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성요통을 가진 중년여성의 코어 트레이닝이 하지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김희진,안나영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3 코칭능력개발지 Vol.25 No.1

        본 연구는 요통이 있는 중년여성에게 코어 트레이닝이 기능적 움직임(FMS) 점수와 통증의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U광역시 소재 필라테스 센터의 40-50대 중년여성 20명을 대상으로 대조군(10명)과 요통군(10명)으로 구분하였다. 연구방법은 코어 트레이닝을 8주간 주 3회 실시하여 신체구성, 허리통증 척도(VAS) 및 기능적 움직임(FMS)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코어 트레이닝 후 허리통증 척도(VAS)의 변화는 대조군 및 요통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 기능적움직임(FMS) 변화에서 대조군은 딥 스쿼트(Deep squat), 허들 스텝(Hurdle step), 인라인 런지(In-line lunge), 액티브 스트레이트 레그레이즈(Active straight leg raise)에서 운동 전보다 운동 후 유의하게(p<.05) 증가하였다. 요통군은 액티브 스트레이트 레그 레이즈(Active straight leg raise)에서 운동 전보다 운동 후 유의하게(p<.05)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만성요통을 가진 중년여성은 코어 트레이닝이 하지 기능적 움직임(FMS) 향상에 부분적으로 효과적이었다. 이에 요통환자를 위한 운동 프로그램 구성 시 운동강도 및 운동기간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Radiation from an Argon Plasma Generated by Using a High Explosive

        김희진,임창환,이기태 한국물리학회 2013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2 No.11

        Ultraviolet radiation from argon plasmas that are generated by using a high explosive were numerically investigated. The dynamics of the plasma was evaluated using a one-dimensional fluid code The chemical explosion was treated as an external ion-energy source in the region of the explosive, that generated a strong shock wave in the argon plasma with a peak pressure of 0.58GPa. The population densities in the atomic levels of Ar I and Ar II were obtained in thermal equilibrium with the electron temperature of the plasma. Next, spectral data in the 200 nm to 800nm wavelength range from the argon plasma were evaluated using a radiation transfer code. Atomic levels and transition lines were obtained from the database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total radiation intensity was estimated to be 4.1×102 J/cm2 with a conversion efficiency of 0.11%, from the chemical energy of the explosive for the case of a 1-cm-long high explosive and an initial pressure of 2.0 atm.

      • KCI등재

        대학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라 학습자가 지각하는 수업의 질과 교수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희진,박성열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3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quality of classes, teaching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affect academic achievement by dividing online university classes into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online class for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are expected to presen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each type of online university class in the future and contribute to the basis for establishing policies related to online class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39 learners at K University in Seoul for a week in October 2021, and statistically trea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n synchronous online classes at universities, the teaching pres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while the quality of the class and social pres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Second, in asynchronous online classes at universities, the quality of classes and the sense of teaching pres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while social pres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is suggests that asynchronous online classes require multilateral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es and improve system quality rather than synchronous online classes. Third, in both of online classes, the teaching presence was derived as a higher value than the social presence. This suggests that consolation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promote a teaching presence in two types of online classes.

      • KCI등재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장서 대출 이용 현황 분석

        김희진,박은경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4 No.4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대학의 위기 상황에서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장서 및 대출 이용 현황을 전국 대학도서관과 정량적으로 비교함으로 소규모 대학도서관을 위한 장서개발 지침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술정보통계시스템에서 2010년부터 2022년까지의 통계치를 추출하여 4년제 대학도서관의 평균과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재학생 수, 장서 수, 도서대출 수, 전자자료 이용건수 현황을 연도별, 권역별로 증가율, 1인당 이용량, 장서회전율, 연평균증가율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재학생 수는 전국 대학과 소규모 대학 모두 감소한 반면, 장서 수는 전국 대학도서관보다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증가율이 30% 이상 높았다. 도서 대출 수는 두 그룹 모두 약 75% 감소하였고 전자자료 이용량은 230% 이상 대폭 증가하였다. 상관관계분석에서도 동일한 추세를 보이는데, 대출이 감소하면 전자자료 이용이 증가하였고 소규모 대학도서관은 증가치가 더 높았다.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장서개발을 위해 전자자료 구입비 예산비율을 대폭 확대 조정이 필요하며 소규모 대학도서관간의 특성별 전자자료 공동이용을 위한 컨소시엄을 제안하였다. In a situation with reducing numbers of students and local universities in crisis,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llection and loan usage data in small-sized university libraries and present evidence for guiding their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Rinfo from 2010 to 2022 regarding the numbers of enrolled students, collected books, book loans, and electronic resources and compared the average values of entire 4-year university libraries to those of small-sized ones by year and region. Results show that while the numbers of enrolled students and book loans have decreased in both of groups, the number of collected books has increased 30% more in small groups and the amount of electronic resource use has increased enormously as well. Correlation analysis presents that both of groups have the consistent result. It is suggested that small-sized university libraries should highly increase their budget ratio to electronic resources for collection development and build a consortium by university’s speciality for mutual use of electronic resources.

      • KCI등재

        Image Reconstruction Method by Spatial Feature Prediction Using CNN and Attention

        김희진,이동석,권순각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24 The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Vol.11 No.1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age reconstruction method through CNN and attention layers. The proposed method reconstructs a square block from reference pixels that are located in its top and left areas. The first CNN layers of the proposed network find spatial features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for the reference pixels in the top and left areas, respectively. Then, the two spatial features are merged. The spatial features of the block are predicted by applying self-attention to the merged spatial features. A correlation between the block and the reference pixels is found through attention layers for the spatial features of the block and of the reference pixels. Finally, the last CNN layers reconstruct the pixels of the block by converting spatial feature domain to pixel domain. In simulation results, block reconstruction accuracies increase by an average of 14% for actual videos compared with intra prediction in VVC. The proposed method can accurately reconstruct for blocks including more nonlinear patterns such as curves.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고권 보장을 위한 직무이행명령의 개선에 관한 연구

        김희진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7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7 No.4

        There are frequent conflicting views and disagreements between the state, local government,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 and basic local government regarding delegated affairs nowadays. Article 170 of the Local Autonomy Law prescribes a duty execution order as a state supervision measure for the delegated affairs of a head of a local government assuming such a situation. On June 27, 1995, before the election of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if you switch from the appointment of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to the election, it was introduc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ntrol and supervision of the state by local governments in fear that it would be difficult for the state to control and supervise the local government. However, local government are independent entities with the authority not to be ordered or directed by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in the performance of self-government affairs. Even if the duty execution order is related to delegated affairs, there is no consideration for the local government with such autonomous power. The state is focused only on the control and supervision of local government, and the format of the legal text is also described from a centralized viewpoint, in terms of efficient execution of national affairs. It is a problem.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 revision plan of Article 170 of the Local Autonomy Law so as to further guarantee the autonomous power of local governm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local government. First, clearly define what the subject affair is. Second,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does not file a lawsuit, but the deputy minister and the city governor, so that they can file a litigation for affirmation of illegality of omission. Third, if the local government does not fulfill the duty execution order after the illegal confirmation, it shall be ordered to make an indirect compulsory performance, and only if it is not appropriate for the delegated affairs to settle the compensation despite the indirect compulsory performance, it will stipulate that as a last resort can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At present, the Local Autonomy Law is often defined as a state-centered perspective, so that it is unqualified to the local autonomy. Article 170 of the Local Autonomy Law is also the case. In the future, other provisions of the Local Autonomy Law should be revised to respect and guarantee the autonomous power of the local government. A truly local autonomy system can be achieved. 요즘 위임사무에 대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광역지방자치단체와 기초지방자치단체 간의 분쟁과 견해대립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방자치법 제170조는 이러한 상황을 가정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위임사무 처리에 대한 국가의 감독수단으로, 직무이행명령제도를 규정하고 있다. 직무이행명령제도는 1995년 6월 27일 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를 앞두고, 종래의 지방자치단체장이 임명제에서 선거제로 전환되면 국가가 지방자치단체들을 통제・감독하기 어려울 것을 우려하여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국가의 통제・감독을 사전에 강화하려는 취지에서 도입되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는 자치사무의 수행에 있어 중앙행정기관으로부터 합목적성에 관하여 명령・지시를 받지 않을 권한을 가지고 있는 독립된 주체인데, 직무이행명령제도가 위임사무에 관한 것이라 하더라도 그러한 자치권을 가진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배려 없이 국가의 지방자치단체를 통제・감독 하는 것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법조문의 형식에 있어서도 중앙집권적인 시각에서 서술되어 있는 등 국가의 사무를 효율적으로 집행하기 위한 관점에서 규정되어 있어 문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 중심적인 입장에서 규정되어 있는 지방자치법 제170조를 지방자치단체의 관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을 더욱 보장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법 제170조에 대한 개정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해석상 대상사무가 무엇인가에 관해서 법문에 명확히 규정한다. 둘째, 직무이행명령에 이의가 있는 지방자치단체장이 소를 제기하는 것이 아니라 주무부장관이나 시・도지사가 원고가 되어 부작위위법확인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위법확인을 받은 이후에도 부작위위법확인소송판결의 효력인 재처분 의무에 해당하는 직무이행명령을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이행하지 않을 경우 간접강제를 명하고, 간접강제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손해배상으로 해결하는 것이 위임사무의 처리에 부적당한 경우에만 최후의 수단으로서 대집행을 할 수 있다고 규정한다. 현재 지방자치법을 보면 지방자치라는 법제명이 무색할 만큼 여전히 국가 중심적인 관점에서 규정된 것들이 종종 있다. 지방자치법 제170조 직무이행명령도 그와 같은 경우인데, 앞으로 지방자치법의 다른 규정들에 대해서도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을 존중하고 보장할 수 있는 측면으로 개정되어야 할 것이며, 이렇게 될 때 헌법으로부터 보장되고 있는 진정한 지방자치제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ChatGPT를 활용한 디지털 시민성 수업 제안 : 고등학교 정보교과 중심

        김희진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5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1 No.1

        현대사회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디지털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삶의 영역이 디지털 환경과 연계됨에 따라 디지털 시민성은 이런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에게 필요한 자질이자 역량이다. 이에 본 논문은 디지털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이 가져야 할 기본 소양인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고등학교 정보 교과 수업으로 제안한다.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해 ChatGPT의 할루시네이션 현상을 이용하여 생성형 AI가 제공한 내용의 오류와 부적절성을 중심으로 수업을 설계한다. 이를 통해 2022 개정 정보과 교과역량인 디지털 문화 소양과 인공지능 소양과 부합됨을 보이고, 데이터의 올바른 수집과 진위 판별의 과정의 중요함을 제시함으로써 디지털 시민성 교육 강화에 기여한다. Modern society is undergoing extensive digital transformation across all sector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al technology advancements impact our lives by enabling individuals to access digital services and create content anytime and anywhere, based only on personal interests and preferences. As various aspects of life become intertwined with digital environments, digital citizenship emerges as a crucial competency and quality required of citizens navigating this new societal landscape. This paper proposes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as a high school information curriculum class, which is the fundamental skill set citizens in a digital society must have. To cultivate digital citizenship, the course will utilize the phenomenon of hallucination in ChatGPT, focusing on the errors and inaccuracies generated by generative AI. This approach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critically evaluating the accuracy of AI-generated information rather than accepting AI-generated content at face value by including the possibility that generative AI can also transmit false information in this paper's course design. This approach aligns with the 2022 revised information curriculum’s goals of fostering digital and AI literac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ccurate data collection and the process of verifying information in this information lesson contributes to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