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평가의 정확도와 수행 및 개인특성 간의 관계

        노연희,손영우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4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f-assessment accuracy on individual performance. The self-assessment accuracy was defined as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self- and other-assessments. A total of 158 subjects assessed themselves and others in their groups on the extent to which they actively participate in their group-based task. Following the method of Atwater and Yammarino (1997),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Individuals assessed as high by self and others, low by self and others, high by self and low by others, and low by self and high by others were categorized as in-agreement/high assessors, in-agreement/low assessors, over-estimators, and under-estimators, respectively. To test the hypothesis that in-agreement/high assessors will show greater performance than in-agreement/low assessors, over-estimators, and under-estimators, one-way ANOVAs and post-hoc analysies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in-agreement/high assessors showed greater performance (i.e., final record) than in-agreement/low assessors and over-estimators, and so the hypothesis was partially supported. In addition, this study tested the hypotheses that in-agreement/high assessors will show better indices in such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internal locus of control, self-esteem, self-efficacy, conscientiousness, and neuroticism than in-agreement/low assessors, over-estimators, and under-estimators. The results showed that in-agreement/high assessors showed higher self-efficacy and conscientiousness than in-agreement/low assessors, and so the hypotheses were partially supported.

      • 비영리스타트업에 대한 사회적 관심 제고와 생태계 확장을 위한 조사연구

        노연희,이상균,김소영,오양래,조상욱,손호석,박지명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문화연구소 2019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문화연구소 연구보고서 Vol.2019 No.5

        비영리스타트업에 대한 사회적 관심 제고와 생태계 확장을 위한 조사연구는 국내 비영리영역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은 신생 비영리조직들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론적 검토를 통해 비영리스타트업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국내외의 지원 현황과 사례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초점집단면접과 설문조사 등을 통해 국내 비영리스타트업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비영리스타트업 지원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2020 기부 트렌드 - 지나간 10년, 다가올 10년

        노연희,박미희,노법래,전현경,유재윤,강수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문화연구소 2020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문화연구소 연구보고서 Vol.2019 No.9

        2020 기부 트렌드에서는 지난 10년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기부와 모금 트렌드를 예측해보았다. 지난 10년 간 기부의 성장기를 지나 안정기에 접어든 것으로 보이며, 신뢰와 투명성에 관한 이슈가 끊임없이 이어졌다. 전통적인 자선영역을 넘어 새로운 분야로의 기부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다양한 매체와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부방식과 콘텐츠도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신뢰, 기부태도 및 기부행위간의 구조적 관계

        노연희,정익중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0 사회복지연구 Vol.51 No.2

        Trust in the nonprofit sector is critical to individual donation. In order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giving behavior and trust, this study seek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trust, trust in the nonprofit sector, attitude toward giving, and giving behavior. To this end, data from 2,011 adults aged 19 or older in the Beautiful Foundation's 2018 Giving Korea survey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as follows. First, although general social trust did not directly affect giving behavior, it indirectly influenced giving behavior mediated by trust in the nonprofit sectors. Second, attitude toward giving not only directly affected giving behavior, but also indirectly mediated by trust in the nonprofit sectors. Finally,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ing trust and promoting donation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개인의 기부행위와 신뢰간 관계에 대해 심층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일반적 사회신뢰와 비영리부문에 대한 신뢰, 기부에 대한 태도, 개인의 기부행위 간의 영향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름다운재단의 2018년 기빙코리아 조사자료의 19세 이상 성인 2,011명을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사회신뢰는 기부행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비영리부문에 대한 신뢰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이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둘째, 기부에 대한 태도가 기부행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비영리부문에 대한 신뢰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사회적 신뢰뿐만 아니라 비영리부문에 대한 신뢰를 제고하고 기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졸취업자의 지각된 과잉자격이 자존감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노연희,장재윤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19 No.1

        지각된 과잉자격이 대졸 취업자의 자존감과 정신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종단 연구를 수행하였다. 1차 시점에서 인구통계학적 변인, 자존감 및 정신건강의 기저선을 측정하였고, 약 1년이 경과된 후 취업자의 지각된 과잉자격, 자존감, 그리고 정신건강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1차 시점에서 측정된 자존감 및 정신건강의 기저선을 통제하였을 경우, 지각된 과잉자격이 자존감 및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취업 집단을 분석에 포함시켜 과잉上 집단과 과잉下 집단을 비교한 결과, 과잉上 집단과 미취업 집단은 과잉下 집단보다 재학 시(T1)와 졸업 후(T2) 모두 낮은 긍정자존감을 보였고, 높은 부정자존감을 나타냈다. 긍정자존감은 세 집단 모두 T1과 T2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과잉下 집단만이 T1보다 T2에서 부정자존감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집단은 T1 시점에서 GHQ-우울·불안 점수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T2 시점에서는 과잉上 집단과 미취업 집단이 과잉下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과잉上 집단과 미취업 집단은 시간경과 후 GHQ-우울·불안이 더 심해졌고, 과잉下 집단은 GHQ-우울·불안의 수준이 더 낮아졌다. GHQ-부적응의 경우 T1과 T2 시점에서 과잉上 집단과 미취업 집단이 과잉下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GHQ-부적응은 과잉下 집단만이 시간경과 후에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불완전고용의 측정

        노연희,김명언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불완전고용을 심리학, 경제학, 사회학에서 중시해온 임금, 사회적 지위, 기술활용도 및 고용의 안정성 측면을 포괄하여 다각적으로 측정하고, 각 측정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는 종단으로 설계되어 2회의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1차 조사 시점에서 실업 후 미취업 상태에 있었으나 2차 조사 시점에서는 재취업한 153명으로부터 자료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불완전고용의 측정치는 크게 사회․경제적 측정치 다섯 개와 심리적 측정치 두 개로 나뉜다. 첫 번째 사회․경제적 측정치는 ‘임금변화비’로 재취업자의 실직 전 임금을 기준으로 한 현재 임금의 변화 비율(현재 임금/실직 전 임금), 두 번째는 ‘OES임금격차비’로 재취업자가 속한 직종의 평균 임금을 기준으로 한 현재 임금의 비율(현재 임금/동일직종 평균임금), 세 번째는 ‘지위변화비’로 재취업자의 실직 전 직업지위 점수를 기준으로 한 현재의 직업지위 변화 비율(현재 직업지위/실직 전 직업지위), 네 번째는 ‘학력격차비’로 현재의 직업에 요구되는 학력을 기준으로 한 개인의 실제 보유학력의 비율(요구학력/실제학력)이며, 다섯 번째는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 고용형태가 변화했는지의 여부로 측정하였다. 심리적 측정치는 자기보고 방식의 지각된 과잉자격 척도로 개발되었고, ‘성장가능성부재’와 ‘자격불일치’라는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이상의 일곱 개 척도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두 개의 심리측정치와 지위변화비 및 학력격차비 간에는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으나, 심리측정치와 임금변화비 및 OES임금격차비는 관련성이 없었다. 이 같은 결과는 임금과 심리 측정치가 각각 배타적인 영역을 측정하는 반면, 심리 측정치와 지위변화비 및 학력격차비가 측정하는 영역에는 교육 및 기술활용도 측면에서 공통 요소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 KCI등재

        고용상태에 따른 심리적 안녕의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성취프로그램 수료자들을 대상으로

        노연희,김명언,장재윤,장재윤,김민수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chang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employment status(unemployment vs. temporary employment vs. permanent employment). For this study, 434 participants experienced intervention program, `Achievement` for unemployed people were surveyed three time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asked to respond the follow-up questionnaires measuring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unemployed and the reemployed in negative emotion(anxiety, depression, hostility) and self-evaluation(self-esteem and jobseeking self-efficacy) level: 2) The temporary employees were higher in level of anxiety and depression than the permanent employees. In addition to that, the temporary employees were lower in level of self-esteem and jobseeking self-efficacy than the permanent employee and even the unemployed: 3)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for the males the unemployed experienced much more anxiety than the permanent employees, but for the females the temporary employees experienced much more depression than the permanent employees and the unemployed.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