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SLAM 에서의 버퍼와 대역폭 관리 기법

        도경태(Kyungtae Doh),김동균(Dongkyun Kim),김창훈(Changhoon Kim),박장연(Jangyeong Park),박승철(Seungchul Park),최양희(Yanghee Choi)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Ⅲ

        가입자망은 원래 전화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었으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x-DSL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가입자 망 광대역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비대칭성을 이용한 ADSL 기술이 각광 받고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한 ATM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어 DSLAM 이라 불리우는 엑세스 멀티플렉서 장비의 개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DSLAM 에서 사용할 수 있는 셀 지연 변이를 줄일 수 있는 버퍼 관리 기법과 각 트래픽 클래스의 최대 대역폭을 보장해 줄 수 있는 대역폭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 Node.js를 활용한 웹GIS 서버의 설계와 구현

        전상환,도경태,Jun, Sang Hwan,Doh, Kyoung Tae 한국공간정보학회 2013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1 No.3

        웹GIS는 수년 동안 사용자들에게 효율적이고 정확한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최신 웹기술을 기반으로 발전해왔다. 또한 웹GIS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빠르게 연산 처리하고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성능개선을 지속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서버 개발에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사용하는 이벤트 기반의 비동기식 I/O 처리가 가능한 프레임웍 기술인 Node.js를 활용하여 NodeMap이라고 이름붙인 웹GIS 서버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NodeMap은 기본적으로 OGC 표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웹GIS 서버이다. 이를 위해 공간 인덱스 및 표준 공간쿼리 함수를 지원하는 DBMS를 활용하여 GIS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공간 정보를 타일 맵 위에 렌더링 하기 위해 HTML5 Canvas를 지원하는 Node-Canvas 모듈을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Node.js의 가장 많이 쓰이는 커넥트 모듈 기반의 프레임웍인 Express 모듈을 활용하였다. 구현된 NodeMap은 성능테스트를 통해 향 후 웹GIS 서버개발기술로서 Node.js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서버 개발 기술과 차별화된 기술인 Node.js를 웹GIS 서버 구현에 우선적용 함으로서 향 후 인터넷 GIS 서비스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Web GIS, based on the latest web-technology, has evolved to provide efficient and accurate spatial information to users. Furthermore, Web GIS Server has improved the performance constantly to respond user web requests and to offer spatial information service. This research aims to create a designed and implemented Web GIS Server that is named as Nodemap which uses the emergent technology, Node.js, which has been issued for an event-oriented, non-blocking I/O model framework for coding JavaScript on the server development. Basically, NodeMap is Web GIS Server that supports OGC implementation specification. It is designed to process GIS data by using DBMS, which supports spatial index and standard spatial query function. And NodeMap uses Node-Canvas module supported HTML5 canvas to render spatial information on tile map. Lastly, NodeMap uses Express module based connect module framework. NodaMap performance demonstration confirmed a possibility of applying Node.js as a (next/future) Web GIS Server development technology through the benchmarking. Having completed its quality test of NodeMap, this study has shown the compatibility and potential for Node.js as a Web GIS server development technology, and has shown the bright future of internet GIS service.

      • KCI등재

        Node.js를 활용한 웹GIS 서버의 설계와 구현

        전상환,도경태 대한공간정보학회 2013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1 No.3

        Web GIS, based on the latest web-technology, has evolved to provide efficient and accurate spatial information to users. Furthermore, Web GIS Server has improved the performance constantly to respond user web requests and to offer spatial information service. This research aims to create a designed and implemented Web GIS Server that is named as Nodemap which uses the emergent technology, Node.js, which has been issued for an event-oriented, non-blocking I/O model framework for coding JavaScript on the server development. Basically, NodeMap is Web GIS Server that supports OGC implementation specification. It is designed to process GIS data by using DBMS, which supports spatial index and standard spatial query function. And NodeMap uses Node-Canvas module supported HTML5 canvas to render spatial information on tile map. Lastly, NodeMap uses Express module based connect module framework. NodaMap performance demonstration confirmed a possibility of applying Node.js as a (next/future) Web GIS Server development technology through the benchmarking. Having completed its quality test of NodeMap, this study has shown the compatibility and potential for Node.js as a Web GIS server development technology, and has shown the bright future of internet GIS service. 웹GIS는 수년 동안 사용자들에게 효율적이고 정확한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최신 웹기술을 기반으로 발전해왔다. 또한 웹GIS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빠르게 연산 처리하고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성능개선을 지속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서버 개발에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사용하는 이벤트 기반의 비동기식 I/O 처리가 가능한 프레임웍 기술인 Node.js를 활용하여 NodeMap이라고 이름붙인 웹GIS 서버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NodeMap은 기본적으로 OGC 표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웹GIS 서버이다. 이를 위해 공간 인덱스 및 표준 공간쿼리 함수를 지원하는 DBMS를 활용하여 GIS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공간 정보를 타일 맵 위에 렌더링 하기 위해 HTML5 Canvas를 지원하는 Node-Canvas 모듈을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Node.js의 가장 많이 쓰이는 커넥트 모듈 기반의 프레임웍인 Express 모듈을 활용하였다. 구현된 NodeMap은 성능테스트를 통해 향 후 웹GIS 서버 개발기술로서 Node.js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서버 개발 기술과 차별화된 기술인 Node.js를 웹GIS 서버 구현에 우선적용 함으로서 향 후 인터넷 GIS 서비스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계층적 셀룰라 망에서의 최적 셀 계층 할당 방법

        권태경(Taekyoung Kwon),도경태(Kyungtae Do),최양희(Yanghee Choi)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Ⅲ

        이동 통신 수요의 증가로 인해 주파수의 효율적 이용이 다각도로 연구되고 있다. 하나의 방법으로 여러 셀룰라망이 중첩된 계층적 셀룰라망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계층적 셀룰라망에서는 이동국을 어느 계층에 할당하느냐가 중요한 문제이다. 계층 할당 방법에 따라 핸드오프 횟수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즉 이동 속도가 빠른 단말기는 매크로셀(macrorcell)에 할당시키고 이동 속도가 느린 단말기는 마이크로셀(microcell)에 할당해야 전체 핸드오프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 이동국의 이동 변화(mobility history)에 따라 앞으로 이동국이 얼마나 빨리 이동할지를 추정하고, 이에 따라 셀 계층을 동적으로 할당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기존의 셀 계층 할당 방법들에 비해 전체 핸드오프 횟수가 감소되었음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 2축 편심축력을 받는 정방형 고강도 RC기둥의 극한 변형율에 관한 연구

        박준용 ( Park Jun Yong ),도경태 ( Doh Kyoung Tae ),유석형 ( Yoo Seok Hyung ),신성우 ( Shin Sung Woo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4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8 No.1

        The usage of nigh strength concrete is increased recently. Especially, the material characteristic of high strength concrete is efficiently applied to the column. However, the design code of the RC column is limited to design strength of concrete, 420kgf/㎠; therefore, it needs to be studied more. In fact, the columns are loaded to both axial load and bi-axial bending rather than uniaxial moment. In the ACI(American Concrete Institute) code, the ultimate strain of 0.003 is addopted for uni-axial and bi-axial bending column design. Also, this value does not consider the effect of concrete strength. Using DRAlN-3dx, which is a nonlinear analysis program, the high strength square RC columns subjected to both axial load and bi-axial bending are analyzed, and the ultimate strain of them are evaluated among variables, from the concrete strength 400 kgf/㎠ to 1000 kgf/㎠, in this study.

      • [제4분과/구조거동/재료Ⅱ] 2축 편심축력을 받는 정방형 고강도 RC기둥의 극한 변형율에 관한 연구

        박준용(Park Jun Yong),도경태(Doh Kyoung Tae),유석형(Yoo Seok Hyung),신성우(Shin Sung Woo)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04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 No.-

        The usage of high strength concrete is increased recently. Especially, the material characteristic of high strength concrete is efficiently applied to the column. However, the design code of the RC column is limited to design strength of concrete, 420kgf/cm² therefore, it needs to be studied more. In fact, the columns are loaded to both axial load and bi-axial bending rather than uniaxial moment. In the ACl(American Concrete Institute) code, the ultimate strain of 0.003 is adopted for uni-axial and bi-axial bending column design. Also, this value does not consider the effect of concrete strength. Using DRAIN-3dx, which is a nonlinear analysis program, the high strength square RC columns subjected to both axial load and bi-axial bending are analyzed, and the ultimate strain of them are evaluated among variables, from the concrete strength 400 kgf/cm² to 1000 kgf/cm², in this study.

      • 셀 손실률에 근거한 차별화를 가능케 하는 DSLAM 에서의 셀 스케쥴링 기법

        김창훈(Changhoon Kim),김동균(Dongkyun Kim),도경태(Kyungtae Doh),박장연(Jangyeon Park),박승철(Seungcheol Park),최양희(Yanghee Choi)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Ⅲ

        ATMover xDSL 으로 구성된 광대역 가입자 망을 통하여, ATM 망에 접속하려 할 때에는 DSL 접근 다중화기(Access Multiplexer)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 때 광대역 통합 서비스라는 가입자 망의 기본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DSL 접근 다중화기는 ATM 계층에서의 트래픽 제어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DSL 접근 다중화기에서의 트래픽 제어에 필요한 효율적이고 간단한 셀 스케쥴링 기법을 제안한다. 성능평가를 위한 모의실험에 의하면, 제안된 기법은 각 연결들의 트래픽 기술자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아울러 연결들이 명세한 셀 손실률에 근거한 차별화된 서비스 품질(QoS)을 제공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