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폴리프로필렌 섬유보강 고유동 콘크리트의 역학적 및 건조수축 특성

        노경희,성찬용,Noh , Kyung-Hee,Sung , Chan-Yong 한국농공학회 2004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46 No.5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te mechanical and drying shrinkage properties of polypropylene fiber reinforced high flow concrete.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drying shrinkage ratio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binder volume ratio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polypropylene fiber. The splitting tensile strength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binder volume ratio and the content of polypropylene fiber. The flexural strength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binder volume ratio and increased by the polypropylene fiber content 0.4%, but above the polypropylene fiber content 0.6% was decreased. This concrete can be used for high flow concrete.

      • KCI등재

        폴리프로필렌 섬유보강 고유동 콘크리트의 유동 특성

        노경희,성찬용,Noh, Kyung-Hee,Sung, Chan-Yong 한국농공학회 2004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46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flow properties of polypropylene fiber reinforced high flow concrete. Test results were showed that the slump, slump flow and L-type compacting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polypropylene fiber. But, the Box-type passing and air content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polypropylene fiber. The slump was $25.5{\sim}27.5cm$, the slump flow was $60{\sim}65cm$, the Box-type passing was $2{\sim}6cm$, the L-type compacting was excellent and air content was $2.7{\sim}3.2cm%$ by the polypropylene fiber content 0.2%, respectively. This concrete can be used for high flow concrete.

      • KCI등재후보

        순천만으로 (順天滿) 유입되는 동천과 (東川) 이사천의 (伊沙川)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群集) 종조성과 (種組成) 동태

        노경희,김종홍,정영철 ( Kyung Hee Noh,Jong Hong Kim,Young Cheul Chung ) 한국하천호수학회 1991 생태와 환경 Vol.24 No.3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were seasonally investigated on Dong Cheon and Isa Cheon flowed into in Suncheon Bay during the periods from May, 1990 to May, 1991. As a result, 128 taxa were identified, comprising of 5 phyla, 6 classes, 10 orders, 23 families, 54 genera, 117 species, 6 varieties, 1 form and 3 unidentified species. The composition of occurrence species were as follows: diatoms are 78%, green algae are 11%, blue green algae are 7% and etc. Dominant species were Melosira grenulata, Melos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Melosira varians, Fragilaria capucina, Navicula cryptocephala, Cymbella tumida, Cymbella ventricosa, and Nitzschia palea. The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community varied from 55,000 to 8,015,000 cells/l. Seasonal variation of standing crops appeared increase in spring and peak in summer.

      • SCOPUSKCI등재

        난소절제 흰쥐에서 신령버섯의 β-Glucan과 난각 Ca 복합체가 골 대사에 미치는 효과

        노경희,장지현,김진주,박철우,김정옥,김재철,송영선,Noh, Kyung-Hee,Jang, Ji-Hyun,Kim, Jin-Ju,Park, Cherl-Woo,Kim, Jeong-Ok,Kim, Jae-Cherl,Song, Young-S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10

        본 연구는 칼슘 급원으로서 $\beta-glucan-egg$ shell calcium complex($\beta-glucan-Ca$ 복합체)의 유효성을 확인하여 칼슘 보충제 개발에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신령버섯에서 추출한 $\beta-glucan$과 난각의 Ca을 결합시켜 $\beta-glucan-Ca$ 복합체로 제조하여 골다공증 실험동물에서 $\beta-glucan$ 및 $\beta-glucan-Ca$ 복합체가 골 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10주령의 Sprague-Dewley 암컷 흰쥐의 양쪽 난소를 절제(OVX)한 후 실험식 이를 급여하였으며 Sham-대조군(Sham-C)은 실험군과 동일한 스트레스를 주기 위해 난소를 절제하지 않고 개복수술만 실시한 후 실험하였다. 식이조성은 Sham-C, OVX-대조군(OVX-C)와 $OVX-\beta-glucan$군(OVX-G)은 $CaCO_3$로 Ca 함량이 0.5%가 되도록 조정하였으며, OYX-G군은 $\beta-glucan$을 첨가하여 제공하였다. $OVX-\beta-glucan-Ca$ 복합체군(OVX-GE)은 $\beta-glucan-Ca$ 복합체의 Ca 농도가 0.5% 함유하도록 조정하여 실험식이를 각각 조제하여 6주간 급여하였다. 체중 100 g당 건조시킨 대퇴골의 무게는 Sham-C>OVX-GE>OVX-C와 OVX-G의 순으로 나타나 $\beta-glucan-Ca$ 복합체를 제공한 OVX-GE에서 다른 OVX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골 무게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퇴골의 골밀도는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Sham-C에 비해 $\beta-glucan$을 첨가한 식이를 제공받은 군에서 골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고 특히 OVX-GE에서 가장 높은 골밀도를 보였다. Ca체내 흡수율과 보유량은 각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OVX-C가 Sham-C에 비해 높았으며 OVX군에서는 $\beta-glucan$를 첨가한 군이 높은 수준을 보였다. ALP의 활성은 OVX군에서는 $\beta-glucan$을 첨가한 군이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요 중의 골 흡수 지표인 DPD crosslink value는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OVX군의 DPD crosslink value가 Sham-C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OVX군의 골 흡수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OVX군에서 $\beta-glucan$을 첨가한 식이를 제공한 OVX-G와 OYX-GE의 DPD crosslink value가 OVX-C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으며 $\beta-glucan$이 난소 절제 흰쥐 모델에서 골 대사에 영향을 미쳐 골 흡수율을 낮추어 골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비록 $\beta-glucan$을 제공한 군과 $\beta-glucan-Ca$ 복합체를 제공한 두 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난소절제 흰쥐모델의 골 대사에서 $\beta-glucan-Ca$복합체 형태가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앞으로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beta-glucan-Ca$ 복합체 형태의 효과적인 농도는 계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garicus blazei $\beta-glucan$ and egg shell calcium complex on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OVX) rats. Forty Sprague-Dewley female rats, 10 weeks of age $(248{\pm}1.7g)$,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fed on the experimental diets for 6 weeks: sham operated control treated with normal diet containing 0.5% calcium (Sham-C), OVX-control treated with normal diet containing 0.5% calcium (OVX-C), $OVX-\beta-glucan$ group treated with $\beta-glucan$ diet containing 0.5% calcium (OVX-G), and $OVX-\beta-glucan$ egg shell calcium complex treated with $OVX-\beta-glucan$ egg shell calcium complex containing 0.5% calcium (OVX-GE). Bone weight of femur was higher in the OVX-GE group than in the other OVX groups. Bone mineral density of femu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and showed the highest level in the OVX-GE group. Calcium absorption rate and retention were higher in the $\beta-glucan$ supplement groups than in the other groups (p<0.05).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and osteocalcin levels of serum showed lower in the $\beta-glucan$ supplement groups than in the OVX-C group. Deoxypyridinoline crosslink values of urine, indicator of bone absorption, showed the lowest in the OVX-GE group. The $\beta-glucan$ supplemented groups had a lower bone resorption ratio than in the OVX-C group. We concluded that bioavailability of calcium is higher in $\beta-glucan$ supplement groups compared to those in OVX rats. From the above results, these findings suggest the possibility of using $\beta-glucan$ egg shell calcium complex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related to bone metabolism, even though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beta-glucan$ and $\beta-glucan-egg$ shell calcium complex supplementation.

      • KCI등재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에서 녹차씨껍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세포부착물질 및 염증매개인자 생성 억제효과

        노경희(Kyung-Hee Noh),김종경(Jong-Kyung Kim),송영선(Young-Sun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5

        본 연구는 TNF-α로 자극된 HUVEC에서 녹차씨껍질 EtOAC 추출물이 초기 동맥경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염증매개인자와 세포부착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녹차씨껍질 EtOAC 추출물의 NO 생성능은 TNF-α만을 처리한 control군에 비해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00 ㎍/mL 농도에서는 녹차씨껍질 EtOAC 추출물은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염증매개인자인 TNF-α 수준 및 세포부착물질인 VCAM-1과 MCP-1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뿐만 아니라, 녹차씨껍질 EtOAC 추출물은 총 항산화능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녹차씨껍질 EtOAC 추출물은 HUVEC에서 TNF-α로 인한 총 항산화능의 수준을 향상시켜 염증생성인자인 TNF-α 수준 및 세포부착물질인 VCAM-1과 MCP-1의 생성을 억제하여 동맥경화 초기반응을 억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Anti-atherogenic effects in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stimulate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 are involved with suppressed oxidative stress, cell adhesion molecules, and pro-inflammatory facto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green tea seed coat ethyl acetate fraction (GTSCE) could modulate cell adhesion molecules and inflammatory mediators in HUVEC stimulated with TNF-α. Nitric oxide (NO)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NF-α-stimulated HUVEC compared to TNF-α only treated cells. The NO that is produced by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dilates blood vessels and has protective effects against platelet and leucocyte adhesion. GTSCE at 25, 50, 75, and 100 ㎍/mL significantly (p<0.05) reduced TNF-α production. GTSCE significantly (p<0.05) inhibited soluble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level, in a dose-dependent manner.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level was also significantly (p<0.05) inhibited by GTSCE treatment at 75 ㎍/mL compared to the TNF-α-only treated group. Total antioxidant capacity by GTSCE was significantly (p<0.05) enhanced compared to the TNF-α-only trea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GTSCE can inhibit the production of cell adhesion molecules and inflammatory mediators and could be used as a candidate bioactive material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 KCI등재

        한국인 상용 가공식품의 trans 지방산 이성체

        노경희(Kyung-Hee Noh),원미숙(Mee-Sook Won),송영선(Young-Sun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3

        한국인의 상용 가공식품 중 trans 지방산 함량이 많고 섭취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41종을 선정하여, trans 지방산 이성체의 종류 및 함량을 GC/M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HP-23cis/trans FAME capillary column을 사용하였으며, 검출된 peak의 동정은 GC/MS spectrum을 검색하여 동일분자량 여부로 확인하였다. 마가린류는 trans 지방산 함량이 지방 100g당 4.75~25.21 g으로 다양한 수준을 보였다. 마가린의 주요 trans 지방산 이성체는 C18:1△9t로 모든 마가린에서 검출되었으며 1.10~14.53%의 범위였다. C18:2t의 총 함량은 2.02~7.91%의 범위로 다양하였으며, C18:3t는 0.33~1.39%의 수준이었다. 유지류의 trans 지방산 함량은 지방 100 g당 5.40~16.55 g의 범위였으며, 대두유에서는 C18:1△9t가 0.95%로 가장 높았으나, 옥수수유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쇼트닝은 3.1~5.1%로 1.6~4.3%인 라드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우유 및 유제품에서는 C16:1△9t, C18:1△9t, C18:2t 및 C18:3t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양념류인 마요네즈에서는 C16:1△9t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4.93%의 trans 지방산이 검출되었다. 과자류 중 trans 지방산 함량이 현저하게 높은 팝콘(48%)에서 C16:1△9t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C18:1△9t는 36%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빵류에서는 C18:1△9t가 trans 지방산 이성체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냉동피자의 C18:1△9t 함량은 30%를 초과하는 높은 함량을 보였다. 슈크림빵은 높은 C18:2t 함량을 보였으며(8.26%), 불고기버거와 피쉬버거의 C18:2t trans 지방산 함량은 3.26%와 3.34%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육 가공품 및 튀김류 중 냉동 닭튀김과 냉동 감자튀김의 trans 지방산 함량이 15%~19%의 수준으로 높았으며, C18:1△9t과 C18:2t가 그 주된 성분이었다. 돼지고기구이(목살)에서는 C18:1△9t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냉동감자튀김에서는 C16:1△9t이 검출되지 않았다. 1회 분량 당 trans 지방산 함량이 높은 식품은 팝콘, 냉동피자, 감자튀김과 닭튀김, 빵류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trans fatty acids (tFAs) isomers of processed foods commonly consumed in Korea. The tFAs positional isomers were analyzed using GC/MS spectrometer with HP-23 cis/trans FAME, capillary column (50 m×0.20 ㎜, id., 0.2 μm film thickness) for 41 food samples. TFAs isomer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retention time with standards and GC/MS spectrum. In margarines, the content of tFAs ranged from 4.0% to 25.16% and the most abundant positional isomer of tFAs was C18:1△9t. In oils and fats, lards contained higher levels of tFAs (5.70~16.54%) than shortenings (6.77~10.55%). Shortenings contained higher levels of C18:1△9t (3.1~5.1%) than lard (1.6~4.3%), but corn oils had no tFAs. In seasonings, mayonnaise had no C16:1△9t, whereas C18:3t was detected. The content of tFAs in confectioneries was wide (16.20~52.16%). Among them, instant popcorns contained the highest amount of tFAs. Milk and dairy products showed even distribution of tFAS such as C18:1t, C18:2t, and C18:3t. Predominant tFAS isomer of condensed milk and ice cream was C16:1△9t. Frozen french fries and fried chicken contained higher levels of C18:1△9t (9.4%), whereas grilled pork (jowl) had no C18:1△9t. The amount of tFAs per serving size was the highest in popcorn, followed by frozen pizza, frozen french fries, fried chicken, and bakeries.

      • KCI등재

        효소적 가수분해에 의한 홍게껍질 단백질의 특성

        노경희(Noh, Kyung-Hee),민관희(Min, Kwan-Hee),서보영(Seo, Bo-Young),김소희(Kim, So-Hee),서영완(Seo, Young-Wan),송영선(Song, Young-Sun) 한국영양학회 2012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5 No.5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rotein of red crab (Chionoecetes japonicus) shell powder hydrolyzed by commercial proteases. Red crab shell was digested by commercial proteases, such as Protamex (P), Neutrase (N), Flavourzyme (F), Alcalase (A), Protease M (PM) and Protease A (PA). Protein yield analyzed by Biuret assay, absorbance at 280 nm and brix revealed that PA was the enzyme having the highest proteolytic activity. SDS PAGE showed that molecular weight of proteins produced by protease treatments was various and below 150 kDa. Combinational treatment of proteases (PA + P, PA + PM, PA + F, PA + A) was tried whether these increase protein hydrolysis from red crab shell powder compared to a PA single treatment. Soluble protein content was similar, but amino acid concentration by combinational treatments was higher than PA single treatment [PA + P 247.4 mg/g > PA + F (206.4 mg/g) > PA + A (133.4 mg/g) > PA + PM (59.1 mg/g) > PA (54.9 mg/g)]. Amino acid composition by combinational treatments was slightly different. Most abundant essential amino acids were phenylalanine, glycine, alanine, and leucine, whereas tyrosine and cystine were not detected. (Korean J Nutr 2012; 45(5): 429 ~ 436)

      • KCI등재

        Soxhlet 추출법에 의한 가공 식품의 Trans 지방산 정량

        노경희(Kyung-Hee Noh),김소희(So-Hee Kim),송영선(Young-Sun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9

        한국인 상용 가공식품의 trans 지방산 함량에 대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한국인의 상용 가공식품 중 마가린 6종, 쇼트닝 2종, 라드 2종, 햄버거 4종, 도너츠 4종, 식빵 2종, 구운 과자 4종, 유탕 스낵 10종, 초콜렛 6종, 땅콩제품 4종, 전자렌지용 팝콘 2종, 닭튀김 4종, 감자튀김 4종, 치즈 2종 등 총 56종을 선정하여 Soxhlet 추출 방법에 의한 총 지방 함량과 ATR-IR 방법에 의해 trans 지방산 함량을 분석한 후 마가린 6종, 쇼트닝 2종 및 라드 2종 등 총 10종의 식품을 GC/MS로 trans 지방산 함량 및 이성체를 확인하였다. IR 분석에 의한 마가린의 총 지방 중 trans 지방산 함량은 5.03~32.73%인데 반해 쇼트닝은 1.98~11.33%, 라드는 1.70~1.96% 함유하고 있었다. 햄버거가 0~5.43%, deep frying류인 도너츠가 0.74~11.10%였다. 구운 과자의 trans 지방산 함량이 7.37~26.54%인 반면 쵸코렛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닭튀김의 trans 지방산 함량이 0.44~14.85%였으며, 감자튀김은 5.18~27.01%로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치즈의 trans 지방산 함량은 11.34~12.88%이었으나 바싹한 과자와 쵸코렛에서는 trans 지방산 함량이 검출되지 않았다. 1회 섭취 분량 중에 trans 지방산을 2 g 정도를 함유하고 있는 식품에는 도너츠, 유탕스낵(tortilla), 전자렌지용 팝콘, 감자 튀김 등이 있다. GC/MS 방법에 의한 마가린의 총 지방 중 trans 지방산 함량은 8.27~28.53%, 쇼트닝은 8.81~9.17%, 라드는 6.03~8.00%를 함유하고 있었다. 마가린의 trans 지방산 이성체로는 C18:1t의 함량이 총 이성체 중 70.03%를 차지하였으며 쇼트닝과 라드는 C18:1t과 C18:2t의 함량이 각각 50.45와 37.64%, 32.43%와 47.37%였다. C18:1t의 함량이 현저히 높은 마가린의 경우 GC/MS 방법보다는 IR 방법에서 trans 지방산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C18:2t과 C18:3t의 함량이 높은 쇼트닝과 라드의 경우 상대적으로 GC/MS 방법에서 IR 방법에 비해 높은 trans 지방산 함량을 보였다. 두 방법 간의 상관성은 r²=0.91이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otal trans fatty acids (tFAs) content of processed foods commonly consumed in the Korean diet and to prepare the database for the estimation of tFAs intake in Koreans. Total fat and tFAs content was determined by Soxhlet extraction method and attenuated total reflection infrared spectroscopy (ATR-IR), respectively. The tFAs positional isomers were analyzed using GC/MS spectrometer. In margarines, the content of tFAs ranged from 8.27% to 28.53%. Shortenings contained higher levels of tFAs (1.98~11.33%) than lards (1.83~1.96%). The content of tFAs in grilled confectioneries was wide (7.37~26.54%). Instant popcorns contained the highest amount of tFAs. Fried chickens had 0.44 to 14.85% of tFAs and french fries had 5.18 to 27.01% of tFAs. In fried snacks (crispy) and chocolates, tFAs were not detected. The amount of tFAs per serving size was the highest in instant popcorn, followed by french fries, fried snack (tortilla), doughnuts, and grilled confectioneries. TFAs isomer of margarines was mostly C18:1Δ9t. In shortenings and lards, the most abundant positional isomer of tFAs was C18:1Δ9t and C18:2Δ9t Δ12t. Correlation coefficient of tFAs content between IR and GC/MS method was r²=0.91.

      • KCI등재

        Trans 지방을 첨가한 찹쌀보리빵의 섭취가 건강한 성인의 혈장 지질수준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노경희(Kyung-Hee Noh),이영은(Young Huh),장지현(Ji-Hyun Jang),신진혁(Jin Hyuk Shin),이미옥(Mi-Ock Lee),이경식(Kyung-Sik Lee),이승환(Seong-Hwan Lee),김도훈(Do-Hoon Kim),박용규(Yong-Kyu Park),조경환(Kyung-Hwan Cho),송영선(Young-Sun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10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건강한 성인 남녀(남자 29명, 여자 10명) 39명을 대상으로 trans 지방산 3.75 g을 각각 첨가한 찹쌀보리빵과 밀빵의 섭취가 혈중 지방산 조성과 지질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군은 밀빵 군(19명)과 찹쌀보리빵 군(20명)의 2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장기(6주) 임상시험으로 시행하였다. 밀빵 군은 밀가루 80 g에 trans 지방산 3.75 g을 첨가한 밀빵을, 찹쌀 보리빵 군은 β-glucan 5%를 함유한 찹쌀보리가루 40 g과 밀가루 40 g에 trans 지방산 3.75 g 첨가하여 찹쌀보리빵을 조제하여 제공하였다. 찹쌀보리빵을 섭취한 군에서는 섭취기간이 증가할수록 C18:3c,n-9 지방산을 제외한 지방산들의 농도가 낮아졌으며 특히 섭취 6주경과 후에서는 C16:0, C18:1t, C18:1c, C18:2t와 C18:2c의 농도는 밀빵을 섭취한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밀빵을 섭취한 군에서 섭취기간이 증가할수록 C18:1t, C18:2c, C18:2t의 농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C18:0, C18:1c, C18:3c,n-9과 C18:3c,n-3의 농도는 감소하였고 C16:0와 C18:2c의 농도는 증가 후 일정수준을 유지하여 6주경과 후에서는 섭취 전보다 현저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P/M/S 비를 보면 섭취 4주까지 두 군 모두에서 다가불포화지방산의 비가 증가한 반면 섭취 6주경과 후에서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단일불포화지방산의 비는 찹쌀보리빵 군에서는 감소하는 추세이나 밀빵 군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혈중 trans 지방산을 비롯한 포화지방산 농도가 낮은 수준이었으며 또한 찹쌀보리빵의 섭취는 밀빵의 섭취에 비해 총 콜레스테롤 농도와 TG/HDL-C의 비를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찹쌀보리에 함유된 β-glucan이 trans 지방의 체내 흡수율을 저하시키거나 흡수속도를 느리게 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에서 가공식품으로부터 공급되는 trans 지방의 체내 농도를 저하시키고 혈장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밀가루 보다는 찹쌀보리를 활용한 형태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waxy barley on the incorporation trans fat (tFA) into plasma lipid and lipid profile through 6 weeks trial. 39 healthy volunteer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nd fed waxy barley bread (WBG) or wheat bread (WG) containing equivalent amounts of tFA (elaidic acid rich, 3.75 g/day), respectively. Plasma lipid profil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at 0, 2, 4, 6 weeks after a respective bread were studied. Plasma lipid was extracted by the method of Folch, esterified by acid transmethylation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The fatty acid composition reflected the fatty acid proportion of the test fat. However, consumption of waxy barley bread with tFA for 6 weeks affected plasma fatty acid composition including tFA. Incorporation of tFA into plasma lipid was significantly lowered compared to WBG than in WG after 6 weeks of consumption. Furthermore, 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C16:0 and C18:0 levels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ed in WBG than in WG. Furthermore, plasma total cholesterol level and TG/HDL-cholesterol ratio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ed in WBG compared to WG at 2, 4 and 6 week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axy barley bread with high β-glucan lowered plasma trans, saturated fatty acid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though the inhibition of lipid absorption.

      • KCI등재

        Trans 지방과 쌀, 콩을 첨가한 빵의 섭취가 건강한 성인 남녀의 혈장 지질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노경희(Kyung-Hee Noh),허영(Young Huh),장지현(Ji-Hyun Jang),김소희(Soo-Hee Kim),신진혁(Jin Hyuk Shin),김도훈(Do-Hoon Kim),이승환(Seong-Hwan Lee),이경식(Kyung-Sik Lee),박용규(Yong-Kyu Park),조경환(Kyung-Hwan Cho),송영선(Young-Sun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8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건강한 성인 남녀(남자 23명, 여자 10명) 33명을 대상으로 trans 지방 3.75 g을 첨가한 쌀 빵, 콩 빵과 밀 빵의 섭취가 식후 혈장에서의 지방산과 지질흡수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군은 각 군 당 11명씩 3군으로 분류하였다. 쌀 빵은 밀가루 40 g과 쌀가루 40 g에 trans 지방 3.75 g을, 콩 빵은 콩가루 30 g과 밀가루 50 g에 trans 지방 3.75 g을 첨가하였고, 밀빵은 밀가루 80 g에 trans 지방 3.75 g을 첨가하여 식빵 형태로 각각 조제하였다. 대상자들은 8시간 공복 후 각각의 빵을 섭취하고 0, 1, 2, 3, 4시간 후 채혈하였고, 이는 혈중 지방산과 trans 지방산의 농도 및 지질 수준 분석에 이용되었다. 포화지방산인 C16:0과 C18:0의 수준은 밀 빵을 섭취한 군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콩 빵과 쌀 빵을 섭취한 군에서는 섭취 후 유사한 수준이었다. C16:0은 콩 빵과 밀 빵을 섭취한 군에서는 섭취 1시간 후에 peak에 도달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섭취 4시간 후 밀 빵 군에서는 변화량은 섭취 전의 수준과 유사하였으나 콩 빵 군에서는 섭취하기 전보다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C18:0은 섭취 1시간 후 콩 빵과 쌀 빵을 섭취한 군이 밀 빵을 섭취한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콩 빵과 쌀 빵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Trans 지방산인 C18:1t과 18:2t는 세 군 모두에서는 섭취 2시간 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섭취 4시간 후에는 콩 빵 섭취한 군에서의 C18:1t의 혈중 농도가 가장 낮았다. C18:1c은 섭취 4시간 후 콩 빵 군에서 가장 낮았고 쌀 빵 군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콩 빵의 섭취는 TG의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콩 빵의 섭취는 밀 빵을 섭취했을 때보다 혈중 trans 지방산을 비롯한 포화지방산 농도와 TG의 수준을 저하하였으며 이것은 콩에 함유된 식이섬유와 생리활성물질들이 지방산과 지방의 체내 흡수율을 저하시키거나 흡수속도를 느리게 하는 때문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trans 지방산을 비롯한 포화지방산과 TG의 체내 농도를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밀 빵보다 콩 빵의 형태로 섭취하는 것이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trans fat (tFA) may have adverse or beneficial effect depending upon the position and number of double bonds. The presence of tFA in human tissues and fluids is related to dietary intake, intestinal absorption, metabolism and storage, exchanges among compartm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breads containing tFA, soybean or rice on postprandial plasma fatty acid and lipid composition. 33 healthy volunteer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nd fed soybean bread, rice bread or wheat bread groups containing equivalent amounts of tFA (elaidic acid rich, 3.75 g/day), respectively. Postprandial lipid profiles at 0, 1, 2, 3 and 4 hours after a respective meal were studied. Plasma fatty acid was extracted by the method of Folch and methyl ester of fatty and prepared by acid transmethylation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Peaks were identified using pure reference compounds and quantified. Postprandial data indicated that consumption of soybean and rice breads with 3.75 g tFA retarded the appearance of C18:1 and C18:2 tFA in plasma lipid compared to that of wheat bread. Futhermore, soybean and rice bread groups showed lower plasma saturated fatty acid levels than wheat bread group. Postprandial TG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soybean bread group compared to that of rice and wheat bread groups. These results imply that soybean bread with high dietary fiber content and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may inhibit or delay lipid absor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