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활용도 높은 수학교과서의 모형 및 예시 단원 개발 연구

        도종훈 한국학교수학회 2016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9 No.3

        학교 수업에서 교과서는 학생과 교사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한 가장 중요한 매개물 중 하나이다. 그러나 상당수 학생들은 교과서를 외면하고 학원교재나 참고서, 문제집 등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사뿐 아니라 학생 활용도가 실제로 높은 수학교과서에 대한 논의는 내실 있는 수학교육 실현의 측면에서 뿐 아니라 우리나라 공교육 정상화의 측면에서도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수학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요건에 대한 기존의 논의 분석과 현행 수학교과서의 특징 및 장단점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활용도가 높은 수학교과서는 어떠해야 할지 논의하고, 활용도 높은 수학교과서에 대한 한 가지 모형을 예시 단원과 함께 제안한다. Textbook is the most important material in learning and teaching school mathematics. It is necessary to develop highly utilizable mathematics textbook in view of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including mathematics education. In this paper we first discuss the meaning of good mathematics textbook and analyze current mathematics textbooks to establish directions of highly utilizable mathematics textbook to student as well as teacher. And then we suggest a model and exemplary unit of highly utilizable mathematics textbook.

      • KCI등재

        제1차 교육과정기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직선 관련 내용의 구성 및 전개 방식 분석

        도종훈,Do, Jong Hoon 한국수학사학회 2017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30 No.2

        This paper is a follow up study of [2]. In this paper we analyse the content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published in the 1st National Curriculum Period centered on the concept 'straight line' and discuss how they are different from contemporary mathematics textbooks in view of connectedness of contents, mathematical terms, textbook as a learning material vs. teaching material, relationship between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some topics related to direct proportion, function, method of equivalence as a method for solving simultaneous linear equations and so on. The results of our analysis and discussion suggest implications for reforming mathematics curriculum and developing mathematics textbooks.

      • KCI등재

        지방 중소도시 소재 사립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인식 조사

        도종훈,박윤범,박혜숙 한국학교수학회 2014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지방 중소도시에 위치한 사립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재학생들의 진로에 대 한 의식과 수요 및 준비 상태를 조사함으로써 수학교육과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인식 실태 를 분석하고, 학생들의 진로 지도 및 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이를 위 하여 수학교육과 학생의 학과 선택 시기와 동기, 수학교육과 선택과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 등에 대한 만족도,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생각과 학년별 변화, 수학교육과 관련 직업과 진로 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거치면서 수학교육과로의 진로를 선택했고, 선택의 가장 큰 동기는 개인 적성에 적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이유때문인지 수학교육과 선택에 대한 만족도나 수학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이 자신의 진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년이 높아질수록 수학 교사가 아닌 다른 진 로를 생각하는 학생들의 수가 많아지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들 중 대부분은 2학년 혹은 3학년이 되면서 전공 공부의 어려움, 교사 임용시험의 높은 경쟁률과 낮은 합격률, 임 용 교사 수의 감소 등의 원인으로 진로를 바꾸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survey the career awareness, demand, and preparation of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ment of career diversification strategies. For this we examined the followings: (1) department selected time and motivation, (2) satisfaction with the selection and training courses, (3) hope and change for a career after graduation, (4) related jobs and career awareness. As a result, most of the students over the course of the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 chose a career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biggest motivation appeared to be due to selection was deemed suitable for individual aptitudes. Due to this reason he/she is satisfied with the selection and training process and the curriculum of mathematics education appeared to think it would be helpful to his/her career. It can be observed that the number of students increased to think of another job, depending on the grade ascent. Mostly due to the difficulty of major study as grade up, high competition and low success rate of teacher employment test, employment reduction in the number of teachers.

      • KCI등재

        방과후학교 수학교육에 대한 수학교사들의 인식

        도종훈,박윤범,박혜숙 한국학교수학회 2014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초, 중,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현행 방과후학교 수 학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요구, 문제점 인식 등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는데, 무엇보다 교사들이 만족할 수 있는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프로그램 특히, 교육과학기술부, 지역 교육청, 혹은 수학교육 관 련 교육 및 연구 기관 등의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고, 교사의 과중한 업무 부담을 경감시킬 필요가 있으며, 전문성을 갖춘 외부 강사의 확충 방안 및 방과후학교 수학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지원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185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to identify their conception, satisfaction, requirements of after-school mathematics education.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we need to develop newer programs, reduce teachers' task, build a more effective system for supporting and researching after-school mathematics education, and so on. Using these survey results we understand the facts of existing after-school mathematics education and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discussing how to invigorate and advance the after-school mathematics education.

      • KCI등재

        정수론적 방법에 의한 $\sqrt{2}$의 무리수성 증명에 내재된 실수의 완비성 공리

        도종훈 한국수학사학회 2004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17 No.1

        In this paper, we analyse several number theoretical proofs of the irrationality of $\sqrt{2}$ and reveal that these proofs are implied by The Completeness Axiom of the real number system.

      • KCI등재

        수학적 개념으로서의 등호 분석

        도종훈,최영기 한국수학교육학회 2003 수학교육 Vol.42 No.5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equality sign as a mathematical concept and investigate its meaning, errors made by students, and subject matter knowledge of mathematics teacher in view of The Model of Mathematical Concept Analysis, arithmetic-algebraic thinking, and some examples. The equality sign = is a symbol most frequently used in school mathematics. But its meanings very according to situations where it is used, say, objects placed on both sides, and involve not only ordinary meanings but also mathematical ideas. The Model of Mathematical Concept Analysis in school mathematics consists of Ordinary meaning, Mathem atical idea, Representation, and their relationships. To understand a mathematical concept to understand its ordinary meanings, mathematical ideas immanent in it, its various representations, and their relationships. Like other concepts in school mathematics, the equality sign should be also understood and analysed in view of a mathematical concept.

      • KCI등재

        삼각형의 넓이와 삼각뿔의 부피에 내재된 공리와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

        도종훈 한국학교수학회 2015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8 No.4

        현행 수학과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에서는 도형의 넓이와 부피가 무엇을 의미하는 용어인지 명료하게 정의하지 않으며, 넓이와 부피 측정에 어떤 공리가 전제되어 있는지 파악하기도 어렵다. 본고에서는 도형의 넓이와 부피 개념에 전제된 공리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들 공리의 관점에서 학교수학에서의 넓이 및 부피 관련 내용 중 특히 삼각형의 넓이와 삼각뿔의 부피 공식에 대한 설명 방식의 차이점을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와 관련지어 논의한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axioms defining area and volume so that revisit area formula for triangle, volume formula for triangular pyramid, and related contents in school mathematics from the view point of axiomatic method and Hilbert’s third problem.

      • KCI등재

        제곱근의 뜻과 성질에 대한 이해 및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에서 나타나는 수학 학습 부진 학생들의 오류 분석

        도종훈,권오병 한국학교수학회 2019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2 No.1

        학교 교육에서 수학은 학습 부진의 문제가 가장 심각한 교과 중 하나이다. 특히 중학교 수학은 초등학교 수학과 고등학교 수학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하고 비형식적 수학에서 형식적 수학으로 전환되는 시기에 위치해 있어 이 시기의 학습 부진은 이후의 수학 및 수학 관련 교과 학습에서 지속적인 부진을 야기할 가능성이 크다. 이런 점에서 중학교 수학의 학습에서 발생하는 학습 부진의 실태와 그 원인의 분석은 학생들의 미래 수학 학습을 위한 토대 마련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 시기와 내용의 계통성 측면에서 중학교 3학년 수학의 출발점이자 근간에 해당하는 제곱근의 뜻과 성질 이해 및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 학습 부진 학생들의 오류를 조사하고 그 유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여러 가지 오류가 발견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근호 를 괄호 ( )처럼 인식하는 오류나 을 또는 으로 인식하는 오류는 우리가 예상하지 못했던 뜻밖의 오류로서 본 연구와 같은 오류 분석 연구가 보다 광범위하고 심층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사례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개방형 문제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 : 두 개의 개방형 문제 제작 사례를 중심으로

        도종훈 한국학교수학회 2007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0 No.2

        개방형 문제는 문제의 출발 상황이나 목표 상황, 해결 방법 등이 열려 있어 학생들에게 각자의 수준에서 다양하고 새로운 산출물을 생산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교사는 여러 가지 유형의 개방형 문제를 답을 구하거나 증명하는 문제의 형태로 제작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개방형 문제 제작과 활용을 위해 먼저 고려해야 할 점은 어떤 소재를 가지고 어떤 절차와 방법으로 개방형 문제를 만들 것인가 하는 점이다. 학생들에게 지나치게 생소하거나 과도한 배경지식을 필요로 하는 내용보다는 학생들에게 친숙하여 접근이 용이한 내용이나 소재 및 대다수의 교사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제작 방법과 절차에 대한 논의가 구체적인 예와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교과서 등에 제시되어 있어 이미 알려진 문제를 재구성하여 개방형 문제를 제작하는 방법과 절차를 예시 설명하고, 예시 개방형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며, 이를 토대로 개방형 문제가 지니는 수학 교육적 의의에 대하여 논의한다.

      • KCI등재후보

        유클리드 제 5 공준의 기원에 관한 가설

        도종훈 한국수학사학회 2003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16 No.3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origin of Euclid's fifth postulate. For this we analyze the Euclid's proof of the Pythagorean theorem, so form a hypothesis "The Euclid's fifth postulate originated from the Pythagorean theorem." And we test our hypothesis by some historical evidences.evid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