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의 변화궤적 분류 및 예측요인 탐색

        남지영,김성희,김재철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2

        This study has included 3,209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from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to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among the data from 2013 to 201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cognize the changing patterns of adolescents' career Maturity and to explore the latent classes and predictor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ttern of change of Career Maturity is determined by the secondary curve growth model. Second, there are three latent classes that can best explain the trajectory of change in the Career Maturity. They are classified as 'Accelerated growth groups started with moderate maturity', 'Deceleration growth groups started with high maturity', and 'Accelerated growth groups starting with low maturity'. Third, exploring the predictors of the change trajectory type of career maturity reveals that the higher the achievement motivation, creativity, self-esteem, and self-elasticity of the students' learning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more likely they belong to 'Accelerated growth groups started with moderate maturity' and 'Deceleration growth groups started with high maturity' than 'Accelerated growth groups starting with low maturity'. Depending on gender, femal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be included in the 'Accelerated growth groups started with moderate maturity' and 'Deceleration growth groups started with high maturity' in comparison with male students. Among school factors, the smoother the friendship, the more it is to be included in the 'Accelerated growth groups started with moderate maturity' and 'Deceleration growth groups started with high maturity' than in the 'Accelerated growth groups starting with low maturity'. These results provide us with an opportunity to take a different view of what part of attention should be paid to improve the youth's career maturity.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의 2013년(4차년도)∼2017년(8차년도) 자료 중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설문에 참여한 학생 총 3,20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변화양상을 알아보고 잠재계층 분류 및 예측요인 탐색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성숙도의 변화양상은 이차곡선 성장모형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진로성숙도의 변화궤적을 최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잠재계층의 수는 3개였으며, 각각 ‘중성숙출발 가속성장군’, ‘고성숙출발 감속성장군’, ‘저성숙출발 가속성장군’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진로성숙도 변화궤적 유형의 예측요인을 탐색한 결과, 학생들의 학습 및 심리특성요인 중 성취동기, 창의성,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저성숙출발 가속성장군’보다 ‘중성숙출발 가속성장군’, ‘고성숙출발 감속성장군’에 포함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저성숙출발 가속성장군’보다 ‘중성숙출발 가속성장군’, ‘고성숙출발 감속성장군’에 포함될 가능성이 더 높았다. 학교요인 중에는 교우관계가 원활할수록 ‘저성숙출발 가속성장군’보다 ‘중성숙출발 가속성장군’, ‘고성숙출발 감속성장군’에 포함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을 위해서 우리가 어떤 부분에 주목해야하는가에 대한 다른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 중국인 유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이 온라인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남지영,호효정,박영미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online class satisfaction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online classes in the COVID-19 situa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08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male students: 143 and female students: 165) attending C University in D City in June 2021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mediating effect of the collected data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online class satisf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eco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online class satisfaction. Thir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and online class satisfaction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positive effect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y on online class satisfaction was further enhanc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proposal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국내 인증제도 발전방향을 위한 연구

        남지영,이재학 표준인증안전학회 2018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8 No.3

        The domestic certification system can be roughly divided into mandatory certification and optional certification. First, the mandatory certification system is a forced certification system implemented by the state, and KC certification is representative. Secondly, the optional arbitrary certification system can be divided into optional certification specified by law, which is enforced by law, and private certification without legal basis. The statutory voluntary certification system is a certification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specific policy objectives, such as KS (Korean Standard), NET (New Excellent Technology) and NEP (New Excellent Product) certifications and the collective standard certification is a certification that is carried out by a private institution as its own profitable business. In addition to statutory certifications, there are too many private certifications and thus, consumers' interest in certification is diminishing. In other words, consumers are confused by complex and diverse certification schemes, and various problems in the certification system are being raised. This study suggests future direction of the domestic certification system, such as KS, NET and NEP certifications and the collective standard certification. 국내 인증제도는 크게 의무인증제도와 임의인증제도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의무인증제도는 국가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시행되는 인증제도로 KC 인증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임의인증제도는 법률에 의해 시행되는 법정임의인증제도와 법적 근거 없는 민간인증으로 나눌 수 있다. 법정임의인증제도는 KS 인증을 포함하여 신기술인증(NET), 신제품인증(NEP) 등 특정정책목적 달성을 목적으로 시행되는 인증이며, 민간(단체표준)인증은 민간기관이 자체수익사업으로 시행되는 인증이다. 법정인증 외에도 민간인증이 너무 많아 인증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줄어들고 있다. 즉 소비자는 복잡하고 다양한 인증제도로 혼란을 겪고 있으며, 인증제도상의 여러 다양한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KS인증, 신기술 및 신제품인증과 함께 민간(단체표준)인증의 개선 방향에 관하여 제시하였다.

      • 장애인 유형에 맞는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남지영,김수동,정종수 한국재난정보학회 2018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최근 지진, 화재 등 대형재난의 위험성이 점차 증가하고, 재난 발생 시 재난 약자의 재난 안 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재난 취약계층인 장애인은 비장애인과는 달리 재난정보를 얻 는 것에 어려움을 겪거나 신체적 부자유 등으로 인해 재난대피 및 대응에 취약하기 때문에 비장 애인과는 달리 특별한 관심과 정책,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대상 안전교육의 실태 조사를 시행, 현황을 파악한 후 문제점을 도출해 내고 유형에 맞는 교수학습법 및 교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장애인의 재난복원력에 대한 PDCA 적용 강화 방안

        남지영,정종수 한국재난정보학회 2021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1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19라는 사회적 재난 상황에서 안전취약계층인 장애인이 겪게 되는 어려움을 알아보고 장애인에 대한 재난복원력 강화 방안을 PDCA 모형을 적용하여 모색하였다. 안전취약계층과 장애인, 재난복원력, 그리고 PDCA 모형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고, 코로나19 상황에서 장애인 분야 대응 사례, 언론보도와 문헌 고찰을 통하여 감염병에 대한 대비, 대응 방안을 제안하였다. 장애인은 가지고 있는 특성과 유형이 다르므로 구체적인 접근과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재난정보에 대한 접근 이 쉬워야 하고 돌봄에 대한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아야 한다. 무엇보다도 향후 재난복원력을 향상시키는 토대가 되도록 코로나 19를 맞이한 장애인에 대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실태조사가 진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군인 교육 연구동향 분석 : 2000년 이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남지영,정경옥,정종수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9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 연구에서 군인과 관련된 교육 분야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군인 교육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0년에서 2022년까지 게재된 국내 학술논문에서 ‘군인’과 ‘교육’을 주제로 수행된 논문 중 최종 논문 269편을 선별하였다. 최종 선정한 문헌은 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유형, 연구자 수, 연구주제, 연구내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10년부터 연구 수가 점차 증가하였는데, 2021년에 31편이 발표되어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전군(全軍)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육군과 간호장교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셋째, 연구방법에는 질적연구 방법이 조금 더 많이 활용되었다. 넷째, 2인 이상의 연구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다섯째, 연구주제는 개발, 설계, 개선을 주제로 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여섯째, 연구내용의 세부 분야별로 살펴보면, 군인들의 정신(전력)교육, 군사교육 · 훈련에 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군인 교육이 다양한 주제로 연구됨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의 방향은 군인 교육과 안전에 관한 많은 관심으로 여러 관점에서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 future research direction for military education by identifying and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education related to soldiers in academic research published in Korea. Method: In domestic academic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22, 269 final paper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papers conducted on the subjects of 'soldiers' and 'education'. The final selected literature was analyzed by categorizing it into year,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type, number of researchers, research topic, and research content. Result: First, since 2010, the number of studies has gradually increased, and 31 articles were published in 2021, with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Second,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entire military, followed by the Army and Nursing Officers. Thir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sed a little more in research methods. Fourth, the number of researchers with two or more researchers was steadily increasing. Fifth, most of the research topics were development, design, and improvement. Sixth, in terms of detailed research contents, most of the studies were related to soldiers' spirit(mental force) education and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ilitary education was studied in various subject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should be in-depth research from various perspectives with a lot of interest in military education and safety.

      • KCI등재

        고등학생의 구강증상인지 및 구강관리행태에 따른 치아우식경험

        남지영,김혜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

        The present study aimed to ascertain the oral health of young individuals according to their oral symptoms and oral health behaviors. In doing so, we inte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continued oral health education, which is required to make positive changes to oral health behavior. We conducted oral health examinations as well as self-report surveys for identifying oral symptoms and oral health behaviors of 288 high school students who visited the K Hospital, Busan, South Korea, between May and October 2014. In the dental health examination,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had the result ‘None’ for the number of teeth showing dental caries (162 persons, 56.3%) and ‘1–4’ for the number of teeth at risk of developing dental caries (168 persons, 58.3%). Meanwhile, with respect to oral hygiene, 155 students (53.8%) were rated as ‘Excellent’ and 123 (42.7%) as ‘Hope for Improvement’. In terms of oral health behavior, 74.0% of the participants had not visited a dentist in the past year and 64.9% brushed their teeth less than twice a day. When asked about their level of consumption of sugary foods and drinks such as snacks and cola, 52.8% of the participants responded with ‘Average’, and when asked if the toothpaste they were currently using contained fluorine, the most common response (39.2%) was ‘I don’t know’. When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identification of oral symptoms, oral care behavior, and incidence of dental carie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teeth showing dental caries and oral hygiene (r=0.914, p<0.000), and there was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teeth at risk of developing dental caries and the use of fluorine-containing toothpaste (r=-0.119, p<0.05) and between oral hygiene and the consumption of sugary foods (r=-0.560, p<0.000). Combining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oral symptoms and oral care behavior in young individual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dental caries. Therefore, systematic projects to promote oral health an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encourage treatment and oral health care at the appropriate time and to create a positive change in oral health behavior. 본 연구는 청소년의 구강증상경험과 구강관리행태에 따른 구강건강상태를 파악함으로써 긍정적인 구강건강행태 변화에 필요한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2014년 5월에서 10월까지 부산광역시 소재 K병원 방문 고등학생 288명을 대상으로 구강검진 및 구강증상인지, 구강건강행태에 대해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구강검사 결과 우식치아는 '없음'이 162명(56.3%)으로 가강 많았고 우식발생 위험치아는 '1~4개'가 168(58.3%), 구강위생상태는 '우수'가 155명(53.8%), '개선요망'이 123명(42.7%)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구강건강행태에서 지난 1년간 치과에 간 적이 ’없음‘이 74.0%, 하루 2회 이하의 칫솔질이 64.9%, 과자, 콜라 등 당분이 든 음식을 즐겨 먹는가에서 ‘보통이다’ 52.8%, 현재 사용 중인 치약에 불소가 들어 있는가에서 ‘모르겠다’가 39.2%로 높았다. 구강증상인지, 구강관리행태, 치아우식경험과의 상관관계는 우식치아는 구강위생 상태(r=0.914, p<0.000)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우식발생 위험치아는 치약내 불소함유 유무(r=-0.119, p<0.05), 구강위생상태는 ‘과자, 콜라 등 당분이 든 음식을 즐겨 먹는가(r=-0.560, p<0.000)’에 음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소년의 구강증상 및 구강관리행태에 따른 치아우식상태에 유의한 영향을 주어 긍정적인 구강건강행태 변화를 위해 적절한 시기의 구강증상 치료 및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구강검진사업과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학교 뮤지컬 교육 운영 방안 연구

        남지영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2 음악교육공학 Vol.- No.14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musical education situations and provide methods to operate musical education as a part of performing arts education in schools. Among schools with constant operation of musical education, I chose the good cases that can be generally applied in other schools. Based on these, I suggested methods including development of curricula for musical education, selection of instructors,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students, securing of operation budget, and performance planning and practice to efficiently operate musical education in schools. 본 연구는 뮤지컬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학교 현장에서 공연예술교육의 일환으로 뮤지컬 교육을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학생들이 받고 있는 뮤지컬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이해하고, 뮤지컬 공연 활동의 효과와 더 나은 뮤지컬 교육을 위해 요구하는 사항들을 알아보고자 지속적으로 뮤지컬 교육이 운영되고 있는 학교들 중에서 다른 학교에서도 일반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우수 사례들을 선정하였다. 이 학교들을 대상으로 뮤지컬 교육을 담당하는 지도교사와의 면담, 전화 통화 및 전자메일 교류, 홈페이지 방문 등의 방법을 통하여 학교 뮤지컬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뮤지컬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지도교사 선정, 학생선발 및 조직, 운영예산 확보, 공연계획과 연습 등 학교에서 뮤지컬 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