology was employed in this research. The results reveal three different types of self image: 1) teachers perceive themselves as knowledgeable in their profession but derive little satisfaction from their work; 2) teachers perceive themselves as not knowledgeable in their profession and also derive little satisfaction from their work; 3) teachers perceive themselves as knowledgeable in their profession and derive high satisfaction from their work.

      • 행복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적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류칠선,조인경 한국아동보육실천학회 2014 아동보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행복 관련 그림책 읽기를 기초로 한 통합적 활동(토의활동, 게임, 그림그리기, 편지쓰기, 음악활동 등)이 유아의 행복감과 자아존중감 증진에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 였다. 연구 대상은 D시에 소재한 H유치원 만 5세 유아 54명(실험집단 27명, 비교집단 27명)이다. 실험집단 유아들을 대상으로 행복 관련 내용의 그림책을 들려주고 통합적 활동(토의활동, 게임, 그림그리기, 편지쓰기, 음악활동 등)을 10주 동안 10회 실시하였다. 행복관련 그림책을 기초로 한 통합적 활동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의 행복감이 증진되었으며, 하위 요소로 가정환 경 요인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도 증진되었으며 하위 요소 로 가족수용 자아와 정서적 자아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 사소절에 나타난 아동의 예절교육론

        류칠선 영유아교육학회 2003 영유아교육연구 Vol.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양육하고 교육하는 현대의 교사와 부모들에게 바람직한 예절교육의 지침을 제시하는데 있다. 따라서 전통사회의 대표적 예절 교육서였던 사소절의 전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기준은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과 남상민(1995), 문미옥 등(2001), 김중경(1995)의 관점에 기초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부모, 어른 및 다른 사람, 사물에 대한 공경과 존중의 마음가짐과 행동을 통한 공경의 내면화와 유아가 행할 올바른 도리를 강조하는 예절교육의 목적, 건강생활 예절, 사회생활 예절에 대한 예절교육의 내용, 자기조절 교육, 모범보이기, 옛 성현의 말씀 들려주기, 반복적으로 실천하도록 가르치기의 예절교육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ims, contents and methods of child etiquette education in Sasogeul. The Sasogeul consists of etiquette for men(士典), etiquette for women(婦儀) and etiquette for children(童規).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6th Korea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he theory of child etiquette education in 'Sasogeul'. The analysis showed that aims of child etiquette education in 'Sasogeul' was the improvement of child's integrated development as the foundation and basis of education. Contents of education in 'Sasogeul' were divided into 2 groups; etiquette of health and social life-basic life etiquette, family life and group life etiquette. Methods of education in 'Sasogeul' included self-control, modeling, repetition, and story telling of sages saying.

      • KCI등재후보

        동몽수지(童蒙須知)에 나타난 아동교육내용 연구

        류칠선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28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childhood education in Dongmongsugi(童蒙須知) a textbook of etiquette education for childhood.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6th Korea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he theories of education in Dongmongsugi. The contents of Dongmongsugi were divided into 4 groups. (1) Health life area : The contents focused on the education of self control. (2) Social life area : The contents consists of the bow, language, table, and dress manners. (3) Language life area : The contents focused on dealing with the books carefully and loving books rather than focused on the reading and writing. (4) Inquary life area : The contents consists of the spirit and attitude of inqui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