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29년 순조 기축진찬의궤(己丑進饌儀軌) 자경전 정일 진찬 미수에 관한 연구

        김하윤,김명희,김아현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8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3 No.4

        This study analyzed the Gichuk years JagyeongjeonJeongilJinchan Misu. The banquet, Misu is offered to the king by the crown prince, crown princess, and vassal, according to procedure. JagyeongjeonJeongil Misu are offered as 49 dishes spanning seven courses, so seven dishes in each misu are offered. Various types of food, such as Gawjeong, fruit, soups and side dishes, are placed. Misu involves only the king, crown prince, and crown princess in the banquet. The number of misu dishes are different for the King and prince. The table used is called the Joochil Sowonban and the tableware used is brassware and pottery. Sangwha used Peonies, Chinese rose, Red peach blossom-samjihwa, and Red peach blossombyulgeonhwa in each misu.

      • 만시(輓詩)에 나타난 슬픔 표출 방식 고찰 -목릉성세(穆陵盛世) 문인을 중심으로-

        김하윤 培材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2022 人文論叢 Vol.39 No.-

        이 논문은 조선시대 네 명의 문인(정온, 김상헌, 김육, 장유)들 의 만시를 중심으로 슬픔의 표출방식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죽음 은 대상의 영원한 부재를 의미하고, 만시는 망자(亡者)와의 인생 을 회고하고 추모하면서 지은 한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만시는 고인과의 친소 관계나 대상에 따라서 표현방식이 달라지기도 하지만, 슬픔과 칭양(稱揚)을 중심으로 자발적 창작이 주를 이루고 있 다. 본고에서는 네 명의 문인들의 만시 작품들을 중심으로 곡진한 슬픔을 표현하는 방식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네 명의 만시 에 대한 대략적인 내용들을 소개하였고, 이들은 모두 목릉성세(穆 陵盛世)의 비슷한 시기를 살다간 당대 대표적 문인들이기 때문에 작품에서 보이는 표현 양상들의 비교 연구를 통해 만시 창작이 활 발했던 당시의 분위기를 읽어내는 척도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 다. 선행된 연구는 먼저 네 명의 문인들에 대한 만시를 전체적으로 개관해보고, 개략적으로 서술해보았다. 그리고 이들이 만시를 통해 망자를 애도하는 주된 표현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첫 번째 는 고인과의 추억과 일화를 다시 소환해가면서 망자와 즐겁게 지 냈던 시간들을 함께 공유한 일화를 통해 슬픔을 표출하는 방식이 다. 두 번째는 감정의 직접적인 전달보다는 주변 자연이나 배경에 감정을 의탁하거나 우회적으로 말하는 방식으로 감정을 표출하여 화자의 슬픔의 깊이를 독자가 가늠하도록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 로 세 번째는 떠나간 망자에 대한 축도(祝禱)의 한 형식으로 도교 사상을 빌어서 기원하는 것이다. 현실의 힘들고 어려웠던 일들을 모두 벗어던지고 초월세계인 선계(仙界)에서 편하고 즐거운 일만 가득하기를 바라는 망자에 대한 화자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This thesis was intended to examine the way of expressing sadness, focusing on the late poems of four literary men(Jeong On(鄭蘊), Kim Sang-heon(金尙憲), Kim Yuk(金堉), Jang Yu(張維)) in the Joseon Dynasty. Death means the permanent absence of an object, and mansi(輓詩) refers to Chinese poems composed while reminiscing and commemorating the life with the deceased. In general, the expression method of mansi(輓詩) varie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or the target, but the spontaneous creation mainly focuses on sadness and praise. Focusing on the Mansi(輓詩) works of the four writers, the methods of expressing profound sorrow were examined in this paper. First, we introduce the approximate contents of the four Mansi, and since they are all representative writers of the time who lived in the same period of Mokreung Seongse (穆陵盛世), the atmosphere of the time when Mansi(輓詩) creation was active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the expression aspects seen in their works. could be a measure of reading. First, the Mansi(輓詩) of the four writers was overviewed and briefly described. And the main way they express their mourning for the deceased through Mansi(輓詩) is, first, to express sadness through recalling memories and anecdotes with the deceased and sharing anecdotes of happy times with the deceased. The second is to let the reader gauge the depth of the narrator's sadness by expressing emotions by entrusting them to the surrounding nature or background rather than directly conveying them. Finally, the third is a form of benediction for the departed, praying for the Taoist thought. They want to throw away all the hard and difficult things in reality and only have comfortable and enjoyable things in the transcendental world, the world of celestial beings.

      • KCI등재

        외식 프랜차이즈 본부지원과 관계몰입에 대한연구본부특성과 가맹점 특성을 중심으로

        김하윤 한국외식경영학회 2015 외식경영연구 Vol.18 No.1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lational commitment between the franchisor and franchise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ainly to inquire the variable of franchisor and franchisees characteristic affecting the relational commitment and satisfaction. The data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questionnaire and personal interviews finally, 38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Win 17.0. To test hypothe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moderator regression.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franchiser external form, capability, franchisee transaction specific investment and location are positively influence on franchisee's satisfaction. Support is moderating effect on external form and satisfaction, enforcement and satisfaction, and, location and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 on commitment. 본 연구는 외식 프랜차이즈의 가맹본부의 특성과 가맹점의 특성에 따라서 만족도가 틀려지는지, 또한 가맹본부의 지원 여부가 이들을 조절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총 으로 5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가맹본부의 특성 중 체인점 수나 규모, 명성 등이 높을수록, 가맹본부의 능력이 좋을수록 가맹본부에 대하여 더 큰 만족도를 보였다. 가맹점의 특성 중 가맹점의 시설이나, 교육 등 거래특유투자를 많이 했을 경우, 입지가 좋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맹본부와 만족사이에 운영관리요소의 조절역할을 살펴보면, 지원은 가맹본부의 외형과 만족, 엄격함과 만족사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가맹점 특성과 만족사이의 운영관리 요소역할을 보면, 지원은 가맹본부의 입지와 만족사이에 조절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가맹본부에 대한 만족과 관계몰입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게 인과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가맹본부는 외형적인 특징이나 시스템을 정비하여 가맹점의 만족도를 높이고, 가맹 거래 시점에 입지와 거래특유투자에 대한 세심한 체크가 필요하다. 또한 가맹점 운영지원 시 메뉴개발, 교육 및 훈련지원, 광고판촉 등의 지원을 통하여 가맹점의 만족도를 높여야 하겠다.

      • KCI등재

        金尙憲 漢詩에 사용된 '惆悵'의 쓰임새 考察

        김하윤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8 No.-

        淸陰 金尙憲(1570-1652)은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斥和派의 領袖이며, 節操의 상징이다. 그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청나라 사람들에게도 존경의 대상이 되었고, 후세 형 金尙容과 함께 壯洞 金門의 顯祖로 인정받았다. 그의 인생은 대북파와의 대립, 병자호란 때의 심양 억류 생활 등 우리 민족의 상흔과 그 맥을 같이 한다. 그렇기에 청음 시의 전체 基調는 閑情이나 詠物을 읊은 시보다는 슬픔과 괴로움을 노래한 애상이 주가 된다고 하겠다. 청음 시문학에서 괴로움이나 애상적 시어들은 1음절, 또는 2음절의 어휘들이 간헐적 반복을 보이지만, 유독 '惆悵'은 동일 시어 중에서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여주고 있다. '惆悵'이 62회('悵' 8회 포함)에 걸쳐서 반복 사용되었고, 이는 청음 시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단서를 제공해주고 있다. 이들은 절구와 율시에서는 詩體에 관계없이 동일한 비율로 사용되었다. 반면에 5언보다는 7언에서 8:53으로 7언이 압도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7언이 작가의 세심한 정서표출에 더욱 유리하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惆悵'의 시어는 다양한 방법으로 변용되어 나타났다. 死別이나 別離로 인한 대상의 그리움이나 인생의 무상함을 나타낼 때도 惆悵이 사용되었고, 感傷的 배경, 또는 자연 배경의 感傷으로 觸發한 고향에 대한 그리움도 惆悵으로 표출하였다. 이를 통해 청음은 惆悵의 시어를 상황에 따라 화자의 정서를 다각도로 표출하면서 자신의 감정과 정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淸陰金尙憲(1570-1652)是朝鮮中期斥和派的代表領袖,也是節操的象征.他不僅是我國,也是清朝人們尊敬的人物,后世和兄長一起被認定為壯洞金門的元祖. 他一生句大北派對立,丙子胡亂時期的沈陽扣留生活等成為我們民族的傷痕.所以清陰詩的整体基調不是咏閑咏物的詩,而是主要吟咏悲傷和孤獨的詩. 清陰詩文學中孤獨或哀傷的詩第一或第二音節一些詞匯會間歇性的重夏,而其中唯有"惆悵"這个詞在同一詩語中最高頻度的出現'惆悵'這个詞連續被使用了62次,為發現淸陰詩另一小層面提供了線索。在絕句和律詩中,不論任何詩体,'惆悵'都是以一樣的頻率中被使用。但是比起五言詩,七言詩以53: 8的出現頻率表現了壓倒的的結果,可以看出七言在表達作者的細微情緒詩上更有利. '惆悵'這个詩語也出現了各科各樣的變用.因為死別或者別离,對對方的思念或者表達人世无常時會使用'惆悵',傷感的背景或者以自然的背景感傷觸發了思鄉之情時也用'惆悵'來表達.所以清陰詩体中"惆悵"根据不同的情況可以多角度的表達作者的情緒,并且可以更有效果性的表達自己的感情和情緒.

      • KCI등재

        대학 인성교육에서의 봉사를 통한 인성의 변화 결과 분석 - 배재대학교 <인성과 예(禮)티켓> 수업을 중심으로 -

        김하윤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personality changes as a liberal arts subject in college can be made through voluntary service. Although a personality education is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t universities, the core of education as a talented person is to introduce the change of personality through a stimulation. And the stimulation can realize that the personality of the person should imply the actual change or the possibility of change by practicing voluntarily service. The purpose of Pai Chai University’s <Personality and Ye-Ticket> course is to give a variety of services, including basic service, with the banner of “manners are customs, humanity is action, service is love”. Through such a service, I was able to be confirmed how their attitude changed from the small change of the words and actions through the questionnaire of ‘My Personality Practice Index’. The students were able to directly confirm the changes in their attitudes and attitudes toward students during the semester. It is true that the extent of personality education is broadly defined and the approach as a theoretical part is also important. However, it is more realistic for the university students as adults to provide them with opportunities to realize themselves through their self-service rather than the theory-oriented teaching methods. In the future, it would be a challenge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divide the nature of service, develop a type of voluntary service that can be embodied and learned, and positively influence student tastes.

      • KCI등재

        페루 도시빈곤지역 청소년의 문제음주행동에 대한 학교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김하윤,남은우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18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Vol.19 No.2

        Effect of a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 on Problem Drinking Behaviors among Adolescents in an Impoverished Urban Area of Peru Ha Yun Kim *,** · Eun Woo Nam *,** * Yonsei Global Health Center, Yonsei University, Wonju, Republic of Korea **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College of Health Sciences, Yonsei University, Wonju, Korea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 and problem drinking behavior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st-5th grade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in Lima and Callao, Peru. We conducted pre- and post-surveys in 2014 and 2017, respectively, to assess the effect of a school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 The school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from 2015 to 2017 in four schools, and two schools were taken as control groups in collaboration with the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Randomized stratified sampling was performed to analyze 971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585 in the control group. The homogeneity test was conducted before the intervention. A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 to 5 grade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in Lima and Callao, Peru. We conducted a pre-intervention survey in 2014 and post-intervention survey in 2017 to assess the effect of a school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 The school health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from 2015 to 2017 in 4 schools, and two schools were taken as control groups in collaboration with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A randomized stratified sampling was performed to analyze 971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585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The homogeneity test was conducted before the intervention.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First, 35.7% of the students had experienced drinking more than once in their lifetime and 59.2% had experienced drinking in the last year. Among the 556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drinking, 21.9% had CRAFFT scores of 2 or more for problem drinking.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general and problem drinking based on “gender,” “academic performance,” “part-time job,” “depression,” “smoking,” “drugs,” “sexual experience,” “school truancy,” and “violence or harassment from school friends.” Third, the proportion of problem drinkers was 15.2%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2.1% in the control group; problem drink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group. Finally, the risk of problem drinking in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about 2.8 times as compared with the group receiving the intervention through the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 Conclusion: The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dolescent drinking behaviors. Schools should strengthen health promotion and education to stimulate comprehensive activities to prevent drinking, smoking, and other substance abuse among adolescents.

      • KCI등재후보

        인성교육으로서의 실천적 봉사활동을 위한 방향성 고찰 : 교육청 인성관련 정책 소개를 겸하여

        김하윤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대학교양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인성교육에 대한 현황과 시교육청의 인성교육 정책 방향에 따른 배재의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오래전부터 인성교육은 대상에 따른 교육 방식의 변화를 꾀했고, 인성교육의 방향도 체험과 실천 위주의 교육을 표방해 왔다. 다수의 대학들이 이러한 교육목표 아래 인성교육으로서의 봉사활동을 실천하고 있는 현실이다. 배 재대학교도 매 학기마다 다양한 기관과 협력하여 봉사가 진행되고 있다. 봉사인증은 중간 에 1차 정기 점검이 있고 종강 전까지 3회의 봉사활동을 수행한 다음, 클리엔토북을 작성 하여 인증을 받으면 된다. 우리 학교가 나아가야 할 봉사활동의 방향은 첫째, 학생과 교직원 모두가 다함께 참여할 수 있는 봉사단의 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기업과 연계한 봉사활동을 추진해야 한다. 셋째, 지역 사회 기관이나 단체와의 협약을 통해서 주변 대학과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넷째,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기관이나 단체와 협약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다섯째, 나섬인 성교육센터가 주관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처럼 인성교육은 대학생들 스스로가 자극 받고 실천해서 체화(體化)시키는 습(習)과 행(行)의 방법으로 접근해야 한다 는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ent and status of various humanities education currently conducted by major universities, and examines only the volunteer activities that are related to universities in various policies implemented by the Daejeon City Office of Education. The volunteer activities of Pai-Chai are conducted in cooperation with various organizations every semester. The second week of the month is an environmental beautification service at the orphanage facility. The fourth week, in partnership with the Western Volunteer Center, carries out the service of dispensing rice to elderly people in western areas. In order to find direction for volunteer activities that Pai-Chai is changing,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volunteer corps where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can participate together. Second, we should promote volunteer activities in cooperation with companies. Third, an agreement with an organization or organization is required. Since the surrounding universities competing with our school are also trying to find ways to co-create mutually with each other through agreements with local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we should also establish various types of service that have cooperated with local communities.

      • KCI등재

        외식산업 초기신뢰에 관한 연구 - 경인지역 소비자를 중심으로 -

        김하윤 한국외식경영학회 2015 외식경영연구 Vol.18 No.3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외식업체에서의 초기신뢰의 이론의 적용이다. 초기신뢰는 거래 당사자가 관계의 초기에 상대방에게 느끼는 신뢰의 수준이다. 초기신뢰는 경쟁이 치열한 레스토랑에서 매우 중요하게 적용될 수 있는 이론이다. 초기신뢰의 구성요소는 인지적, 개인적, 계산적, 제도적 요인으로 구성된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음식점에 처음 방문 고객들을 대상으로 총 400명의 고객에게 30일 동안 설문하였다. 그 결과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총 381개의 설문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였고,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단일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인지적, 개인적, 계산적 요인은 초기신뢰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두 번째, 초기신뢰는 만족에, 초기신뢰는 재방문 의도에, 초기신뢰는 구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 proposed initial-trust theory in the restaurant industry. The initial trust implies that when the parties enter into a trusting relationship, they have an initial level of trust in the other parties. Initial-trust was important of gain competitive advantage to many restaurant. Initial trust consist of cognition, personality, calculative, institutional-based trust in many situation. For this investigation, a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consumer, who contacts restaurants initial. Selecting consumer total 40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for 30 days from January 1st to January 30th, 2015. Excluding the ones with missing values or too much weighted tendency, total 381 copies. With 381 copie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f the SPSS 18.0 packag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gnition, personality, calculative-based factor are positive influence on trust. Second, trus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word of mou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