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노래미 (Hexagrammos agrammus) 와 쥐노래미 (H. otakii) 의 세포유전학적 연구

        미아 ( Mi A Sim ),노재구 ( Jae Koo Noh ),윤권 ( Yoon Kwon Nam ),김동수 ( Dong Soo Kim ) 한국수산과학회 2002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5 No.6

        노래미와 쥐노래미의 유전적인 종 동정의 확립과 우량 품종 개발을 위한 유전 육종학적 연구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최근 양식 대상어로 대두되고 있는 두 어종을 대상으로 적혈구 세포와 핵의 크기, DNA 함량, 핵형 분석 등의 세포유전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노래미의 적혈구 세포의 크기는 장, 단축이 각각 9.76±0.27 ㎛, 6.35±0.07 ㎛로, 쥐노래미의 9.17±0.05 ㎛, 6.24±0.04 ㎛ 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표면적과 부피 역시 노래미가 48.62±1.74 ㎛^2, 213.67±7.51 ㎛^2로 쥐노래미의 적혈구 세포 표면적 44.85±0.44 ㎛^2, 부피 187.57±2.45 ㎛^3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래미의 DNA 함량은 2.15±0.04 pg, 쥐노래미는 2.10±0.03 pg으로 핵의 크기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노래미와 쥐노래미의 염색체수는 48개로 동일한 핵형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NOR 분석 결과 역시 두 종에서 1쌍의 acrocentric chromosome의 short arm에서 NOR이 확인되었다. 성별에 따른 염색채의 수적 차이나 heteromorphic한 염색체, 그리고 개체간 염색체 다형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Cytogene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obtaining information for genetic improvement of spotty belly greenling (Hexagrammos agrammus) and greenling (H. otakii) in aquaculture. Erythrocytes of spotty belly greenling were slightly larger than those of greenling (p<0.05). The nuclear volume of spotty belly greening erythrocytes averaged 15.14±0.92 ㎛^3 while that of greening averaged 14.61±0.15 ㎛^3;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0.05). Consequently, genome size of spotty belly greenling was also slightly larger than those of greenling. DNA content per cell of spotty belly greenling and greenling were 2.15 pg and 2.10 pg, respectively. The modal chromosome number of both greenling species were same as 2n=48 and karyotypes were also identical as 2 metacentrics, 11 submetacentrics and 11 acrocentric pairs (FN=74). There was no evidence of polymorphism including aneuploidy or sex-related heteromorphism for all species. Spotty belly greenling showed large sizes of active rRNA coding regions in their chromosomes. However, greenling examined only small sizes of active rRNA coding regions with dimorphism.

      • DMZ생태평화마을 조성을 위한 기초조사 및 발전방향

        박은진,남미아,박미선 경기연구원 2012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Vol.2012 No.6

        본 연구는 DMZ일원에서 지역주민의 참여역량을 강화하고 공동체 연대를 형성할 수 있는 기초로서 DMZ생태평화마을을 구상하고 이의 조성여건, 조성방향 및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DMZ생태평화마을은 소득과 경제적 이익, 일자리 창출, 정주환경개선, 복지향상, 문화향유 등 통합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공동체로서 방법론적으로는 DMZ와 관련한 자원요소를 활용하고 연계하는 마을을 의미한다. 이는 DMZ와 관련된 생태 문화적 자원요소를 발굴?활용하고 흩어진 자원들과 마을들을 연계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에서의 DMZ생태평화벨트 구축에 기여하며,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는 주민교육의 토대가 될 것이다. 더 나아가 미래 북한의 접경지역 주민들과의 동질성을 회복하는 데 있어서도 최전선 지역인 이 곳에서 DMZ생태평화마을을 통한 주민역량강화와 지역발전 방법론 학습은 남북한 접경지대의 통합적 정체성 확보와 사회문화 통합의 발전적 토대가 될 수 있다. 민통선지역의 마을과 인접 체험마을들을 조사한 결과, 마을차원에서 마을발전을 위해 DMZ를 자원요소로 연계하고자 하는 의지는 있으나 실제 구현할 방법과 전략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마을과 마을을 연결해주는 도보길인 DMZ평화누리길이 있으나 탐방객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어 향후 DMZ평화누리길이 지나는 마을과의 연계성을 확보하고 마을주민의 입장에서 활용하고 운영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관광객과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이 지역의 자원 발굴과 생태문화가치 브랜드화의 중요성과 주민을 주도적 주체로 고려하는 정책수립의 중요성과 주민들의 기대에 부응하여‘마을공동체와 참여의식 증대’, ‘주민소득 증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DMZ생태평화마을 조성을 위해서 시범마을 선정 및 성공모델의 단계적 확산, 중간지원조직과 마을간사제도 도입, DMZ평화누리길과의 연계성 강화,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서 주민참여교육의 방법론 정립, DMZ생물권보전지역 프로그램과의 연계 등이 중요한 전략으로 검토되었다. 현재 다양한 공간범위에서 추진되고 있는 지역개발사업들을 연계하여 통합적으로 지원하고 DMZ생태평화마을 지원센터를 DMZ생물권보전지역 관리센터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

      • 민통선지역 생태계 훼손요인 및 영향 저감방안 연구

        박은진,전선희,남미아,홍순영 경기연구원 2011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Vol.2011 No.11

        민통선지역의 생태계는 고립된 선형의 DMZ 생태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통합적인 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과 인간의 활동이 혼재된 완충지대이다. 민통선지역에서 생물다양성과 인간활동이 조화되고 더 나아가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만드는 것은 DMZ생태축의 보전과 활용을 위한 관건이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 하에 민통선지역에서 보전가치가 높은 서식처와 생태요소를 파악하고 이의 훼손요인을 찾아내 저감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민통선지역의 사례대상지에서 28개의 서식처 유형을 분류하여 분석하고 평가한 결과 식생이 있는 자연하천(대규모, 소하천, 합수부), 신나무 군락지가 자생하는 산림습지, 자연농수로, 둠벙, 자연활엽수림과 자연혼효림 등이 보전가치가 높은 서식처 유형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민통선지역에서 전통적인 친환경 농업활동으로 만들어진 경관요소들이 산림이나 하천과 연결된 서식처구조를 형성하여 생물다양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는 것을 의미하며, 생태계 훼손요인은 이러한 경관과 서식처를 파괴하는 요인들로서 군사시설과 활동, 하천 및 농수로 정비, 농지와 인삼밭 확대, 도로 확충 및 포장 등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부분 요인은 지역주민들의 농업 생산활동과 관련된 것이기 때문에 전통적이고 친환경적인 농업활동의 유지를 유도하고 대신 이에 대한 보상체계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민통선지역 생태계의 훼손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우선 보전가치가 높은 생물서식처에 대한 조사와 모니터링을 통한 서식처지도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중요한 지역에 대해 장기생태조사지를 선정하고 생태계 변화관찰을 장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전 서식처 유형에 대해서는 생물다양성관리계약의 유형과 규모를 확대하여 지역주민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서식처 보전에 기여하고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삼재배지와 같은 훼손지의 경우 재배 전후 토양환경관리 및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배지를 파악하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저농약재배 및 판매에 대한 홍보를 통해 친환경적인 생산방식으로 유도함으로써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 훼손지의 복원사업은 생태계보전 협력금을 활용하여 장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고 재원 확보 및 행정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역주민 스스로 참여하는 자율적인 운동으로서 토지공유화 운동인 내셔널트러스트의 활성화가 DMZ와 민통선지역의 생태계보전에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아직은 국내에서 내셔널트러스트의 권한과 역할 등이 다소 약한 편이지만 민통선지역에서 생태계 보전활동을 촉진하는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참여 활동으로서 잠재력이 크다. 경기도 차원에서 직접적으로 내셔널트러스트를 활성화시키는 사업을 할 수는 없으나 DMZ와 민통선지역의 생태계보전과 활용을 위한 인식증진 프로그램과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등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을 만들고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활성화를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Ecosystem of the Civilian Control Zone(CCZ) is an adjoining integrated system with the DMZ ecosystem, and functions as a buffer zone allowing the mixture of wild life habitats and human activities. It is essential to build an interdependent supporting relationship between biodiversity and human activiti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is area. We aimed to examine the major factors destroying valuable habitats and ecological processes in the CCZ and to suggest how to mitigate the impacts. We classified 28 biotopes at the case study site (about 22.8㎢ area) that is located near by Haemaru Village in the CCZ and assessed natural rivers, forest wetlands(inhabitation of Acer ginnala community), natural canals and ponds for irrigation, natural deciduous forests, and natural mixed forests as valuable biotope types. This result implicates that traditional organic farming in the CCZ contributes into biodiversity by increased landscape diversity and connectivity among habitats. Major factors destroying the landscape and habitat structures in the CCZ are military facilities and activities, artificial canalization of streams and waterways, farmland and ginseng field expansion, and road expansion and pavement, etc. In order to diminish the ecosystem damage in the CCZ, it is important to map the valuable biotopes and to conduct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The valuable biotopes should be conserved by reinforcing the biodiversity management agreement with farmers. Restoration projects for the damaged lands should be accomplished systematically with administrative support using the ecosystem conservation fund.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impacts by managing the soil environment and offering incentive for organic farming of ginseng fields. Int adition, it will be efficient and sustainable to activate the national trust as a voluntary and self-regulating conservation activity by local people and advocacy groups. It is important for Gyeonggi-do to establish a coordinating-supporting organization so to facilitate national trust and network of stakeholders and interest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