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erformative aspects in Yang Jung-ung’s Hamlet in terms of adapting Gut performance

        남지수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013 현대영미드라마 Vol.26 No.3

        This study aims to research and analyze the performative aspects of the Korean production of Hamlet(2010), adapted with shamanic ritual Gut, by the theatre company Yohangja and Yang Jung-ung. It is worth mentioning that there has been a sort of trend for Korean theatre directors to adopt Hamlet with Gut since the 1990s. Especially, there has been a Korean Shakespeare boom in the last twenty years, and Hamlet has definitely been the most performed and admired by Korean audience. In particular, in this period, Hamlet has been closely connected with shamanism. The most prominent of Hamlet production since the 1990s stage ritual like Gut – in which a shaman appears to be possessed. All stage shaman rituals or a scene of shamanistic possession. As the Korean Hamlets, with few exceptions, have incorporated shamanism, it is within bounds to say that shamanism has become a theatrical trend in any Hamlet adaptation. In this thesis, among many others, I choose to analyze Yang Jung-ung’s Hamlet because it is a unique adapting performance in which director tries to bring the form and structure of Gut to the text. My research is to analyze the per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amlet, which spontaneously happens during its performing process, principally with German scholar Erika Fischer-Lichte’s aesthetics. In the theatre field, the studies on Gut or theatrical adaptation with Gut have been usually concentrated in particular aspects: the studies on symbolic signs in some representative scenes of Gut, shamanic narrative, meaning of shaman’s chanting etc. Or their researching subject has not been Gut itself, but rather shamanic representation limited to songs or script. There may be a possibility that someone might raise a skeptical question that performativity is an idea to highlight the ongoing process of an event and theoretical tool of the performativity might be too arbitrary to get based on analyzing the performance. That is why it becomes important to analyze performance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as well as semiotic view. And I consider Fischer-Lichte contributes to make the performative theory more concrete and firm by supplementing semiotic aspect into phenomenal body. Based on this theory, I am to analyze how Gut is adapted in Hamlet, how Gut penetrates into spectators’ perception and consciousness, and what kind of performative effects it ultimately earned throughout Gut.

      • KCI등재

        완벽주의 성향이 불안 수준에 미치는 영향: 모호함에 대한 해석편향과 인지적 회피를 매개변인으로

        남지수,김은경,김춘길,박용천,정승교 한국여성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2 No.4

        Anxiety is common psychological state for human being. But it can lead to pathological anxiety if it is uncontrollable or excessive. Examining variables known to affect anxiety and figuring out the mechanism is crucial to understand anxiety disorders.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effect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interpretation bias for ambiguity, and cognitive avoidance on anxiety level. The total of 367 college students who complete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on maladaptive perfectionism, interpretational bias for ambiguity, cognitive avoidance, and state anxiety were includ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Macro method by Hayes(2012). The results indicated doubl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tate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terpretation bias for ambiguity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may be promising targets for early intervention of anxiet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along with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연출가 이해랑의 사실주의 연극 인식에 관한 일고찰

        남지수 한국연극학회 2019 한국연극학 Vol.1 No.71

        한국 근대극 일백 년의 역사는 사실주의(realism)와 고군분투했던 시기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세기 초 일본을 통해 서구 사실주의를 유입했지만, 그것이 정확히 무엇인지 오랫동안 개념적 오해를 쌓아왔기 때문이다. 서양에서는 19세기 후반 인간의 유전적 측면과 환경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췄던 복제적 사실주의(facsimile realism)가 20세기로 접어들며 작품의 내적 리얼리티를 강조하는 심리적 사실주의(psychological realism)로 이어졌고, 1940년대 이후에는 등장인물의 주관적 환상과 꿈이 가미된 수정 사실주의(modified realism) 등으로 그 개념이 유연하게 진화해 가며 사실주의 담론을 확장시켜 갔던 반면, 1920년대부터 1950년대 초까지 대부분 일본을 통해 서양연극을 간접수용해 왔던 우리는 사실주의의 원리와 본질에 대해 깊이 이해하지 못했다. 게다가 우리 연극계는 1970년대부터 반사실주의적 연극실험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데, 이것은 사실주의 연극을 충분히 접해보지 못한 상태에서 이루어진 일련의 실험들이기도 했다. 이로 인해 우리 연극사 내지 비평사에서는 사실주의와 관련하여 논쟁적인 담론을 형성한 기록들을 종종 찾아볼 수 있고, 이러한 논쟁의 중심에는 늘 이해랑의 사실주의 연극론에 관한 문제제기가 이루어졌다. 이해랑은 홍해성, 유치진으로 이어지는 신극 연출 계보를 잇는 해방 후 연출가이지만, 신파극 연출가로서 대중적 취향까지 수용했던 홍해성이나 한국 전통연희나 미국 뮤지컬까지도 관심을 확장했던 유치진과 비교해 보자면, 그는 정극(正劇) 개념으로서 사실주의의 정통성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한국 사실주의 연극의 기치를 세운 중심인물이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는 한국 연극에서의 사실주의 개념의 유입과 전개과정 추적하고, 사실주의 연극을 정착시키는데 큰 획을 그었던 이해랑의 사실주의 연극이념을 고찰해 봄으로써 근대 사실주의 연극에서 이해랑의 위치를 비판적으로 점검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정신건강의학과 외래 환자 중 자살 고위험 집단의 심리적 특성 : MMPI-2-RF를 이용하여

        남지수,김대호,김은경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0 정신신체의학 Vol.28 No.1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MMPI-2-RF serves as a useful tool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subtypes of high risk of suicide among psychiatric outpatients. Methods:Patients were recruited from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of university hospital. Participants were diagnosed using DSM-5 criteria by board certified psychiatrists. Their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nd participants were put into 4 groups (Suicide ideation, Suicide attempt, Non-suicidal self-injury, and general psychiatric diagnosis as a control group). For statistical comparison, the MANCOVA with gender as a covariate was used. Results:The results indicated that as previous research with non-clinical sample suggested, psychiatric outpatients with high suicide risk also have significantly higher Emotional/Internalizing Dysfunction, Helplessness/ Hopelessness, Suicidal/Death Ideation, Demoralization, Cognitive complaints, Cynicism, Dysfunctional negative thoughts than general psychiatric patients group. But group differences within the high suicide risk patients have not been observed. However, suicide attempt group and NSSI group has higher Behavioral/Externalizing Dysfunction, RC4, AGG than general psychiatric patients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uicidal idea group and general psychiatric patients group. Conclusions:There was no group difference observed between all three subtypes, which mean the MMPI- 2-RF may not be the useful diagnostic tool to navigate high suicide risk subtypes. Even 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observed in the suicide ideation group, suicide attempt group and NSSI group have higher aggression and externalization. So those indexes could serve as a useful marker to investigate riskiness of suicide related symptoms.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정신과 외래 환자 중 자살 고위험 집단인 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및 일반 정신과 환자 집단의 감별 시 MMPI-2-RF가 변별 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모든 대상자는 한양대학교 구리병원에 정신과적 진료를 내원한 환자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로부터DSM-5에 근거한 진단을 받았고,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네 집단(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통제집단으로 일반 정신과 환자)으로 분류하였다. 총 112예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를분석하기 위해 기술 통계 분석, 성별을 공변인으로 한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를 통해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 과연구 결과, 비임상군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존 선행 연구와 마찬가지로, 임상군인 정신과 외래 내원 환자들 중에서도 자살 고위험군이 저위험군에 비해 높은 정서적/내재화 문제(EID), 무력감/무망감(HLP), 자살/ 죽음 사고(SUI), 의기소침(RCd), 인지적 증상 호소(COG), 냉소적 태도(RC3), 역기능적 부정 정서(RC7)와 부정적 정서성/신경증(NEGE-r) 점수를 보였다. 하지만 자살에 대한 위험성이 높은 환자들을 자살 사고, 자살시도, 비자살적 자해를 시도하는 개인들 총 세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세 집단 모두를 변별할 수 있는변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자살 시도 집단 및 비자살적 자해 집단이 일반 정신과 환자 집단에 비해 높은행동화/외현화(BXD), 반사회적 행동(RC4), 공격성(AGG) 등을 보였으나, 자살 사고 집단과 일반 정신과 환자집단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본 연구는 MMPI-2-RF가 임상군인 정신과 외래 내원 환자들 중 자살 위험이 높은 환자들을 자살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세 집단으로 구분했을 때, 이 세 집단을 변별할 수 있는 유용한 진단적 도구로써 기능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으나, 세 집단 모두를 변별해주는 요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세 집단 간변별에는 MMPI-2-RF가 진단적으로 유용하지 않을 것으로 시사된다. 다만, 자살 사고 집단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살 시도 및 비자살적 자해 집단에서는 통제군인 일반 정신과 환자들에 비해 높은 공격성과행동화가 나타나, 자살 사고가 실제 자살 시도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지표들이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는조기변별 지표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동물-되기’ 담론으로 살펴본 동물현존과 동물성의 창출방식

        남지수 한국드라마학회 2018 드라마연구 Vol.0 No.54

        It is quite unlikely to watch onstage appearances of animal, but animal theatre/ performance, which invites live animal as a performer, has been often appeared since mid-twentieth century. Joseph Beuys, Marina Abramović, Rachel Rosenthal, Hermnn Nitsch and other avant-garde artists are popular examples to look at. They have experimented such a provocative performance to call live animal onto the stage as a way to resist the theatrical hegemony centered on humanism and representation. This attention of sort on the animal was a quite noteworthy phenomenon, because animal presence has been totally erased out on stage for centuries since rationality dominated the western world and theatrical stage. By the way, German theatre scholar Erika Fischer-Lichte points out that animal appearances onstage multiplied since the 1990s. The performances before the 1990s -such as the examples mentioned above- tended to focus on the so-called uncanny appearances of wild animal in himself; unpredictable and uncontrollable instinctive behavior, primitive vitality, material energy and so on. However, in the performances after 1990s, the animal corporeality and materiality such as figure, skin, sound, smell, muscle or movement are actively applied as an immanent material and gone through the aesthetic dramaturgy.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onstage animal presence in the contemporary animal performances. To do it, this thesis starts from brief surveying the academic landscape of animal theatre studies of U.S. and Europe since 2000, and ultimately goes for studying the animal presence and animality -transformative/metamorphosis event and performative experience- based on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Jill Deleuze and Felix Guattari: becoming-animal. 극에서 살아있는 동물이 등장하는 것은 드문 일이지만, 20세기 중반 반재현적 연극 흐름 속에서 동물이 공연자로 등장하는 동물퍼포먼스의 사례들은 종종 목격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요셉 보이스, 마리나 아브라모비치, 레이첼 로젠탈, 헤르만 니취 등과 같은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이 언급될 수 있을 것인데, 이들은 이성중심적 인간과 재현중심적 예술의 헤게모니에 대한 저항과 비판으로서 살아있는 동물을 무대 위로 호출하는 도발을 감행했다. 동물에의 주목은 이성이 연극무대를 지배해온 오랜 시간 동안 자취를 감췄던 동물들의 귀환이라는 점에서 매우 주목할 만한 사건이었다. 그런데 무대로 동물이 소환되는 동물퍼포먼스의 양상은 90년대를 경유하며 이전과 다른 양상을 드러낸다. 위에 언급한 예술가들로 대표되는 90년대 이전 동물퍼포먼스들이 길들여지지 않은 야생동물의 언캐니한 현존 그 자체, 예측할 수 없고 통제하기 어려운 동물의 본능적 행위와 원시적 생명성, 날 것의 에너지를 그대로 매개하고자 했다면, 90년대 이후 시도된 동물퍼포먼스는 동물의 몸성이 공연의 내재적 물질로 활용되고 미학적 드라마투르기의 과정을 거친다는 점에서 변별된 지점을 보이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측면에 착안하여 오늘날 연극무대에서의 살아있는 동물현존 및 동물성의 창출양상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미국과 유럽의 연극학계를 중심으로 수행되어온 ‘동물연극학’의 연구동향을 간략하게 살피고,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의 ‘동물-되기’ 담론에 기대어 연극에서의 동물현존 및 동물과의 만남으로 촉발되는 변형적 사건과 경험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