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보행시뮬레이터를 활용한 고령보행자 특성분석 연구

        남승용 ( Nam Seung-yong ) 한국도로교통공단 2020 교통안전연구 Vol.39 No.-

        본 연구에서는 보행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고령자와 비고령자 간의 보행패턴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 변수는 횡단속도, 횡단성공여부, 횡단 중 차량충돌여부, 충돌발생시 충돌차량의 접근 방향, 횡단 시 좌측확인, 횡단 중 우측확인으로 총 6개 항목이었다. 분석결과 고령자는 비고령자에 비해 횡단속도는 느렸고, 횡단실패 비율은 높았으며, 횡단 중 차량충돌 비율도 높았다. 또한 충돌 발생 시 접근 차량 보다는 우측접근 차량에 의한 충돌이 많았고, 좌측확인 비율은 떨어졌으나 우측 확인 비율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자의 경우 노화로 인한 신체적 능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보행교통사고의 위험성은 매우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고령자들은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고령자 집단의 취약성 및 특성에 대한 이해와 행동의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in gait patterns between the elderly and the non-aged was confirmed using a walking simulator. For the analysis, six variables, including the speed of the crossing, whether the vehicle was hit during the crossing, the direction of approach of the collision vehicle in the event of a collision, checking the left side of the crossing, and checking the right side of the crossing, were evaluated. It was observed from the analysis that the elderly pedestrians were slower in traversing than the non-aged, the cross-section failure rate was higher, and the vehicle crash rate was also higher during traversal. In addition, in the event of a collision, more number of crashes were caused by right-hand approach vehicles than by approach vehicles, and the left-hand confirmation rate dropped, but the right-hand confirmation rate was hig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duced physical abilities of elderly people due to aging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risk of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Therefore, it is likely that the elderly will need to change their understanding and behavior of the vulner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opul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 고령보행자의 횡단행태 분석 연구

        남승용 ( Nam Seung-yong ) 한국도로교통공단 2019 교통안전연구 Vol.38 No.-

        본 연구에서는 고령보행자의 보행특성 분석을 통한 대책 수립을 위하여 의식조사와 보행실태조사를 수행하였다. 먼저 의식조사 결과 고령자가 비고령자에 비해 고령자 판단기준 연령을 더 높게 생각하고 자신의 신체 상태에 대해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고 위험성도 높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최근 5년간 교통사고 경험에서도 고령자의 보행교통사고 경험 비율이 약 3배 가량 높게 나타나 실제 고령자의 보행 중 교통사고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실제 6개 유형의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고령보행자에 대한 실태분석 결과에서는 고령자는 비고령자에 비해 횡단속도는 느렸고, 녹색신호 후 반응시간 역시 비고령자에 비해 늦었다. 횡단 시 좌측확인과 횡단 중 우측확인의 경우에는 고령자와 비고령자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반적으로 확인하는 비율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a conscious investigation and a walk status survey were conducted to establish countermeasure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alkers. First, the survey found that the elderly considered the age, which was one of the judgment criteria, for the elderly to be high than those for the nonaged. The elderly believed that there was no problem with their physical condition, and the risk of an accident was not high in their case. However, the percentage of elderly people who experienced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over the past five years is about three times higher, which presents the conclusion that there prevails a high risk of traffic accidents in the case of elderly pedestrians. Second,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the elderly pedestrians crossing six types of crosswalks revealed that they had slower traversal speeds in comparison with the nonaged, and their reaction time after the green signal was also slower than the nonage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elderly and the nonaged in the case of left- and right-check identifications while crossing; the overall identification rate was very low.

      • KCI등재후보

        3E 교통안전정책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남승용 ( Nam Seung Yong ) 한국도로교통공단 2018 교통안전연구 Vol.37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안전시설, 교통단속, 교통안전교육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교통안전정책이 교통사고 감소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해 일반운전자를 대상으로 중요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운전자 대상으로 의식조사를 통해 각각의 정책별 가중치를 도출하였으며, 각각의 항목별 가중치를 전문가 집단과 일반운전자 집단을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먼저 대분류상에서 전문가집단의 경우 교통단속의 가중치가 가장 높았던 반면 일반운전자의 경우 교통단속의 가중치가 가장 낮았고, 안전시설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분류상에서는 일반운전자나 전문가집단이나 도로안전시설의 가중치가 높았다는 점에서 인위적으로 운전자들의 행동을 억제 또는 유도할 수 있는 시설의 중요성이 보다 강조된 것으로 보인다. 교통단속의 경우 일반운전자는 기계적단속, 전문가집단은 인력단속의 비중이 높았다는 점도 차이로 나타났다. 또한 세부항목에 있어서도 가장 가중치가 높은 상위 5개 항목이 일반운전자의 경우 대부분 시설 위주였던 것에 반해 전문가집단은 단속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나 생각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This study considers safety facility, traffic intermittence, and traffic safety education in Korea. Importance of each driver’s traffic safety policy was analyzed. For this purpose, the weights of each policy were derived through consciousness surveys for general drivers, and weights of each item were evaluated by comparing an expert group with a general driver group. The weight of traffic enforcement was the highest for the expert group of the main category, was the lowest for the general driver group, and it was the highest for safety facility. Importance of facilities that can artificially inhibit or induce driver behavior was emphasized such that the weight of a general driver, an expert group, or a road safety facility was high in the middle class. In the case of traffic intermittenc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ratio of mechanical interdictions for general drivers and engineering intervention for experts. In middle classification, the weight of a general driver, expert group, or road safety facility was high, and facilities that artificially suppressed or induced driver behavior seemed important.

      • 미디어환경 변화와 광고시장 전망

        남승용,노창희 한국통신학회 2011 정보와 통신 Vol.28 No.12

        광고는 제조, 유통, 서비스 등의 산업에서 공급하는 재화등에 대한 정보를 확산시키고 소비자가 이의 재화에 대한 거래를 성립시키기 위한 수단이며 광고주가 미디어 기업 등에게 지불하는 광고비는 미디어 기업에서 양질의 콘텐츠를 제작·유통 할 수 있는 주요한 재원이다. 즉, 미디어는 광고주와 수용자가 공존하는 대표적인 양면시장이며 여기서 광고는 해당 시장을 유지하게 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이처럼 미디어 환경과 광고산업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미디어 환경 및 광고 관련 규제에 국내 광고시장이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에 본고에서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중간광고, 간접광고, 종합편성 채널 PP도입, 인터넷 광고 시장 현황 및 전망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중간광고 등의 규제 완화는 국내 광고시장에 직접적으로 성장 가능성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이는 미디어 이용자의 이용행태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종합편성 채널 PP도입은 해당 사업자가 제작비에 투자하는 정도에 따라 시청률에 영향을 주며 이의 효과로서 광고비가 증가 된다는 결론이 도출 되었다. 다만 지상파, 유료방송 고려시 순증효과와 대체효과가 공존하며 이의 결과 전반적으로 광고시장의 성장이 전망 되었다.

      • KCI등재

        우리나라의 직업훈련에 의한 임금과 취업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남승용,송일호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5 사회과학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conomic effect of job training in Korea.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 Korean Labor Panel Data」 in 1998~1999. The panel data includes recent individual data in Korea from 13,000 people(5,000 households). The economic effect of job training generally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 such as micro-economics and macro-economics effects. From the micro-economic point of view, the level of employment and wage are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national produtivity increase because of decreasing the level of unemploymen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job training on the level of employment and wage in the micro side. First of all, this study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job training experience for whom have special quality. Secondly, the determination of employment is analyzed by probit method. In addition, the wage equation is estimated by Heckman's two step method.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same as the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job training experience. The results confirm that probability of job training experience increases as the amount of human capital stocks increase. Besides, this study considers the effect of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sex, age, and the level of education on the level of employment. The employment effects are different from each group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can suggest some implications to policymakers.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employment effect based on different programs such as government and private job training program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private programs are more efficient than government programs in terms of employment rate. Finally, this study adopts Heckman's two step procedure to estimate wage equation in order to correct self-selection bia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job training variable can affect the wage level and which support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n sum, the job training can affect the level of employment and wage positively.

      • KCI등재

        직장인의 차량보유 결정요인 및 통근수단 선택행태 분석

        강수철(姜秀喆),남승용(南勝龍),김만배(金萬培) 한국정책과학학회 2009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날로 심각해지는 교통혼잡에 대한 대책마련의 일환으로 차량을 보유하는 요인은 무엇인가와 출근형태별로 어떤 교통수단을 선택하는가에 대하여 실제 정기적으로 통근을 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자가용 차량을 보유하는 요인으로는 연령, 소득 등이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고, 출근형태별 차량보유확률에서는 외곽에서 서울로 통근하는 경우와 외곽에서 외곽으로 통근하는 경우가 서울에서 서울로의 통근에 비해 차량을 보유 할 확률이 높았는데, 그 가운데서도 외곽에서 외곽으로 통근하는 경우가 차량보유 확률이 가장 높았다. 출근형태별 교통수단 선택 행태에 관한 다항 로짓분석 결과 서울에서 서울로의 출근의 경우 자가용보다는 대중교통을 이용할 확률이 높았다. 서울에서 외곽으로 출근하는 경우와 외곽에서 외곽으로 출근하는 경우에는 대중교통보다는 자가용을 선택할 확률이 높았으며, 외곽에서 서울로 출근하는 경우에는 자가용보다는 대중교통 선택확률이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s the determinants of car ownership as part of preparing against traffic jams which is getting worse everyday and the mode choice classified by how people go to work. This is investigated by using a survey of office workers who go to work regularly. The reliable determinants of car ownership were age and income, etc. Also, regarding the probability of car ownership classified by how people go to work, the probability of people who go to work from outside of Seoul to inside of Seoul and from outside of Seoul to other places which are not Seoul were higher the one which people go to work from Seoul to Seoul. Especially, the probability of car ownership of people who went to work from outside of Seoul to other places was the highest. The type of travel mode choice is investigated by using multinomial logit regression which is commonly used for investigating discontinuous decision making. As a result, the probability of using public transport was higher than the one of using own cars for the people who went to work from Seoul to Seoul. Also, probabilities to choose own cars were higher than the one to choose public transport for the people who went to work from both Seoul and outside of Seoul to other places outside of Seoul. The probability of using public transport was higher than using own cars for the people who went to work from outside of Seoul to Seoul bu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poor.

      • 유방 전절제술 후 즉시 유방 재건술을 시행 받은 유방암 환자의 치료 성적

        상근,박세호,이동원,승용,박형석,김승일,박병우,유대현 한국유방암학회 2014 Journal of Breast Disease Vol.2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linical outcomes of breast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mastectomy with or without immediate breast reconstruction. Methods: Of 1,847 patients undergoing total mastectomy, 371 (20.1%) underwent immediate reconstruction between January 2005 and December 2011.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urvival were compared by perform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The proportion of reconstruction had been gradually increasing since 2009. Reconstruction group showed younger age at diagnosis and lower cancer stages. 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were more frequently administered in the mastectomy alone group. During a median follow-up period of 57 months, locoregional relapse-free survival (LRRFS) was similar regardless of type of surgery. However the reconstruction group showed a more favorable overall survival (OS). Multivariate analysis for LRRFS reveal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the OS was higher in the reconstruction group. In the mastectomy alone group, two-thirds died of breast cancer, while all patients in the reconstruction group died of breast cancer. Stage-matched breast cancer specific survival was similar between both groups. Conclusion: Immediate breast reconstruction is oncologically safe after mastectomy for breast cancer. Considering the quality of life, the patient should be preoperatively counseled by a multidisciplinary team regarding possible immediate reco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