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 투자 우선 지역 선정과 투자 방안

        나정,박은실 한국유아교육학회 2002 유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교육복지를 실현하기 위하여 유아교육 투자 우선 지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투자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유아교육 투자 우선 지역을 선정하기 위하여 유아교육 수혜율, 인구 증감율, 재정 자립도의 기준을 채택하였다. 지역 선정 기준을 충족하는 정도에 따라서 180개 지역 교육청을 분류하여 네 가지 유형, 40개 지역의 유아교육 투자 우선 지역을 선정하였으며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한 지역의 특성별 투자 방안을 예시로 제시하였다. 유아교육 투자 우선 지역의 합리적 선정과 효율적 투자를 위한 제안으로 지역적 특성의 적극적 반영, 저소득 읍·면 지역에 대한 공립 유아교육 시설의 확대, 사립 유아교육 기관에 대한 지원, 사설 학원에 대한 정비와 장학,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각종 편의 시설 제공 등의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guidelines for the selection of Education Action Zones (EAZ)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Koreas 1997 Refor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declared that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is the goal for all children beginning, at the least, at age 5, is the force behind the EAZ. This study examines the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enrollment characteristics of the zones wherein special action to ensure educational equity must be taken. Statistical search and interviews with local people as well as consultation to specialists were employed to ascertain the zones. As a result, throughout the nation, 40 local areas were selected as EAZs. Of these 40, 3 EAZs are urgently in need of investment, 27 of the selected EAZs met two of the three crucial factors mentioned above, and other 10 qualified as EAZ through only one factor. Out study indicates that EAZ selection mus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nature and differences of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give administrative support to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in rural areas such as providing grants for low income families, to supervise private education institutes, to expand all-day programs, to develop various programs, and to provide transportation facilities.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과 보호에 대한 관점 변화에 따른 유아교육 수혜율 분석

        나정,박은실 한국교육개발원 2003 한국교육 Vol.30 No.3

        Analysis on the enrollment ratio of ECEC in Korea:regarding the change of the perspective on ECEC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OECD 교육지표에 유치원 취원율만을 보고하는 것이 타당한가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과 보호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점이 유아교육과 보호 관련 지표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현재 국제기구들이 사용하고 있는 [국제교육표준분류(ISCED]의 수준 0(취학전 교육 또는 유아교육)에 제시된 기준에 비추어, 우리나라의 보육시설이 이 기준에 충분히 부응 할 수 있다는 판단을 토대로, 유치원과 보육시설에 다니는 유아들을 통합하여 유아교육 수혜율을 산출하였다. 산출 결과, 우리나라의 유아교육 수혜율은 유치원과 보육시설을 통합하더라도 OECD 국가들의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매우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연령이 높아질수록 유치원이나 보육시설에서 유아교육과 보육을 제공받는 유아들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은 OECD 국가들의 동향과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유아교육과 보육기회를 제고하고 시설을 확충하는 등의 유아교육 및 보육 정책의 수립과 추진에 있어서 유치원 취원율과 보육시설 보육율을 통합한 유아교육 수혜율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통합형 취학전 교육(Edu-care) 운영 모델 개발 연구

        나정,김미숙 한국교육개발원 2005 한국교육 Vol.32 No.3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MOE) announced an ambitious enrichment plan for education and care for preschool children at ages 3-5 in December 2002. The new plan was called Edu-care, which was intended to provide young children with a developmentally appropriate, comprehensive service of education and care in one place. This was to resolve many problems caused by the current separate provision of education and care and to actively meet the needs of many families requesting for an integrated service. Therefore, the SMOE financially supported nineteen demonstration public kindergartens in Seoul to experiment the operation of Edu-care in 2003 and will gradually extend the service to 220 public kindergartens in Seoul by 2006.The present research was conducted to explore and suggest ideal and practical operation models with respect to facilities, programs, and administration of Edu-car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291 parents and 38 teachers of 18 kindergartens currently providing Edu-care in addition to the on-site visit and in-depth interview with those teachers, this study has adopted several basic guidelines and suggested the following two operation models of Edu-care: 1) Model A: an ideal model, which is highly encouraged in terms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2) Model B: a practical model with much consideration of finance and efficiency. 서울특별시 교육청은 2003년부터 공립유치원을 중심으로 통합형 취학전 교육(Edu-care) 진흥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정책은 현행 유치원의 교육활동과 보육활동의 분리 운영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학부모들의 통합 서비스 제공에 대한 요구를 적극 반영하기 위하여 추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통합형 취학전 교육이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전 유치원으로 확대 보급되기 위해서는 통합형 취학전 교육 운영을 위한 표준적인 모델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범유치원 관찰 및 교사면담, 학부모와 교사 대상 질문지 분석 결과 등을 기초로 하여, 통합형 취학전 교육 운영의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는 원아 모집부터 교사 배치,시설설비, 프로그램 운영, 급간식 제공, 안전에 이르기까지 표준적인 운영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상적인 안과 현실적인 안의 두 가지로 제시한 이 표준 운영 모델은 다른 교육청이나 유치원이 보다 독자적인 운영 모델을 구축하는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공립 유치원 모형 개발 연구

        나정,장명림,이은주 한국유아교육학회 1994 유아교육연구 Vol.14 No.1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public kindergartens in Korea. The goal is to determine the types of kindergartens in Korea and develop management models for individual types of public kindergartens. A view of literature reveale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ublic kindergartens in Korea and that of public kindergartens in other countries, where preschool education is considered part of public education.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public kindergartens in Korea, 700 public kindergartens were surveyed by means of questionnaires. Researchers also made visits to public kindergartens to interview teaching staff and school inspectors and discuss the general educational conditions and management problems in public kindergarte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educational environment(e.g.,classroom,toilet,playground)is so poor that normal classroom management is difficult. 2. A mixed-age-group class makes it difficult to carry out effective curriculum management. The lack of knowledge about kindergarten education on the part of the primary school principal, vice principal often creates communication problems among teaching staff. 3. Lack of financial support hinders the successful carrying out of educational activities. 4. Sinee the major concern of principal is primary school, the educational quality of public kindergarten is disregarded. Even though the principal is in charge of kindergarten with equal importance. Based on the above observations, the researchers established the following principles in developing models of public kindergartens. 1. Public kindergartens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areas where an increase in enrollment is expected. 2. If the current affiliation-system of public kindergarten should be maintained as it is,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trengthen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Based on the above two principles, we determined the types of public kindergarten and developed management models for each type as follows.

      • KCI등재

        공보육기관 운영의 불교적 요소에 관한 연구

        나정,김영연 한국종교교육학회 2010 宗敎敎育學硏究 Vol.34 No.-

        본 연구는 불교재단이 위탁 운영하는 공보육기관에서 표준보육과정 운영 책무와 불교적 요소가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는지를 탐색해보고, 향후 증가할 소지가 많은 불교계의 공보육기관 운영에 시사점을 얻고자 시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불교복지재단이 위탁 운영하는 서울시내 공립보육시설을 선정하여 2010년 9∼10월 사이에 걸쳐 80시간을 관찰하고, 종사자 12명과 어린이 6명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기타 보육관련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꽃어린이집(가칭)은 공공재정을 지원 받아서 운영하는 공립보육기관의 기본적인 책무인 표준보육과정을 기관 운영의 중심에 두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표준보육과정의 일환으로 이루어지는 기본생활습관 교육, 텃밭 가꾸기, 지역사회와의 연계활동 등에 뭇 생명의 소중함과 연기, 자리이타의 보살행 등과 같은 불교적인 가르침을 연계하여 교육하고 있었다. 또 친환경 급식 제공, 교사의 명상활동, 몇 가지 작은 불교적 상징 등이 포함된 실내외 보육환경 등에도 불교적 요소가 내포되어 있었다. 이 공립보육시설의 운영 사례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불교복지재단의 공보육기관 위탁운영이 영유아 보육이라는 국가 사회의 공익을 도모함과 동시에, 불교의 사회복지 구현에도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증가할 공보육기관의 위탁에 불교계가 더욱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