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순환신경망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량 예측 모델 설계

        김한호,탁해성,조환규 한국정보과학회 2019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6 No.6

        The Smart Grid predicts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renewable energy and enables efficient power generation and consumption. Existing PV power generation prediction studies have rarely applied and compared recurrent neural network techniques that are superior to time series. Furthermore, in the reported studies, there is no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past data used for learning, leading to lowered prediction performance of the model. In this study, we used the embedded variable selection techniques to find the factors influencing PV power generation. Subsequentl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nsert various past data length into the recurrent neural networks (RNN, LSTM, GRU). We found the optimal prediction factors and designed a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outcomes of the experiments. The designed PV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shows better prediction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factor settings. In addition, better performance based on the prediction rate is confirmed in the present study 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researches. 스마트그리드는 태양광 발전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전력 생산과 소비를 가능하게 한다. 기존 태양광 발전량 예측 연구들은 시계열에 뛰어난 순환신경망 기법들을 적용 및 비교한 연구가 거의 없다. 또한 학습에 사용되는 과거 데이터의 길이에 대한 고려가 없어 모델의 예측 성능이 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임베디드 변수 선택 기법을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고, 시계열 순환신경망 기법들(RNN, LSTM. GRU)에 다양한 과거 데이터 길이를 넣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예측 요인들을 찾고 예측 모델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태양광 발전량 예측 모델은 다른 변수 설정을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더욱 뛰어난 예측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태양광 발전량 예측 결과가 더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The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Changes of Agricultural Sector in Transition Countries - Focusing on the Effects of Policy Reform and Initial Conditions -

        김한호,안동환 국제지역학회 2008 국제지역연구 Vol.12 No.3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licy reform, industrial transformation, and initial conditions on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changes in 28 transition countries. Our findings are: (i) Asian and CEE transition countries performed better than CIS countries, while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CEE countries seems to be more prominent compared to that of Asian and CIS countries; (ii) The technical progress proved to be the main source of productivity growth, particularly in CEE countries; (iii) Reform policy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seems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agricultural sector and its changes; (iv) The initial conditions also matter.

      • KCI등재

        국내 승마활동 잠재 시장규모 추정

        김한호,재경 한국농업경제학회 2008 農業經濟硏究 Vol.49 No.5

        Potential size of Market for horse riding activity is estimated in the situation that no empirical data is available. The estimation is based on Ordered Response Model with consumers survey data. Results indicate that the potential market size is pretty considerable and raising the degree of consumer's recognition of horse riding activity through public relations is important in order to expand the market size.

      • 갈등과 혼란에 빠진 미국 농업법

        김한호 GS&J 인스티튜트 2014 시선집중 GSnJ Vol.- No.171

        ○ 2008년 농업법은 2012년 9월 30일에 효력이 만료되었으나 아직도 새로운 입법에 실패하여, 현재 농산물 시장가격이 높은데도 1938년 농업법에 따라 생산자에 상당한 지원을 해야 할지도 모르는 상황에 있다. ○ 1938년의 농업법은 영구법인 반면 그 후의 농업법은 한시법이어서 그 시한이 지나면 효력을 상실하고 자동적으로 영구법인 1938년의 농업법으로 돌아가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 이번 농업법이 이와 같이 유례없는 진통을 겪는 것은 국가재정개혁위원회가 농업예산도 2020년까지 150억 달러 감축하도록 요청하여 농정개혁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그 실현 방안에 대한 의견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 하원은 푸드스탬프로 대표되는 영양지원 예산을 390억 달러나 감축하자고 하는 반면 상원과 행정부는 이에 강력히 반발하여 농업법 제정의 최대 쟁점이 되고 있다. ○ 품목지원 예산을 감축하는 데는 합의가 이루어져 고정직불은 폐지하기로 하고, 현재의 보험제도가 커버하지 못하는 경미한 손실을 보전하는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는 데는 양원이 합의하고 있다. ○ 품목지원 감축에 쉽게 합의가 이루어진 것은 현재 모든 농산물의 시장가격이 목표가격보다 훨씬 높아 변동직불은 농가에 실익이 없게 되었고, 고정직불은 시장가격이 충분히 높은데도 지급하는 보조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 그러나 하원은 품목지원을 대폭 줄이고 보험제도를 확대하자고 주장하는 반면, 상원은 품목지원 예산감축은 적게 하고 재해지원을 폐지하자고 주장하며 보험에서 39억 달러, 품목지원에서 13억 달러의 차이가 나고 있다. ○ 이번 사태는 예산감축이라는 악재와 농산물 가격의 상승이라는 호재를 동시에 만난 상황에서 미국의 정치와 농정이 치열하게 갈등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SCOPUSSCIEKCI등재

        원발성 척추 경막상 Ewing's Sarcoma : 1례 보고 Report of 1 Case

        김한호,강창구,동희,대조 대한신경외과학회 1993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2 No.10

        Ewing's sarcoma, origination primarily in the spinal epidural space is exceptionally rare. There are only 6 case reports in English literature until 1986. We experienced a case of epidural Ewing's sarcoma originated in thouacic spinal canal at T6~T7 level with myelopathy. Initial neural decompression was very effective and complete recovery was achieved. But local recurrence occured in relatively short follow up period(8months). Subsequent radiotherapy showed us dramatic tumor regression and improvement of neurologic deficit. The problems that concerned in this tumor are its accurate diagnosis and appropriate therapeutic modality. We reviewed the literatures that deal with exceptional locations of Ewing's sarcoma and current therapeutic approaches with their outcomes.

      • 뉴질랜드의 농업개혁,우리의 모델이 될 수 있을까?

        김한호,이정환 GS&J 인스티튜트 2009 시선집중 GSnJ Vol.- No.77

        ○ 뉴질랜드는 1984년 농민단체의 주도로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과감하고 급속한 농업개혁을 단행하였고, 이 같은 뉴질랜드의 과감한 농업개혁은 많은 나라에게 모범적 개혁사례로 회자되어 왔다. ○ 뉴질랜드 농업은 농업생산의 90%를 수출하여 뉴질랜드 총수출액의 60%를 차지하는 주력 수출산업이었으나, 정부의 농업용품 수입규제, 지나치게 높은 임금상승, 인위적 환율상승 억제로 농업은 매우 불리한 환경에 처해 있었고, 이를 보전하기 위해 농업부문에 방대한 보조금이 집중되었다. ○ 이와 같이 농업에 불리한 경제정책을 개혁하는 대신 농업에 대한 보조금을 철폐하여 재정부담을 해결하고 모든 분야에 시장기능을 활성화 시킨다는 것이 뉴질랜드의 경제개혁이었고 농업개혁의 요체였다. ○ 뉴질랜드의 문제는 정부가 품목별 지원수준을 결정함으로서 생산에 직접적 영향을 주어 농업생산이 시장의 가격신호를 반영하지 못하였다는데 있었고, 따라서 농업개혁의 효과는 생산과 연계된 정책을 철폐하여 시장의 선택기능을 존중하는 데 있었다. ○ 그러나 당초 기대와 달리 개혁과정에서 단기적으로 농업은 부채문제, 소득감소 문제 등에서 극심한 어려움을 겪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과감한 부채조정 등 추가적인 보완조치가 도입되어 개혁과정 중에 파생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서 장기적으로 시장지향적인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재편되었다. ○ 뉴질랜드의 농업개혁은 수출산업의 입장에서 추진된 것이므로 우리나라 농업에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나, (1)농업보조금 개혁은 그 직접적 손실을 보전하는 다른 개혁이 동반되고 변화과정의 고통을 해결할 수 있는 보완대책이 수반되어야 하며, (2)정부의 정책이 특정 상품의 생산과 수출을 지원하는 이른바 생산과 연계된 것이 되어서는 안 되고, (3)따라서 현재 대부분 생산과 연계되어 있는 우리나라 농업정책을 생산중립적인 것으로 개편하는데 농정개혁의 초점을 두어야 한다.

      • 경제발전과 WTO 다자간 농업무역협상의 의미

        김한호 서울대학교 농업개발연구소 200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 No.-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conomic development and endogenous agricultural policy which has implication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s. Using public choice model, the endogenous determination of Korean rice price is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the chosen policy variables, farm income and budget,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level of government rice price which coincides with the several previous studies on other industrialized countries such as US, EU, and Japan. Finally, I suggested some international implications which leads to WTO multinational trade negotiations on agriculture.

      • 농업부문 국내총생산함수를 이용한 한국 농업의 성장요인 분석

        김한호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개발연구소 1998 농업생명과학연구 Vol.2 No.-

        This study draws on agricultural GDP function approach to identify the sources of Korean agricultural growth over the period from 1955 to 1992. The method has unique features in taking account of real price effect as a factor influencing the growth of agriculture. The non-parametric analysis suggests that real price changes have negative effect on Korean agricultural growth. In general, the input effects on growth dominates the productivity effects in Korean agricultural sector during the study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