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스펙터클화된 버바팀 연극 버바팀의 새로운 응용방식에 관한 소고
남지수 한국드라마학회 2024 드라마연구 Vol.- No.74
버바팀 연극은 단순히 말을 인용한다는 방법에 기반한 비허구적 이야기가 아니라 현실에서 발화된 말을 매개하려는 강한 의지를 지닌 실재의 이야기이다. 그리고 이것은 현실을 그대로 모방(복사, 복제)하는 글쓰기가 아니라 실제 인물과의 만남(인터뷰, 진술, 증언, 고백 등)을 통해 구술/녹음/채록된 말, 그것이 발화된 흔적 등 말을 둘러싼 현상적 측면을 포착/재현하는 퍼포먼스의 탐색이다. 사실 버바팀 연극이 가장 활발하게 실험되어온 영국 연극의 사례를 보면 90년대까지의 버바팀 연극들은 대개 작가적/연출적 개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며 발화된 말의 정확한 인용을 통해 공연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방점을 두었지만, 21세기를 지나면서는 건조한 다큐멘트로서의 현실의 말과 연극적 스펙터클을 연결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식/양식과 접목하는과감한 버바팀 실험들이 목도되기 시작한다. 음악으로 전달되는 버바팀, 무용적 움직임으로 표현되는 버바팀, 시청각적 스펙터클을 강조하는 버바팀, 장소특정성, 이머시브 등의 형식을 활용하는 버바팀 사례들은 바로 버바팀된 ‘말’과 무대/배우의‘몸’의충돌에서 빚어지는 새로운 재현방식을 둘러싼 고민의 구체적인 결과물들이다. 이에본고는 버바팀의 새로운 변주방식으로서 퍼포먼스 가능성을 새롭게 탐색하는 로이드뉴슨(Lloyd Newson)/DV8의 버바팀 신체극과 알레키 블라이드(Alecky Blythe)/레코디드 딜리버리(Recorded Delivery)의 버바팀 음악극의 사례 연구를 통해 버바팀이 응용될 수 있는 창의적 가능성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한다. A Study on the Verbatim Theatre with Spectacle: How Verbatim as a Theatrical Methodology can be Applied Nam, Ji-Soo Verbatim theatre is a form of documentary theatre which is exclusively based on the spoken words of real people. Its aim is not only to copy what is really said but also to explore phenomenal aspects in/around the spoken words. In fact, many British verbatim theatre in 80s and 90s have focused on mimetic representation in order to show authenticity as a documentary characteristic. However, it has been common that the verbatim theatre combines various experimental forms and styles to create the documentariness/reality in 21st centuries: For instances, verbatim musical, verbatim physical theatre, verbatim media performance, verbatim site- specific theatre, verbatim immersive theatre etc. In this aspect, this article tries to describe on how verbatim is creatively adapted in contemporary theatre as focused of DV8’s verbatim physical theatre and Recorded Delivery’s verbatim musical, the representative cases of contemporary verbatim theatre.
군 복무 적합성 판정을 위해 내원한 환자들의 인지적 및 심리적 특성
남지수,최준호,김은경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9 정신신체의학 Vol.27 No.2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gnitive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visited psychiatric outpatient clinic with military service suitability issues. Methods:Since January, 2017 to September, 2018,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of university hospital. Participants were diagnosed using DSM-5 criteria by board certified psychiatrists. And each of participants tested with K-WAIS-IV, K-SCL-95 by clinical psychologis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Results:The results indicated 24.6% of the patients have significantly low level of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10.8% of the patients have borderline level of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26.3% of them were below average. The result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howed patients have cautious and potentially dangerous level of depression, anxiety, agoraphobia, and suicidal idea. And PTSD subscale’s mean score was above problematic level. Next, we divided patients into two groups based on question of whether the patient is eligible to serve in the military service or not arises from recruitment process or army training center. But two group didn't differ significantly. And for further analyses, we also divided patients into two groups based on if they got single psychiatric diagnosis or more than one psychiatric diagnosis. Conclusions:The results indicated that group which has coexisting psychiatric disorders were more depressed, had higher level of anger and aggression, and had more serious levels of suicidal ideas than single psychiatric diagnosis group.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along with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연구목적본 연구는 군대 내 부적응이 우려되어 군 복무 적합성 판정을 위해 내원한 환자들의 인지적 및 심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이루어 졌다. 방 법2017년 1월~2018년 9월까지 경기도 소재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 병사용 진단서 발급을 위해 내원한140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인지적 및 심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들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로부터 DSM-5 에 근거하여 진단을 받았고, 진단명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또한 각각의 환자들은 임상심리사로부터 웩슬러 지능검사 4판과 간이정신진단검사(K-SCL-95)를 받았다. 총 136예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18.0을 사용하였으며, 기술 통계 분석, 독립표본 t-검증을 사용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 과전체 환자들 중 24.6%가 전체 지능(FSIQ)이 70 미만인 매우 낮은 수준의 지능에 해당되었다. 또한 경계선수준은 10.8%에서 나타났으며, 평균 하 수준의 지능은 26.3%에서 관찰되었다. 아울러 평균 수준은 18.0%의 환자에서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평균 상 수준은 4.2%에 해당하였다. 다음으로 심리적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 우울, 불안, 공포불안-임소불안, 자살이 주의 및 위험 수준에 해당하였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소척도의 T점수 평균은 75.57로 정신건강 문제 발생 가능성이 시사되는 문제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환자들을 병무청 신체검사 시 군대 내 부적응이 우려되어 군 복무 적합성 판정을 권유받은 집단과 훈련소 과정에서 군대 내부적응이 우려되었던 집단으로 분류하여 통계 분석을 하였으나, 두 집단의 심리적 특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아울러 단일 진단을 받은 집단과 2개 이상의 정신과적 진단을 받은 공병 집단 간 차이를 보고자 한 분석에서는 공병 집단이 단일 진단 집단에 비해 더 우울하고, 분노감과 공격성이 높았으며, 더 심각한 자살 사고 경향을 보이며 스트레스에 취약하고 낮은 자기조절력을 보인다는 결과를 얻었다. 결 론본 연구를 통하여 공병 집단이 단일 진단 집단에 비해 우울감, 분노감 등의 심리적 고통감을 크게 느낀다는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 포함된 환자들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단, 지능검사와 주관적 증상설문 결과로 볼 때 본 연구 집단은 낮은 인지기능과 여러 정신 증상의 문제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동물-되기’ 담론으로 살펴본 동물현존과 동물성의 창출방식
남지수 한국드라마학회 2018 드라마연구 Vol.0 No.54
It is quite unlikely to watch onstage appearances of animal, but animal theatre/ performance, which invites live animal as a performer, has been often appeared since mid-twentieth century. Joseph Beuys, Marina Abramović, Rachel Rosenthal, Hermnn Nitsch and other avant-garde artists are popular examples to look at. They have experimented such a provocative performance to call live animal onto the stage as a way to resist the theatrical hegemony centered on humanism and representation. This attention of sort on the animal was a quite noteworthy phenomenon, because animal presence has been totally erased out on stage for centuries since rationality dominated the western world and theatrical stage. By the way, German theatre scholar Erika Fischer-Lichte points out that animal appearances onstage multiplied since the 1990s. The performances before the 1990s -such as the examples mentioned above- tended to focus on the so-called uncanny appearances of wild animal in himself; unpredictable and uncontrollable instinctive behavior, primitive vitality, material energy and so on. However, in the performances after 1990s, the animal corporeality and materiality such as figure, skin, sound, smell, muscle or movement are actively applied as an immanent material and gone through the aesthetic dramaturgy.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onstage animal presence in the contemporary animal performances. To do it, this thesis starts from brief surveying the academic landscape of animal theatre studies of U.S. and Europe since 2000, and ultimately goes for studying the animal presence and animality -transformative/metamorphosis event and performative experience- based on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Jill Deleuze and Felix Guattari: becoming-animal. 극에서 살아있는 동물이 등장하는 것은 드문 일이지만, 20세기 중반 반재현적 연극 흐름 속에서 동물이 공연자로 등장하는 동물퍼포먼스의 사례들은 종종 목격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요셉 보이스, 마리나 아브라모비치, 레이첼 로젠탈, 헤르만 니취 등과 같은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이 언급될 수 있을 것인데, 이들은 이성중심적 인간과 재현중심적 예술의 헤게모니에 대한 저항과 비판으로서 살아있는 동물을 무대 위로 호출하는 도발을 감행했다. 동물에의 주목은 이성이 연극무대를 지배해온 오랜 시간 동안 자취를 감췄던 동물들의 귀환이라는 점에서 매우 주목할 만한 사건이었다. 그런데 무대로 동물이 소환되는 동물퍼포먼스의 양상은 90년대를 경유하며 이전과 다른 양상을 드러낸다. 위에 언급한 예술가들로 대표되는 90년대 이전 동물퍼포먼스들이 길들여지지 않은 야생동물의 언캐니한 현존 그 자체, 예측할 수 없고 통제하기 어려운 동물의 본능적 행위와 원시적 생명성, 날 것의 에너지를 그대로 매개하고자 했다면, 90년대 이후 시도된 동물퍼포먼스는 동물의 몸성이 공연의 내재적 물질로 활용되고 미학적 드라마투르기의 과정을 거친다는 점에서 변별된 지점을 보이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측면에 착안하여 오늘날 연극무대에서의 살아있는 동물현존 및 동물성의 창출양상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미국과 유럽의 연극학계를 중심으로 수행되어온 ‘동물연극학’의 연구동향을 간략하게 살피고,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의 ‘동물-되기’ 담론에 기대어 연극에서의 동물현존 및 동물과의 만남으로 촉발되는 변형적 사건과 경험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
정신건강의학과 외래 환자 중 자살 고위험 집단의 심리적 특성 : MMPI-2-RF를 이용하여
남지수,김대호,김은경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0 정신신체의학 Vol.28 No.1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MMPI-2-RF serves as a useful tool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subtypes of high risk of suicide among psychiatric outpatients. Methods:Patients were recruited from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of university hospital. Participants were diagnosed using DSM-5 criteria by board certified psychiatrists. Their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nd participants were put into 4 groups (Suicide ideation, Suicide attempt, Non-suicidal self-injury, and general psychiatric diagnosis as a control group). For statistical comparison, the MANCOVA with gender as a covariate was used. Results:The results indicated that as previous research with non-clinical sample suggested, psychiatric outpatients with high suicide risk also have significantly higher Emotional/Internalizing Dysfunction, Helplessness/ Hopelessness, Suicidal/Death Ideation, Demoralization, Cognitive complaints, Cynicism, Dysfunctional negative thoughts than general psychiatric patients group. But group differences within the high suicide risk patients have not been observed. However, suicide attempt group and NSSI group has higher Behavioral/Externalizing Dysfunction, RC4, AGG than general psychiatric patients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uicidal idea group and general psychiatric patients group. Conclusions:There was no group difference observed between all three subtypes, which mean the MMPI- 2-RF may not be the useful diagnostic tool to navigate high suicide risk subtypes. Even 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observed in the suicide ideation group, suicide attempt group and NSSI group have higher aggression and externalization. So those indexes could serve as a useful marker to investigate riskiness of suicide related symptoms.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정신과 외래 환자 중 자살 고위험 집단인 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및 일반 정신과 환자 집단의 감별 시 MMPI-2-RF가 변별 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모든 대상자는 한양대학교 구리병원에 정신과적 진료를 내원한 환자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로부터DSM-5에 근거한 진단을 받았고,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네 집단(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통제집단으로 일반 정신과 환자)으로 분류하였다. 총 112예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를분석하기 위해 기술 통계 분석, 성별을 공변인으로 한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를 통해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 과연구 결과, 비임상군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존 선행 연구와 마찬가지로, 임상군인 정신과 외래 내원 환자들 중에서도 자살 고위험군이 저위험군에 비해 높은 정서적/내재화 문제(EID), 무력감/무망감(HLP), 자살/ 죽음 사고(SUI), 의기소침(RCd), 인지적 증상 호소(COG), 냉소적 태도(RC3), 역기능적 부정 정서(RC7)와 부정적 정서성/신경증(NEGE-r) 점수를 보였다. 하지만 자살에 대한 위험성이 높은 환자들을 자살 사고, 자살시도, 비자살적 자해를 시도하는 개인들 총 세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세 집단 모두를 변별할 수 있는변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자살 시도 집단 및 비자살적 자해 집단이 일반 정신과 환자 집단에 비해 높은행동화/외현화(BXD), 반사회적 행동(RC4), 공격성(AGG) 등을 보였으나, 자살 사고 집단과 일반 정신과 환자집단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본 연구는 MMPI-2-RF가 임상군인 정신과 외래 내원 환자들 중 자살 위험이 높은 환자들을 자살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세 집단으로 구분했을 때, 이 세 집단을 변별할 수 있는 유용한 진단적 도구로써 기능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으나, 세 집단 모두를 변별해주는 요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세 집단 간변별에는 MMPI-2-RF가 진단적으로 유용하지 않을 것으로 시사된다. 다만, 자살 사고 집단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살 시도 및 비자살적 자해 집단에서는 통제군인 일반 정신과 환자들에 비해 높은 공격성과행동화가 나타나, 자살 사고가 실제 자살 시도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지표들이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는조기변별 지표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