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의사보조인력(Physician Assistant)에 대한 법적 검토
김한나,김계현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36 No.3
Large hospitals have carried out medical assistance actions by hiring new physician assistants according to its practical needs. In recent years, the medical community has been discussing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hysician assistants. Although the so-called 'PA' is performing medical service in domestic cases, an official survey is lacking as well as having an insufficient legal basis. Accordingly, a legal dispute can possibly be held regarding physician assistants’ support task. Since their medical support may directly impact patients’ life and health, related jobs’ status and legal character should be understood and specific improvements should be sought regarding the physician assistants’ use. The main issues related to the physician assistants in the country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the work scope of physician assistants is not clear. Also, since most physician assistants’ works can be evaluated as medical practices, it could be viewed as unlicensed medical practices depending on the specific scope of work.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with other similar type of jobs that is currently institutionalized can be a problem. In particular, setting of relationship with medical specialist is important and a legal evaluation can be varied depends on the license, eligibility and types. Taking into account these problems, it is needed to seek improvements suitable to the domestic medical environment. 국내의 경우 의료현장에서 현실적인 필요성에 따라 의사보조인력(Physician Assistant) 을 두고 구체적인 의료 보조행위를 하도록 해왔다. 이렇게 의사보조인력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직군이 있으나 해당 직군의 업무수행과 관련하여 법적 근거는 물론 관련연구도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의사보조인력과 관련하여 이들의 업무 수행에 있어서 법적분쟁이 발생할 소지가 있어 문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제도화 여부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 의사보조인력과 관련된 몇 가지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의사보조인력에 대한 업무의 범위가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의사보조인력이 수행하는 업무의 대부분이 의료법상 의료행위로 평가될 수 있어 무면허의료행위로 볼 소지가 있어 문제된다. 또한 현재 제도권 내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타 유사 직종과의 관계도 문제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쟁점사항들을 검토하여 국내 의료환경에 적합한 개선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의사 인력 수급 문제 등을 이유로 새로운 의사보조인력의 활용 및 제도화의 필요성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의료인 면허제도의 취지를 고려해 보았을 때, 현행제도의 기본적인 틀을 벗어나는 대안을 마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즉, 새로운 의사보조인력을 활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제도 신설을 추진하기 보다는 팀의료를 활성화하거나, 전문간호사제를 활용하는 등 현행 제도를 활용하여 해결책을 모색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김한나 CHONGSHIN UNIVERSITY 2022 CHONGSHIN REVIEW Vol.27 No.-
Korea has made constant efforsf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o provide basic education for students and education that enables them to develop individual careers.tThe government has decided that itewould be beneficial to reorganize the new curriculum once again and has a plan to reorganize it with a new curriculum. In thisdnew curriculum,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has announced tha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ill be partially introduced by 2022 and fully introduced by 2025 after sufficient preparation. However, a careful approach is required since there are many things to consider before convertaing the current high school curriculum, which is currently operating in a unit system, to a credit system. To this end, teis paper analy es th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Mmatters to be considered when introducing the chance,Sand the suitability for the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Also,Iin this paper,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proposed through the analysis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previous researc to suggest the perspective of upper-level education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and teacher supply and dem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fhav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securing diversity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김한나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3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lementary school self-Assessment Tool applicable to the school fields appropriately for the purpose and nature of elementary school and underst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identified the areas of elementary school self-assessment Tool was classified into four sub-categories: school culture and school management, elementary school's educational course, educational outcome and satisfaction, and school's self-evaluation and oper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consideration of previous studies, and expert consultation, conceptualized the areas. Then conducted the 1st, 2nd, and 3rd delphi survey for developing the items and questions for elementary school self-evaluation tool and drew area-specific evaluation items and questions. Based on this, this study conducted a preliminary review of 17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capital area and then conducted a main survey of 601 teachers and made item qualit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s a result, item quality, reliability, and validity all appeared good. Through such a process, the elementary school self-Assessment Tool finally included four evaluation areas, sixteen evaluation items, and eighty nine evaluation questions.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elf-Assessment Tool is very significant to all including student, parent, teacher, and principal. The utiliz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self-Assessmen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and implementation of the self-evaluation at the school level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and improving the school itself and helping students develop their basic fundamentals and sound personality at the elementary schools, where students’ basic growth is achieved. At this same time, it is also expected to improve cooperation and confidential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 teacher, and parent in helping to take care of students’holistic and integrative growth. In such a sense, the elementary school self-Assessment Tool will be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effective school operation.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육의 목적과 성격에 부합한 학교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초등학교의 자체평가 도구를 개발한 후,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과 선행연구 고찰 및 전문가 협의를 통해 초등학교 자체평가 도구의 영역을 크게 학교문화 및 학교경영,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성과 및 만족도, 학교자체평가운영의 네 가지 영역으로 구인화하였다. 다음으로 초등학교 학교자체평가 도구의 항목과 문항 개발을 위한 1, 2, 3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영역별 평가항목과 평가문항을 도출했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과 수도권 초등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그 후 601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양호도 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문항양호도, 신뢰도, 타당도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초등학교 자체평가 도구는 4개의 평가영역, 16개 평가항목과 89개 평가문항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초등학교 자체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각 학교에서 자체적인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기초적 성장이 이뤄지는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의 건전한 인격과 기본소양을 키우고 학교의 발전과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더불어 학생들의 전인적, 통합적 성장을 돌보기 위한 교장, 교사, 학부모의 상호 협력과 신뢰 관계가 개선되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초등학교 자체평가 도구는 효과적 학교 운영을 위한 소중한 시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김한나,김계현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아주법학 Vol.10 No.4
최근 의료기관 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의료광고 역시 급증하고 있다. 특히 2007년 의료법 개정으로 의료광고에 대한 규제방식이 원칙적 허용, 예외적 금지로 금지사유를 규정하는 네거티브 방식으로 변경되어 의료광고가 크게 증가하였다. 한편, 최근 의료광고와 관련하여 헌법재판소는 의료법상 의료광고 사전심의 관련 규정을 위헌으로 판단한바 있다. 의료단체가 수행하고 있는 의료광고 사전심의가 행정권으로부터 자율성이 보장되지 않아 헌법상 금지하는 사전검열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것이다. 의료광고 사전심의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의료광고 관련 제도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의료광고 관련 제도 개편을 위한 핵심은 의료광고에 대한 심의 관련 업무가 행정권으로부터 독립되어 있는 민간심의기구를 통하여 자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관련 법령 개정이 요구되며, 심의제도 운용상 문제가 되는 부분들은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본다. 또한 민간 심의기구를 통한 심의의 활성화를 위한 유인책(인증제도 등)을 마련하는 등 의료광고 규제의 합리적 개선이 이루어져야 의료광고 규제의 실효성을 확보하여 허위‧과대광고를 방지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이 가능해질 것이다. 기존의 의료광고 규제제도가 소비자의 건강권 보호 및 불공정경쟁 방지의 관점에 입각하여 설계‧운영되어 왔다면, 향후 의료광고 규제제도는 의료인의 표현의 자유 내지 직업수행의 자유, 소비자 보호 내지 공정거래질서 확보를 균형 있게 조화시키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라 본다. As the competition among medical organizations intensifies, medical advertisements are rapidly increasing. Since the amendment of the medical law in 2007, the regulation method has been shifted to a negative format which stipulates grounds for limitation with principle permission and exceptional prohibition. Internet advertising, along with newspapers and magazines, is an important means of ads these days. Also, indirect advertising such as native ads is also increasing. Meanwhile,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ruled the regulations regarding pre-censorship of medical advertising under the medical law unconstitutional. The pre-censorship on medical ads conducted by medical organizations is not guaranteed autonomy from the administrative power, which pertains to an act of pre-censorship prohibited under the Constitution. Following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regarding pre-censorship on medical ads, there now exists a need to amend the censorship system of advertisement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s currently planning on an intensive post-monitoring program on illegal medical advertisements as the pre-censorship system has become autonom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ads, a reasonable regulation on medical ads through pre-censorship by autonomous censoring organizations is necessary. Meanwhile, since the regulation on medical ads remains unchanged regardless of pre-censorship, there must be a legal and administrative amendment regarding the future and censorship methods of medical ads and regulations through careful review of the current regulation details and precedent cases.
연동형 비례제와 정당 민주화: 독일과 뉴질랜드 주요 정당의 공천제도 비교연구
김한나,박현석 국회입법조사처 2019 입법과 정책 Vol.11 No.1
본 연구는 연동형 비례제를 실시하는 독일과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각국 주요 정당들의 공천 제도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최근 연동형 비례제의 도입 문제는 선거 결과의 비례성을 높이고 신진 정치세력의 진입 장벽을 낮추자는 취지에서 논의되고 있다. 하지 만 연동형 비례제를 실시하는 독일과 뉴질랜드의 주요 정당들을 자세히 살펴본 결과, 연 동형 비례제가 반드시 당원의 포괄적 참여를 보장하는 공천 시스템과 연계되어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 연동형 비례제를 실시하는 국가들에서는 공통적으로 정당 엘리트의 입지 가 강화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이는 한국에서 연동형 비례제가 도입될 경우 당 내부 엘리트의 영향력을 견제하고 민주적인 후보 공천 절차를 제도화하는 방안이 동시에 필요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andidate selection system of major political parties in Germany and New Zealand which operate mixed-member- proportional(MMP). Though issue about introducing MMP has been discussed in order to increase the proportionality of the election results and to lower the barriers to entry of new political parties and political novice. However, this paper shows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MMP is hardly necessarily linked to a system of candidate selection that ensures comprehensive participation of party members. In Germany and New Zealand, where the MMP has been used, there is a common tendency to strengthen the position of party elites. This suggests that if the MMP is introduced in Korea, it may be necessary to check the influence of the party elite and democratically institutionalize the nomination process.
New record of Spotstripe snapper, Lutjanus ophuysenii (Perciformes: Lutjanidae) from Korea
김한나,김진구 한국수산과학회 2016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19 No.4
Three specimens of Lutjanus ophuysenii (217.8–226.7 mm in standard length) were collected by a gill net at Korea between August 2015 and July 2016. This species has not previously been recorded from Korea. L. ophuysenii is very similar to Lutjanus vitta. But sever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distinguish the two species, including the number of lateral line scales (46–49 scales in L. ophuysenii; 49–52 scales in L. vitta), a black spot in the middle part of the longitudinal stripe (present in L. ophuysenii; absent in L. vitta), and the absence of a scale on posterior end of the preopercle in L. ophuysenii (present in L. vitta). The Korean name proposed for L. ophuysenii is “Jeom-jul-tung-dom.”
김한나,강호수,송승원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2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teachers’ self-efficacy.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8,788 teachers in 552 lower secondary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Finland, and Korea using data from TALIS 2013.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was used, considering both teacher-level and school-level variables in order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teachers’ self-efficacy.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self-efficacy in classroom management, instruction, and student engagement was found across the four nations.
김한나 한국알코올과학회 2012 한국알코올과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06
본 연구는 여성 ACOAs의 부모역할에 관한 연구로써, 부모역할에 영향을 주 는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 우울,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 이 부모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우울과 부부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0년 10월 2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이루어졌으 며, 총 1,889명의 초등학생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기기 입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에서 1,224명이 조사에 참여하였으며, 본 연구의 대상자인 여성 ACOAs 342명의 설문지만이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여성 ACOAs의 우울은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과 부모역 할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 난 반면에, 부부관계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성 ACOAs의 부모역할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지원체계 분석 연구: 중국 대학을 중심으로
김한나 핵심역량교육학회 2019 핵심역량교육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by analyzing the support system for liberal arts curriculum of overseas universities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and support system of domestic universities.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operation and support system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of the Chinese universities adjacent to Korea, and the in-depth study focused on the cases of Tsinghua University and Peking University, which are said to be the best comprehensive universities among Chinese universities. In order to analyze the support system for liberal arts curriculum of Tsinghua University and Peking University, the direction of talented and liberal arts education pursued by each university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objectives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the curriculum of the liberal arts, and the core liberal arts were reviewed. The core liberal arts of the two universities were compared in three categories: the number of subjects,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s,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upport system for the liberal arts curriculum of the two universities was examined in five aspects: the organization system, the establishment of liberal arts curriculum, the faculty,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recruitment of freshmen. In addition, the support system for liberal arts curriculum of the two universities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five items. Through this,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liberal arts curriculum and support system in higher education institutes in China, and suggests implications and applicability to the operation and support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of Korean universities. I would like to discuss improvem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to be used as a necessary material for educational development of both countries. 본 연구는 글로벌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해외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지원체제를 분석함으로써 국제적 이해를 도모하고, 국내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운영과 지원체제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인접해 있는 중국대학의 교양교육과정 운영과 지원체제를 살펴보았으며 중국의 여러 대학 중에서도 특히 최고의 종합대학이라 일컬어지는 칭화대학과 북경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보다 깊이 있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칭화대학과 북경대학의 교양교육과정 지원체제 분석을 위해 각 대학에서 추구하는 인재상 및 교양교육의 방향을 살펴보았다. 또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교양교육의 목표, 학사커리큘럼, 핵심교양과목을 살펴보고 두 대학의 핵심교양과목에 대해 과목 수, 과목 구성, 교수학습방법의 세 가지 항목으로 비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두 대학의 교양교육과정의 지원체제에 대해서 조직제도, 교양교육과목 설치, 교사진, 교양교육 특색발전과 학과 융합한 신입생 모집 방안의 다섯 가지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추가로 두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지원체제를 5가지 항목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중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고등교육기관에서의 교양교육과정과 이에 대한 지원체계와 관련한 이해를 도모하고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운영과 지원에 주는 시사점과 적용 가능한 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제이해의 관점에서 상호이해가 증진되고 양국의 교육발전에 필요한 자료로써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