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아동에서 두통과 우울성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노영일(Young-Il Rho),문경래(Gyoung-Rae Moon),박영봉(Young-Bong Park),양은석(Eun-Seok Yang),박상기(Sang Kee Park),김은영(Eun-Young Kim),박종(Jong Park) 대한소아신경학회 2000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8 No.2

        목적 : 두통은 학동기 아동에서 비교적 흔한 증상으로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성인에서 두통과 우울증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나, 소아기 아동에 있어 두통과 우울증과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본 교실에서는 소아에서 두통과 우울성향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9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광주시내 2개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1,011명(남자:510명 여자:50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두통의 유병율, 발생 빈도와 초발연령, 발생부위, 두통의 양상과 정도, 두통의 발생시기, 두통의 전구 증상과 동반 증상, 두통의 유발인자, 두통의 가족력 등 두통의 치료에 관한 내용으로 작성하였다. 100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한 후 본 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지의 타탕성을 검증하였다. 우울성향을 알아보고자 한국판 Kovasc & Beck의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CDI)을 이용하였다. 결과 : 총 응답자 1011명 중 177명(17.5%)이 두통을 호소하였으며, 남아 87명(17.1%) 여아 90명(18.0%)으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두통군과 대조군에서 평균우울점수는 두통군에서 높았으나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두통군에서 우울점수는 남녀의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성향을 보이지만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두통의 발생시기, 발생 부위, 두통의 정도, 두통의 민도, 지속시간, 가족력, 두통의 발생 양상에 따라 우울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두통의 양상은 박동성인 경우가 둔통인 경우보다 빈도는 높았으나, 우울점수는 둔통인 경우에 높았으며,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하루에서 두통의 발생 시기에서는 학교 가기 전, 학교 수업중에 발생한 두통이 우울점수가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두통의 전조증상으로 "소리가 들리지 않았다" 에서 우울점수가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두통의 유발요인 중에는 날씨가 좋지 않을 때가 우울점수가 높았다(P<0.05). 결론 : 두통은 소아과 진료에서 흔하게 접하는 증상 중에 하나로 두통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있어서 두통과 우울이 관련이 있음을 고려하여 필요하면 정신과적인 치료도 겸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고, 또한 두통과 소아우울증 발생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depression and characteristics of headach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one thousand and eleven children(510 boys and 501 girls) of grades 4 to 6 in Gwangju city during the period from June 1 to June 30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aches and depressive trends was investigated with the Kovasc & Beck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modified for Korean. Result: The prevalence of headache was 17.5%(17.1% among males, 18% among girls). The mean depressive scores in the headache group was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epression scor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sex, and family history of headache. The depression scores did not correlate with the onset, location, severity, frequency, duration, and onset pattern of headache. The mean scores of depression in the dull and tightness pattern(17.46±7.18)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ulsatile and other patterns. The mean scores of depression in the onset time of occurrence of headache were significantly high before school(24.33+5.69), at school(15.66}6.32, P<0.05).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in the aura was significantly high "inaudible(22.00±9.49)" and in the trigger factors was significantly high weather change(16.18±6.85, P<0.05). Conclusion: Based on our analysis,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depressiv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headach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So, we suggested that depressive trends should be evaluated in children with headache.

      • KCI등재후보

        두통이 있는 학생들에서 두통과 관련된 장애와 예측인자:

        노영일(Young Il Rho),주정연(Jung Yeon Joo),정희정(Hee Jung Chung),이건희(Kon Hee Lee),은백린(Baik Lin Eun),은소희(So Hee Eun),남상욱(Sang Ook Nam),김원섭(Won Seop Kim),김영옥(Young Ok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17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5 No.1

        목적: 두통은 학생들이 흔하게 경험하는 신경학적 증상이며, 반복적으로 두통이 있으면 학교 결석이나 학업 및 과외 활동에도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이에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두통에 의한 장애 정도를 평가하고 두통에 의한 장애 예측인자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횡단적 단면 학교 기반 연구로 총 5,039명(남자 2,405, 여자 2,634명)이 참여 하였으며, 나이 범위는 6-18세 이었다. 설문지는 국제두통분류 제 2판에 따라 구성하였고 학교에서 선생님을 통해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결과: 두통이 있는 학생 1,465명 중 이 연구를 위한 질문에 온전히 답한 학생은 666명이었다. Grade 1의 장애를 보인 학생은 88.6%이였으며, 평균 PedMIDAS는 5.11±11.17 이었다. 나이가 들수록 두통에 의한 장애가 더 심해지는 경향이었으며, 16-18세에서 가장 심했다. 편두통이 있는 학생이 다른 두통이 있는 학생보다 두통에 의한 장애가 더 심했다. 두통에 의한 장애 예측인자는 심한 두통(P=0.028, 빈번한 두통(P=0.003), 방문 전 병력이 긴 두통이었다(P=0.008). 결론: 두통에 의한 장애는 나이가 들수록 더 심하였으며, 편두통이 있는 학생이 가장 심했다. 두통에 의한 장애 예측인자는 심한 두통, 빈번한 두통, 방문 전 병력이 긴 두통이었다. Purpose: Headache is a frequent neurological symptom in school aged individuals and recurrent headache has significant disabling effect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that manifest as school absenteeism, decreas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poor academic performance, as shown in previous studies. In Korea, there has not yet been a population-based study of headache-related disabil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e sought to estimate headache-related disability and investigate relevant predictors of disability due to headaches among schoolchildren in South Korea.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school-based study. We surveyed 5,039 (boys 2,405, girls 2,634) students aged 6-18 years. Among 1,465 students with headache, six hundred sixty-six schoolchildren (225 boys, 441 girls) completed all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demographic data, in addition to headache specific questions consistent with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 criteria, 2nd edition. Disability was evaluated using the 6-question Pediatric Migraine Disability Assessment (PedMIDAS). Results: : Six hundred sixty six school children and adolescents (225 boys, 441 girls) among 1,465 students with headaches completed all questionnaires. The percentage of headache sufferers with grade I disability was 88.6%. The mean (±standard deviation) PedMIDAS score was 5.11±11.17. There was a trend towards more severe disability in the older age groups, particularly among the 16 to18 year-olds. Students with migraine had the highest PedMIDAS scores (6.69±10.66) whereas students reporting other types of headache had the lowest scores (3.81±7.52). The predictors of headache-related disability were intensity (P=0.028), frequent headache (P=0.003), and longer duration of symptoms prior to presentation (P=0.008). Conclusion: : A trend towards a more severe disability was observed in the older age group. Schoolchildren with migraine had the most headache-related disability. The predictors for headache-related disability were intensity, frequent headache, and longer duration of symptoms prior to presentation.

      • 학동기 아동에서 변비의 실태와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조성종,안영준,김은영,노영,양은석,박영봉,문경래,Cho, Sung-Jong,Ahn, Young-Jun,Kim, Eun-Young,Rho, Young-Ill,Yang, Eun-Suk,Park, Young-Bong,Moon, Kyung-Ry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2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5 No.1

        목적: 소아에서 변비는 흔한 소화기 증상 중 하나로써, 그 유병률에 대한 보고가 다양하고,원인은 대부분 기능적인 원인으로 정신적 성향, 식이습관, 신체의 활동성, 그리고 배변 훈련 등이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변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일부 초등학교 아동의 변비의 유병률, 원인, 특징 및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0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광주광역시 소재 2개 초등학교 1학년, 6학년 학생 1793명 (남아 830명, 여아 96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학부모의 지도하에 응답하게 하였다. 결과의 분석은 변비의 유병률, 원인, 배변 특징, 관련요인, 그리고 치료 방법에 대해 빈도 분석과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1) 변비의 유병률은 전체 15.4%이고 남아 14.2%, 여아 16.5%였고, 1학년 13.9%, 6학년 17.6%로 남녀의 성비, 연령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변비의 원인은 야채를 적게 먹는 식이 습관 24.8%, 불규칙한 식이 습관 14.6%, 편식 12.5%, 운동부족 11.5%, 학교 화장실을 가기 무서워서 7%, 식욕이 없어서 6.6%, 생우유를 많이 먹어서 6.3%, 물을 적게 마시기 때문 5.9%순이었다. 3) 변비와 연관성을 보이는 관련 인자로는 운동량이 적은 경우 87.0%, 습관적으로 인스턴트 식품이나 기호식품을 먹는 경우 62.5%, 장시간 TV를 시청하는 경우 40.4%, 편식을 하는 경우 30%, 과거력에서 유뇨증이 있는 경우 2.9%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4) 변비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는 관련 인자 중에서 운동량이 적은 경우, 장시간 TV를 시청하는 경우, 편식을 하는 경우, 과거에 유뇨증이 있는 경우가 변비를 일으키는 유의한 위험인자로 작용하였다. 5) 변비의 치료는 27.1%에서 받고 있었고, 그 중 변비약을 이용하여 15.5%, 관장을 이용하여 11.6%로 변비약을 이용한 경우가 더 많았으며, 대다수인 72.9%는 치료를 전혀 받지 않고 있었다. 결론: 학동기 아동에서 변비의 유병률은 높았으나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변비의 관련 인자들을 파악하여 변비의 예방에 힘쓰고,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Constipation in childhood is a significant problem, however, understanding of its epidemiology has been limited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constipation in school-aged children, helping to manage and prevent it. Methods: This cross-sectional, descripsive observational prevalence study included children (2grade, 1st and 6th grade) who were attending two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The prevalence of constipation, associated symptoms, and risk factors were evaluated by questionnaire. A child was considered to be constipated when he or she defecated two or less times per week. Results: The prevalence of constipation was 15.4%.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sexes and grades. Of the causes of constipat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deficiency, frequent intake of convenience food, long-time watching TV, unbalanced diet and enuresis history between constipation and normal group. Especially, long-time watching TV, exercise deficiency, and enuresis history were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of constipation. Only 27.1% of children with constipation were treated by laxative and enema. Conclusion: Even though the prevalence of constipation was high, more than half of them was not treated at all. We should endeavor to educate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to prevent constipation by evaluating the feeding and behavioral habit completely, and treating them properly.

      • SCOPUSKCI등재

        학동기 아동의 비만유병률과 체중조절 실태에 관한 연구

        노영,김강호,양은석,박영봉,박상기,박종,문경래,Rho, Young-Ill,Kim, Kang-Ho,Yang, Eun-Seok,Park, Young-Bong,Park, Sang-Kee,Park, Jong,Moon, Kyung-Ry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0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3 No.2

        목 적: 초등학교 아동에서 체중조절 실태를 조사하고 비만도, 체형인식 정도와 체중조절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무분별한 체중조절에 의한 건강장애 평가를 위한 기본적인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방 법: 1997년 5월부터 1997년 6월까지 광주시내 5개 초등학교 5, 6학년 1,741명을 대상으로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여 비만도를 계산하고 체형인식과 체중조절실태를 설문 조사하였다. 결 과: 1) 비만도를 기준으로 남학생에서는 비만 19.5%, 정상 70.5%, 야윈 경우 10.1%였으며, 여학생에서는 각각 10.5%, 66.3%, 23.1%였다. 설문조사에서 자신의 체형을 비만, 정상, 야윈 경우로 응답한 경우가 남학생는 각각 18.4%, 58.4%, 23.2%이었으며, 여학생는 각각 24.5%, 58.6%, 16.9%이었다. 2) 체형을 인식하는 기준은 체중을 직접 재보고 88.0%, 친구와 비교해서 77.9%, 부모가 뚱뚱하다고 해서 62.7% 등의 순이었다. 3) 체중조절을 위한 정보을 얻은 곳은 라디오. TV 44.%, 책.신문.잡지 30%, 가족.친척 17%, 친구.선배 9%순이었다. 4) 비만도를 기준으로 정상이거나 야윈 남학생의 6.8%, 여학생의 19.4%는 자신이 비만에 속한다고 응답하였으며, 비만도를 기준으로 비만인 남학생의 32.6%, 여학생의 28.7%는 자신이 정상 체중에 속한다고 응답하여 여학생이 비만에 대해 더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5) 비만도를 기준으로 남학생에서는 야윈 경우 18.0%, 정상 18.7%, 비만아의 36.7%에서, 여학생에 서는 야윈 경우 17.8%, 정상 22.4%, 비만아의 46.3%에서 한가지 이상의 체중조절 방법을 2주 이상 하였다(p<0.0005). 6) 실제체중이 정상 이하인데 정상이라고 인식하는 아동의 17.3%, 비만하다고 인식하는 아동의 37.2%에서 2주 이상 계속 한가지 이상의 체중조절을 하였다(p<0.001). 결 론: 학동기 아동에서 심지어 야윈 경우에서조차 체중조절 방법을 실시하고 있어 무분별한 체중 조절로 인하여 성장장애, 영양결핍 등의 문제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이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적절한 보건교육의 도입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prevalence of obesity by the standard weight for height and the relationship of the body image to dieting methods for weight control in children. Methods: The survey was performed by an anthropometry and a special questionnaire on children in grades 5 to 6 at elementary schools from May to June 1997 in Kwangju city. Results: 1) Selected individuals were categorized into obese, normal, thin by the standard weight for height and body image. The prevalence of obesity by the standard weight for height was 19.5%, normal was 70.5%, thin was 10.1% in males and respectively 10.5%, 66.3%, 23.1% in females.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regards to body image was 18.4%, normal was 58.4%, thin was 23.2% in males and respectively 24.5%, 58.6%, 16.9% in females. 2) The obese body image was 6.8% in normal and thin groups in males and 19.4% in females. The body image of obese children who do not perceive themselves as obese was 32.6% in males and 28.7% in females. 3) The standard body image was 88.8% as realized by themselves, 77.9% when they compared themselves to friends, 62.7% as told by parents, 56.8% as told by friends, and 29.9% when they compared themselves to celebrities. 4) The source of information for dieting treatment was 44% from radio and television, 30% from books, newspapers, magazines, 17% from family and 9% from friends and seniors. 5) The prevalence of dieting according to the standard weight for height was 18.0% in thin, 18.7% in normal and 36.7% in obese group in males and respectively 17.8%, 22.4%, 46.3% in femal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les and females (p<0.0005). 6) The prevalence of dieting up to 2 weeks in the thin and normal groups as recognized by weight centile was 17.3% according to body image. The prevalence of dieting up to 2 weeks in the obese groups was 37.2% according to body image (p<0.001). Conclusion: We suggest that many students perceived their body size incorrectly and tried weight control. The incorrect perception of body size seems to cause the problem of failure to thrive, malnutrition etc. It is necessary for further study to find and prevent side effects by unnecessary weight control and to provide proper health education and management about obesity.

      • 비씨지 접종부위에 심한 궤양과 육아종을 보인 고면역글로불린 E 증후군 1례

        노정아,노영,문경래,박영봉,양은석,Rho, Jeong A,Rho, Young Il,Moon, Kyung Rye,Park, Young Bong,Yang, Eun Seok 대한소아감염학회 2003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0 No.1

        Hyperimmunoglobulin E syndrome(HIES) is a primary immunodeficiency characterized by severe recurrent soft-tissue infections, pneumonias, pruritic dermatitis and markedly elevated serum IgE levels. Pneumatocele and empyema develop as result of recurrent pneumonias. It is inherited in an autosomal dominant fashion, with variable expressivity. We experienced the case of a 10 month old girl with hyper IgE syndrome. Patient was admitted for local ulceration and muscle soreness at the site of BCG inoculation. The diagnosis of hyper IgE syndrome was made because she had a coarse facial appearance, pruritic dermatitis, pneumatocele and markedly elevated serum IgE level with a past history of frequent skin abscess and pneumonia.

      • KCI등재후보

        림프세포증식성 질환에서 효과를 보인 부분적 비동맥 색전술 1례

        김미진,노영,양은석,문경래,Kim, Mi Jin,Rho, Young Il,Yang, Eun Seok,Moon, Kyung Ry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4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7 No.1

        저자들은 간 이식 후 지속적 비기능 항진에 발생된 내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림프세포증식성질환의 6세된 남아에서 부분적 비동맥 색전술을 치료의 한 방법으로 선택하였다. 비기능항진의 억제 효과로 면역력 증강을 통해 혈액학적 호전을 유도하고자 하였으며 치료 후 PTLD의 호전을 보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osttranplantations lymphoproliferative disease (PTLD) is a common and life-threatening complication for soid organ transplantation associated with the use of chronic immunosuppression and Epstein-Barr virus. There is no standardized treatment algorithm, but numerous management strategies are vaiable. Partial splenic embolization (PSE) had been demonstrated to be an effetive alternatie to splenectomy for patients hypersplenism and portal hypertension. PSE has the advantages of non-invasive intervention and resolution of the complications of hypersplenism. We report the effect of the PSE in a 6-year old male liver transplantation recepient with PTLD who has undergone persistent hypersplenism post-transplant. We reduced immunosuppression agent, started antiviral agent. We started with interferon and IV globulin one month after admission. Hepatosplenomegaly and cervical lymphadenopathy were improved. But fever was not subside. We selectively embolized the lower pole of the spleen to achieve a 50~60% reduction in flow as determined by angiography. After embolization, fever subside and peripheral blood findings were improved. Follow up abdominal CT revealed reduced volume of spleen due to ischemic change and there was no multiple enlarged mesenteric lymphnode compared to preembolization state. We thick that PSE is a safe an effetive treatment modality of PTLD with persistent hypersplenism in patients twho failed to medical treatment.

      • KCI등재

        비특이적 소견을 보이는 3세 이하의 발열 환아에서 세균성 감염의 예측 인자 : 백혈구 수, 적혈구 침강 속도, C-반응성 단백질

        노정아,노영,양은석,김은영,박영봉,문경래,Nho, Jeong A,Rho, Young Il,Yang, Eun Seuk,Kim, Eun Young,Park, Yeong Bong,Moon, Kyung Rye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8

        목 적 : 저자들은 발열을 주소로 입원한 3세 이하의 소아에서 초기 총 백혈구 수, 적혈구 침강 속도, C-반응성 단백질 정량적 검사를 통해 민감도와 특이도가 최대치에 이르는 수치를 차단점으로 선택하여 세균성 감염의 고위험군을 예측하고 항생제 치료의 지표로 삼고자 연구를 하였다. 방 법 : 2001년 6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조선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발열을 주소로 입원치료 하였던 환아 중 진찰 소견에서 발열에 대한 원인을 발견할 수 없었던 1개월에서 36개월 사이의 71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대상 환아들을 세균성 감염과 비세균성 감염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진단 기준의 양성 예측치와 우도비를 계산하고 민감도와 특이도가 최대치에 이르는 수치를 차단점(cut-off point)으로 선택하여 그 수치에서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조사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총 71명(남아 44명, 여아 27명)이고, 평균 연령은 12.7개월이었다. 세균성 감염인 경우는 20례(28%)이었으며, 요로 감염 12례, 세균혈증 5례, 뇌막염 3례 순이었다. 감염균은 E.coli 6례, K.pneumoniae 3례, E. faecalis 3례, Streptococcus ganguinis 3례, Salmonella 2례, S.aureus 1례,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1례, Streptococcus constellatus 1례였다. 총 백혈구 수, 적혈구 침강 속도, C-반응성 단백질은 세균성 감염군과 비세균성 감염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8, 0.009, 0.002). 양성예측치와 우도비는 총 백혈구 수는 20,000/mm^3$ 이상에서 75%, 7.65이었으며, 적혈구 침강 속도는 30-50 mm/hr에서 60%, 3.83이었다. C-반응성 단백질의 양성 예측치와 우도비는 3-6 mg/dL에서 63%, 4.25이었다. 민감도와 특이도가 최대치에 이르는 수치는 총 백혈구 수 $20,000/mm^3$, 적혈구 침강 속도 30 mm/hr, C-반응성 단백질 3.0 mg/dL이었으며, 이 값에서의 민감도는 각각 75%, 79%, 83%, 특이도는 75%, 68%, 77%이었다. 결 론 : 비특이적 소견을 보이는 3세 이하 발열 환아에서 차단점을 총 백혈구 수 20,000/mm^3$, 적혈구 침강 속도 30 mm/hr, C-반응성 단백질 3.0 mg/dL으로 적용할 때 세균성 감염에서 선택적 치료 방침을 세울 수 있게 되리라 생각된다. Purpose : Our examination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diagnostic properties of the cutoff point for the prediction of bacteremia in febrile children less than 3 years of age. Cutoff point is the value that simultaneously maximizes bot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Methods :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febrile children, less than 3 years of age, who clinically have no identifiable source of fever. Peripheral blood leukocyte count(WBC), absolute neutrophil count(ANC),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ESR) and C-reactive protein(CRP) were measured at the same time. All patients received blood culture, urine culture and/or CSF culture. Bacterial infection was defined as single pathogen isolated from the CSF or blood or a urinary tract infection (UTI). Patients were dichotomized into two groups : those with bacterial infection and no bacterial infection.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in the two groups. Results : Seventy-one patients(44 males; 27 females) were enrolled in the study. Twenty patients (28%) had a serious bacterial infection(twelve urinary tract infection, five bacteremia, three meningitis) and fifty-one(72%) had no serious bacterial infection. WBC, ESR and CR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P<0.05). The cutoff point of WBC, ESR and CRP were $20,000/mm^3$, 30 mm/hr and 3.0 mg/dL, respectively.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ach cutoff point were WBC(75%, 75%), ESR(79%, 68%) and CRP(83%, 77%), respectively. Conclusion : These data show the ability of predictors to identify febrile children less than 3 years of age with bacterial infection. Febrile children who reach the cutoff point must be treated intensively and those who do not reach the cutoff point can be carefully managed without administering antimicrobial agents.

      • KCI등재

        Perinatal Varicella Infection 1례

        노정아,노영,김은영,박상기,Rho, Jeong A,Rho, Young Il,Kim, Eun Young,Park, Sang Kee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0

        저자들은 분만 10일 전 herpes zoster 진단받은 산모에서 출생한 환아에서 피부 병변 없이 신경학적 이상 증세만을 보이는 perinatal varicella infection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Maternal varicella resulting in viremia may transmit the virus to the fetus by either transplacental spread, or by ascending infection from lesion in the birth canal. The characteristic symptoms consist of skin lesions in dermatomal distribution, eye diseases, neurological defects, and limb hypoplasia. Varicella of the newborn is a life-threatening illness that may occur when a newborn is delivered either within five days of the onset of the illness or after postdelivery exposure to varicella. The severity of neonatal disease is dependent upon the timing of maternal illness. The clinical approach to varicella of newborns should emphasize prevention. Our patient was the first child of a 31-year-old mother who had varicella-zoster ten days before delivery. The child showed muscular hypotonia, poor feeding but no skin lesions.

      • KCI등재후보

        소아 비만에서 Leptin과 골대사의 연관성

        김은영,노영,양은석,문경래,박상기,박영봉,이영화,Kim, Eun Young,Rho, Young il,Yang, Eun Seok,Moon, Kyung Rae,Park, Sang Kee,Park, Yeong Bong,Lee, Young Hwa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6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9 No.2

        목 적: 체중과 지방량이 골밀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비만아에서는 지방 조직에서 합성 분비되는 leptin이 증가되는데, 증가된 leptin이 비만아의 골 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연구를 하였다. 방 법: 2005년 11월부터 2006년 5월까지 조선대학교병원 외래를 방문한 50명의 남자(비만아 25명, 정상 체중의 대조군 25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체질량 지수, 체지방률, 삼두박근 피부주름 두께와 견갑골하 피부주름 두께를 측정하고 혈청 leptin과 골대사 지표인 B-ALP, CICP 및 total DPD 농도를 검사하였다. 비만군과 대조군의 신체 계측, leptin 및 골대사 지표 농도를 비교하고, leptin과 골대사 지표와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결 과: 비만군에서 체질량 지수(r=0.551, p<0.05), 체지방률(r=0.584, p<0.05)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Leptin은 골형성 지표인 B-ALP (r=-0.613, p=0.026) 및 CICP (r=-0.583, p=0.037)와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그러나 골흡수 지표인 total DPD (r=0.103)와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대조군에서 leptin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인자는 없었다. 골대사에 영향을 주는 체중을 통제하고 상관성을 알아본 결과에서도 비만군에서 leptin은 B-ALP (r=-0.728, p=0.007) 및 CICP (r=-0.684, p=0.014)와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total DPD와는 연관성이 없었다. 대조군에서는 leptin과 연관성 있는 골대사 지표는 없었다. 비만군에서 골대사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다중 단계별 회귀 분석을 시행한 결과 종속변수인 B-ALP는 leptin과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Y=-39.653X+356.341, p=0.026), CICP도 leptin과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Y=-13.437X+116.013, p=0.037). 결 론: 비만아에서 leptin은 골형성 지표인 B-ALP 및 CICP와 음의 상관성이 있었으며, 골 흡수가 아닌 골 형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leptin on biochemical markers of bone metabolism in childhood obesity. Methods: A total of 50 male children (25 obese and 25 controls) were recruited from the pediatric outpatient clinic at the Chosun University Hospital from November 1st 2005 to May 30th 2006. BMI, body fat percentage, serum leptin, bone-specific alkaline phosphatase (B-ALP), C-terminal propeptide of type 1 collagen (CICP), total deoxypyridinoline crosslinks (total DPD) were measured. The correlations of leptin with BMI, body fat percentage, B-ALP, CICP, total DPD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In a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leptin after correction for body weight was evaluated if there was a correlation with biochemical markers of bone formation and resorption respectively. Results: The leptin levels of the obes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12). In the obese group, the leptin level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BMI (r=0.551, p=0.01) and the percentage of body fat (r=0.584, p=0.018). In the obese group, of bone markers, B-ALP (r=-0.613, p=0.026) and CICP (r=-0.583, p=0.037)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leptin. B-ALP (r=-0.728, p=0.007) and CICP (r=-0.684, p=0.014)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leptin when corrected for body weight. In the control group, bone markers were not correlated with leptin. In the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ptin and B-ALP (Y=-39.653X+356.341, p=0.026), CICP (Y=-13.437X+ 116.013, p=0.037) respectively in the obese group. Conclusion: Leptin was a significant factor in the bone formation but not in bone resorption in childhood obesity.

      • KCI등재

        출생시 진단된 Craniofrontonasal Dysplasia 1례

        노정아,노영,문경래,박영봉,박상기,김은영,Rho, Jeong A,Rho, Young Il,Moon, Kyung Rye,Park, Young Bong,Park, Sang Kee,Kim, Eun You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0

        저자들은 신생아에서 사두증, 좌측 전두부의 돌출, 우측 전두부의 후퇴, 양안 격리증, 넓은 비근과 비첨부의 분열, 경한 발가락의 기형과 뇌량 무형성증을 보인 craniofrontonasal dysplasia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Craniofrontonasal dysplasia(CFND), a rare congenital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varying degrees of frontonasal dysplasia, craniosynostosis, and variable extracranial abnormalities. It was first reported by Cohen in 1979. The inheritance pattern is not straightforward. Although all modes of Mendelian inheritance have been suggested, the most plausible explanation is that this is an X-linked condition with the unusual situation of complete expression in females, and minimal to no expression in males. In our case, CFND was diagnosed in a female neonate who had unilateral coronal craniosynostosis, frontal bossing, orbital hypertelorism, broad nasal root, clefting nasal tip, corpus callosum agenesis and mild extremity abnorma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