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병원 간호사의 소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노지영,하영미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burnout experience in nurses from psychiatric hospitals. The participants were seven nurses who had been working in three psychiatric hospitals in K area for more than one year and who had experienced burnout and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For recruiting participants, nurses who suffering from physical or mental fatigue and helplessness or cynical attitude were recommended from head nurs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ersonal in-depth interviews from July 10 to October 31, 201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ence of psychiatric hospital nurse’s burnout was derived from three categories: ‘closing the mind about the patient’, ‘losing confidence as a nurse’, and ‘ambiguity that can not be solved.’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to prevent and manage burnout of psychiatric hospital nurses.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병원 간호사의 소진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K도에 소재하는 3개 정신병원에 1년 이상 근무하면서 소진을 경험한 자로 연구의 목적을 잘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간호사 7명이다. 소진을 경험하는 간호사를 모집하기 위해서 수간호사를 통해 신체적, 정신적 피로감과 무기력 혹은 냉소적인 태도를 보이는 등의 소진을 경험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간호사를 소개받았다. 2017년 7월 10일부터 10월 31일까지 개인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신병원 간호사의 소진 경험은 ‘환자에 대한 마음의 문을 닫음’, ‘간호사로서 자신감을 잃어감’, ‘해결할 수 없는 모호함’의 3개 범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병원 간호사의 소진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흉관 삽입 후 발생한 피하 기종을 동반한 척추 경막외 기종: 증례 보고

        노지영,유승민,조영아,이상민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10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9 No.5

        Spinal epidural emphysema is rare and has been described secondary to following medical intervention, such as lumbar puncture and epidural analgesia, pneumothorax or pneumomediastinum, degenerative disk disease, epidural abscess, and trauma. Rarely, it occurs after chest tube placement. We report a case of spinal epidural emphysema incidentally noted on HRCT after chest tube placement.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실습 경험에 대한 의미탐구

        노지영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3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upport plan for pre-primary childcare teachers by analyzing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through interviews after childcare practi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 pre-nursing teachers from June to August 2022, and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individual interviews in August after the childcare practice was comple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he played a role as pre-primary childcare teachers and gained practical expertise through childcare practice. Second, despite being pre-primary childcare practice teachers, they found it difficult to perform the role of a homeroom teacher, had an excessive workload, and faced difficulties in guidi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maladaptive behavior. Third, the role of pre-primary teachers was recognized through their growth and practical knowledge cultivation. Fourth, they complained of low job satisfaction and fear of pre-primary childcare teacher positions, and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practical management. Through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listen to the stories of pre-primary teachers who have completed childcare practice, analyze the interview contents to explore their meaning, and provide basic data on ways to support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childcare practice.

      • SCOPUSKCI등재

        청소년의 시험불안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노지영 지역사회간호학회 2005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16 No.4

        The Relation between Test Anxiety and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Purpose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 between test anxiety and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Method: the subjects in J City, who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t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1st to 15th 2005.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0.0 for Window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 Result: The mean score of test anxiety was 2.40 (range: 1.13-3.81) and that of mental health was 2.77 (range:0.64-5.03).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est anxiety and mental health (r=-0.28, p=.000). Test anxie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dolescents' general character such as gender (t=-1.98, p=.048), grade 9F=3.54, p=.030), school life satisfaction (F=10.73, p=.000) and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F=11.60, p=.000). Mental healt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dolescents' general character such as religion (t=2.14, p=.032)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F=4.13, p=.017).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mental health was test anxiety and it, combined with religion, accounted for 9.0% of variance in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Conclusion : Test anxiety and mental health was found to be in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in adolescents.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needs to reduce their test anxiety to improve their mental health.

      • KCI등재

        개인상담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의 수치심과 자기개방의 관계: 자기자비와 자기개념명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노지영,권경인 한국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elf-Compassion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ee’s shame and self-disclosure, and whether such mediating effect would differ depending on the level of Self-Concept Clarity. A total of 373 supervisees who had recently engaged in individual counseling supervision (within the past year), completed a questionnaire probing Shame In Supervision Instrument (SISI), Korean Counselor Nondisclosure Scale (K-CNS), Korean Version of Self-compassion Scale (K-SCS), and Self-Concept Clarity scal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upervisee’s shame, Self-compassion, Self-Concept Clarity, and self-disclosur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Self-compa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ee’s shame and self-disclosure. Third, Self-Concept Clarity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upervisee’s shame on self-disclosure via Self-compass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개인상담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의 수치심이 자기개방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자기자비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 자기개념명확성이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년 안에 수퍼비전을 받은 경험이 있는 수퍼바이지 373명을 대상으로 수퍼바이지의 수치심, 자기자비, 자기개념명확성, 자기개방 수준을 자기보고식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수퍼바이지의 수치심은 자기자비 및 자기개방과 부적상관을, 자기개념명확성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자기자비는 자기개방과 정적 상관을, 자기개념명확성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자기개념명확성은 자기개방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수퍼바이지의 수치심과 자기개방의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매개 효과를 보였다. 셋째,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자비를 매개로 수퍼바이지의 수치심이 자기개방으로 가는 경로가 자기개념명확성의 수준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위해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SNS 이용목적이 온라인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험적 연구

        노지영,주효진 한국자치행정학회 2012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6 No.2

        SNS의 이용목적에 대한 학술적인 측면에서의 연구는 아주 미비한 수준이며, 또한 SNS의 이용목적이 최근 중요한 이슈이면서 키워드로 인식되고 있는 사회자본(social capital)과 어떠한 관계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 역시도 아주 미비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SNS의 다양한 이용목적이 궁극적으로는 사회자본을 확대하는 데 중요한 목적이 있다는 인식하에 현재 SNS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20대 대학생들이 어떠한 이용목적을 가지고 SNS를 활용하고 있고, 또한 온라인 사회자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표출적 사회자본과 도구적 사회자본 뿐만 아니라 온라인 사회자본에 인간관계형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NS를 이용하는 20대 대학생들의 경우에는 인간관계형성을 SNS를 이용하면서 가장 중요시하고 있고, 또한 이러한 인간관계형성을 통해 사회자본이 더욱 확대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획득과 공감형성 차원의 경우에도 인간관계형성이 이루어지고 있으면 더욱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는 SNS 사용자들의 정보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보다 네트워크 형성 측면에서 인간관계를 통한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것이 SNS의 이용목적에서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 KCI등재

        맥락 정보로서 얼굴표정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정서 인식에 미치는 영향

        노지영,정경미,정우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quantitative change in emotional intensity ratings with the addition of contextual informa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Participants in the current study were 20 children with ASD and 2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TD) with their full scale IQ and age matched.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assess the emotional intensity of a single emotion(happy/anger) from images presented under two conditions(context-free and context embedded).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s and conditions in only an anger block. Further analysis revealed that children with TD reported lower intensity of an anger face embedded with happy face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tensity levels for children with ASD inspite of the addition of contextual cues. The results suggests that ASD have impairment in using contextual cues to moderate their assessment of emotional intensity. Clinical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is further discussed. 본 연구는 맥락 정보로서 얼굴표정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아동의 얼굴표정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SD 진단 기준을 충족하는 아동 20명과 이들과 지능, 연령을 매칭한 정상 발달(TD)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참가자들은 ‘기쁨’과 ‘화남’ 목표 얼굴에 대한 정서 강도를 평정하였으며, 각 정서는 두 구획으로 나누어져 역균형화된 순서로 이루어졌다. 각 자극은 목표 얼굴과 맥락 정보로서 얼굴 표정이 일치하는 조건, 일치하지 않는 조건, 그리고 맥락 정보가 없는 조건의 세 조건으로 제시되었고, 모든 조건은 집단-내 변인으로 모든 참가자들에게 무작위로 실시되었다. 실험 결과, 기쁨 구획에서는 집단과 조건 간 상호작용이나 집단의 주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조건에 따른 주효과는 유의하였는데, 참가자들이 불일치 조건보다 일치 조건일 때 정서강도를 더 높게 평가하였다. 화남 구획에서 집단과 조건 사이에 상호작용이 유의하여 조건 별로 집단에 따른 정서 강도 평정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TD 집단은 일치 조건일 때 불일치 조건보다 정서 강도를 더 높게 평정하여 조건 간에 유의미한 수행의 차이가 나타났으나 ASD 집단은 조건 사이에 유의미한 수행의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이 얼굴표정을 인식할 때 맥락 정보로부터 받는 영향은 정서에 따라 다르며, 적어도 화남의 정서에 대해서는 TD 집단에 비해 맥락 정보로부터 받는 영향이 작음을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가 논의되었다.

      • KCI등재

        Van der Waals Interaction between P<sub>4</sub> Molecules: Density Functional Theory Calculations with Dispersion Correction

        노지영,김한철 한국물리학회 2012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0 No.3

        We investigated the structural and the binding properties of tetrahedral P4 molecular pairs by employing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calculations using both the local density approximation (LDA) and the generalized gradient approximation (GGA). To consider the van der Waals interac-tion, we employed the GGA with dispersion correction, speci¯cally Grimme's approach (DFT-D2). This DFT-D2 in conjunction with the GGA (GGA-D2) well ¯xes the failure of the GGA in repro-ducing a reasonable binding energy curve. The binding energy and the equilibrium intermolecular distance are found to be in clos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adjacent atomic pairs between two molecules. Application of the LDA and the GGA-D2 to a molecular crystal ¯-P4 and comparison with experiments con¯rms that the GGA-D2 should be used for a reliable description of P4-based molecular systems. We investigated the structural and the binding properties of tetrahedral P4 molecular pairs by employing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calculations using both the local density approximation (LDA) and the generalized gradient approximation (GGA). To consider the van der Waals interac-tion, we employed the GGA with dispersion correction, speci¯cally Grimme's approach (DFT-D2). This DFT-D2 in conjunction with the GGA (GGA-D2) well ¯xes the failure of the GGA in repro-ducing a reasonable binding energy curve. The binding energy and the equilibrium intermolecular distance are found to be in clos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adjacent atomic pairs between two molecules. Application of the LDA and the GGA-D2 to a molecular crystal ¯-P4 and comparison with experiments con¯rms that the GGA-D2 should be used for a reliable description of P4-based molecular systems.

      • KCI등재

        어머니-유아의 의사소통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노지영,이희선 한국보육지원학회 2017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3 No.2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preschool children’s peer competence mediated by ego resiliency Methods: The data from 318 preschool age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were used for this study. Mothers reported mother-child communication using three subscales from the revised parent-child communication inventory(Barnes & Oslom, 1982). This study used four subscales from the Korea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KPI-C)in order to calculate children’s ego resiliency and used six subscales from the Child Behavior Scales(Ladd & Profile, 1996).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in SPSS 19.0. Results: Positive mother-child communication predicted a higher level of children's ego resiliency and peer competence. Ego resiliency fu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prosocial competence, rejection against peers and insecurity. And positive mother-child communication predicted lower levels of children's aggression, dissociality and irritability. Its association was also mediated by ego resiliency.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a mother's positive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 would enhance children's ego resiliency and peer competence in preschool children. Thus, the efforts to facilitate parents' positive communication skills in parent education can be promising for preschool children's positive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