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맥아제조시(麥芽製趙時) 적색광조사(赤色光照射)에 의한 $\alpha$-Amylase 활성변화(活性變化)

        김진구,김순동,김광수,Kim, Jin-Ku,Kim, Soon-Dong,Kim, Kwang-Soo 한국식품과학회 198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7 No.4

        육조대맥(六條大麥)을 이용한 맥아(麥芽)제조시 $\alpha$-amylase활성에 미치는 적색광(赤色光)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적색광(赤色光)filter는 Rohm & Haas Plexiglas # 2423을 사용하였으며 광도별(光度別), 조사시간별(照射時間別) 및 발아일수별(發芽日數別)로 $\alpha$-amylase활성변화를 측정하였다. $\alpha$-amylase의 활성에 미치는 적색광(赤色光)처리조건은 광도(光度) 100Lux, 조사시간(照射時間) 1일 1회 3시간이 효과적이었다. $\alpha$-amylase의 활성은 맥아(麥芽) 3일에서 급격한 증가현상을 나타내었으며, 맥아(麥芽) 5일에서 가장 높았다 적색광(赤色光)처리시의 발아일수(發芽日數)에 따른 $\alpha$-amylase의 활성변화는 암소(暗所)와 비슷한 증가현상을 나타냈으나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맥아(麥芽) 5일에서 약44%가 높았다. 그러나 단백질(蛋白質)함량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다. The effects of red light on the $\alpha$-amylase activity of barley during germination was studied. The $\alpha$-amylase activity was highest at 5th day on germination, showing rapid increase from the 3rd-day of germination. The highest activity of $\alpha$-amylase was shown among the groups treated by red light at 100 Lux luminous intensity for 3 hours a day. The $\alpha$-amylase activity of barley during germination under the red light increased to 44% compared with that of barley during germination under the dark. The protein content was not increased by red light.

      • 맥아제조시(麥芽製造時) 적색광(赤色光) 희사(熙射)에 의한 배유조직(胚乳組織)의 변화(變化)

        김진구,신승렬,김주남,김순동,김광수,Kim, Jin-Gu,Shin, Seung-Lyeul,Kim, Ju-Nam,Kim, Soon-Dong,Kim, Kwang-Soo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87 한국농화학회지 Vol.30 No.1

        보리의 발아중 호분층 및 배유조직에 미치는 적 색광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적색광 조사에 의한 배유조직의 친분입자의 용해현상이 발아 3일까지는 암소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4일부터는 현저히 촉진되었다. 맥아내 전분의 blue value는 암소에서 발아 1일에 0.42, 6일에 0.13으로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적색광 처리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보였으나 암소보다 그 값이 낮았다. 호분층 세포벽의 팽윤 및 붕괴현상은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촉진되었는데 암소에 비하여 적색광 조사에서 현저하였으며 특히 적색광 조사시의 발아일에서 세포벽의 붕괴현상이 심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ed light on embryo tissue of barley during germination. The solubility of starch in endosperm of germinated barley was different between dark and red treatments at the 3rd day of germination, but was increased by the red light from the 4th day of germination. Blue value of the starch in the germinated barley decreased rapidly from 0.42 at the 1st day to 0.13 at the 6th day in the dark, and same tendency was found in the red light, but blue value was lower in the red light than in the dark. Aleurone cell wall was swollen much faster in the red light than in the dark during germination. The cell wall was broken down more greatly in the red light than in the dark at the 5th day of germination.

      • KCI등재

        Diversity and Conservation of Korean Marine Fishes

        김진구,Kim, Jin-Koo The Ichthyological Society of Korea 2009 韓國魚類學會誌 Vol.21 No.1

        한반도 주변 3개 해역은 서로 다른 지형과 다양한 해류의 교차로 종다양성의 근간이 된다. 또한, 복잡한 해류가 만나는 전선 주변으로는 좋은 어장이 형성된다. 그러나, 남획에 의한 자원의 감소 및 EEZ 발효에 의한 어장의 축소는 새로운 수산자원 관리법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수산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우선 다양한 해양환경에 적응한 지역개체군의 실체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역개체군의 형태 및 유전에 관한 연구는 자원의 관리단위 및 구역을 명확히 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최종적으로 해역별 수산자원의 관리방안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Environmental differences of each sea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terms of factors including topography and complexity of sea current may influence species and genetic diversity of marine fishes. Fish are naturally abundant in the frontal area where various currents or water masses meet. However, this food resource is prone to human overexploitation, threatening the marine ecosystem. New fisheries resources management strategies are needed. Such strategies require information about population structure obtained through morphological and genetic methods.

      • 후방 십자 인대 단독 손상 환자의 기능적 분석

        김진구,Kim Jin Go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3 No.1

        목적: 후방 십자 인대 손상 환자의 포괄적 기능적 검사를 시행한 후 동일 조건의 정상인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생체 내의 보상기전을 알아보고 향후 치료에 유용한 지침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대상 및 방법: 10명의 후방 십자 인대 손상 환자와 10명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운동 범위, 후방 전위 검사, KT-1000을 이용한 후방 전위 검사, 텔로스 스트레스 및 30도 굴곡 전 체중 부하 방사선 검사, 보행 분석, 근전도 검사, 등 운동성 근력 검사 등을 시행하였다. 결과: 이학적, KT-1000, 텔로스 후방 전위 검사에서는 양군 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나 30도 굴곡 전 체중 부하 방사선검사, 굴곡 및 신전건의 근력 검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보행 시 후방십자인대 결손 군은 초기 착지 시 슬관절 굴곡을 더 적게 하고 입각기 시 슬관절 최대 외반 관성력은 감소하였다(p=0.027). 수직 착지 시 초기 접촉이 일어나는 순간 더 큰 족저 굴곡을 보이므로(p=0.014) 슬관절의 하중 부담을 감소시켰고(p=0.020) 근전도 검사 및 근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후방 십자 인대 손상 후 환자들은 슬관절의 불안정 요소를 줄이고 충격을 최대로 흡수하는 보상 작용을 수행하여 훌륭한 임상적, 기능적 결과를 나타내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o evaluate the compensatory mechanism in vivo and develop the treatment guide by performing the comprehensive functional tests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deficient subjects. Material and Methods: 10 PCL deficient subjects and 10 healthy control group were evaluated. Performed functional tests were range of motion, posterior drawer test, Telos, 30$^{\circ}$ flexion wt-bearing view, KT-1000 arthrometer, gait analysis, EMG test and isokinetic tests. Results: Physical, KT-1000, Telos posterior tes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ut 300 full weight bearing lateral view, muscle strength test revealed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Less knee flexion at initial contact and reduced maximum valgus moment were observed in PCL deficient group. In vertical drop landing, PCL group had increased plantar flexion angle at initial contact. Conclusion: Compensatory mechanisms such as reduced unstable components and absorbing the maximal load of the joint were occurred after PCL insufficiency, which result in good clinical and functional outcomes. Further investigations would be needed to understand the functional adaptations of PCL deficient subject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실조명과 학생시력 변화의 관계분석 및 교실조명개선에 관한 연구

        김진구,김훈,Kim, Jin-Goo,Kim, Hoon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5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19 No.1

        According to the recent investigation, the 4th grade students' eyesight weakness was occurred on a large scale in primary school. To improve the classroom illumination environment which affects students' eyesight weakness of the 4th grade student, an analysis of illumination environment and an eyesight acuity for the whole 4th year students was held. In four out of the whole classrooms, each improvement work in illumination has done using different types of luminaires. Re-test of eyesight was held for students who studied under the improved illumination environment for 10 months and students under the environment not improve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which was obtained from re-test and measurements was carried out. Consequently, influence on the eyesight variation by classroom illumination was analysed and the improvement of classroom illumination was researched. 최근 조사에 의하면 초등학교 4학년 시기에 학생들의 시력저하가 심하게 발생된다고 한다. 따라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시력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교실 조명환경을 분석하기 위하여 4학년 8개 교실에 대하여 실태조사 및 측정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시력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최소화 되도록 4개의 교실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배광특성의 등기구를 설치하여 조명환경 개선공사를 실시하였다. 조명환경 개선 전 3월과 개선 후 12월에 각각 4학년 전체 학생에 대하여 시력검진을 실시하여 10개월간 개선된 조명환경에서 생활한 학생들과 개선되지 않은 환경에서 생활한 학생들 간의 시력변화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교실 조명환경이 학생들의 시력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간접형 등기구나 루버형 등기구를 사용하여 교실조명 환경을 개선한 교실에서 생활한 학생들의 시력저하 현상이 감소되는 결과를 얻었다.

      • Dose calibrator 측정 깊이와 용량의 변화에 따른 선량 값의 성향에 대한 고찰

        김진구,함준철,오신현,강천구,김재삼,Kim, Jin Gu,Ham, Jun Cheol,Oh, Shin Hyun,Kang, Chun Koo,Kim, Jae Sam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20 핵의학 기술 Vol.24 No.1

        핵의학이란 방사성동위원소 추적자를 인체에 투여하여 관심장기에 대한 형태학적인 정보와 생물학적이고 기능적인 정보를 얻고 평가한다. Dose calibrator는 의료기관에서 단일 핵종의 방사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이며, 방사성동위원소의 정확한 용량의 투여는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요인이다. 최근 정량분석을 위한 여러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고 ERPF (Effective Renal Plasma Flow), GFR (Glomerular Filtration Rate) 등 정량분석이 필요한 검사에 있어서 정확한 투여 용량 및 재현성 있는 측정이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Dose calibrator의 측정 깊이와 용량에 따른 선량 값의 성향을 알아보고 적절한 측정 깊이 및 용량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한다. 실험에 사용한 Dose calibrator는 CRC-15R과 CRC-15βeta (Capintec, New Jersey, USA)를 사용하였다. 선원으로는 표준선원(Standard source) <sup>137</sup>Cs, <sup>133</sup>Ba, <sup>57</sup>Co를 사용하였고, 방사성 의약품은 <sup>99m</sup>Tc-pertechnetate를 사용하였다. 표준선원은 측정 깊이만 변화하여 0 cm부터 15 cm까지 1 cm 깊이마다 15회씩 측정했고, <sup>99m</sup>Tc-pertechnetate의 경우에는 1 mL 주사기로 표준선원과 동일한 깊이로 실험을 진행했고, 용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0.1 mL, 0.3 mL, 0.5 mL, 0.7 mL, 0.9 mL로 각 깊이마다 15회씩 측정했다. 표준선원인 <sup>137</sup>Cs, <sup>133</sup>Ba, <sup>57</sup>Co의 깊이의 변화에서는 모두 깊이에 따른 선량 값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sup>99m</sup>Tc-pertechnetate도 깊이에 따른 용량의 변화에서 선량 값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CRC-15R의 표준선원 비교 그래프에서 <sup>137</sup>Cs, <sup>133</sup>Ba, <sup>57</sup>Co는 Plateau를 그리기 시작한 2 cm에서 9 cm까지는 각 선원마다 비교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CRC-15βeta의 표준선원 비교 그래프에서는 Plateau를 그리기 시작한 영역은 3 cm에서 9 c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sup>99m</sup>Tc-pertechnetate의 그래프는 0.1 mL에서 1 cm에서 7 cm, 0.3 mL와 0.5 mL에서는 0 cm에서 7 cm, 0.7 mL에서는 0 cm에서 6 cm, 0.9 mL에서는 0 cm에서 5 cm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본 연구를 통해 방사성동위원소를 환자에게 주입하거나 정도관리를 진행 시 편차가 적고 재현성을 위해 신뢰할 수 있는 구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높이에 따른 변화가 가장 적은 Plateau의 구간이 0.3 mL 혹은 0.5 mL의 용량으로 0 cm 에서 7 cm의 깊이에서 측정한다면, 편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표준선원의 경우에는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장비마다 Plateau의 변화가 가장 적은 구간의 깊이에서 재현성 있게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적절한 구간을 찾아서 재현성 있는 검사를 시행하면 검사의 품질향상 및 피폭선량저감 그리고 진단능을 높이는데 이바지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It is intended to figure out the errors derived from changes in depth and volume when measuring the Standard source and <sup>99m</sup>Tc-pertechnetate by using a Dose calibrator. Then recommend appropriate measurement depth and volume. Materials and Methods As a Dose calibrator, CRC-15βeta and CRC-15R (Capintec, New Jersey, USA) was used, and the measurement sources were <sup>57</sup>Co, <sup>133</sup>Ba, <sup>137</sup>Cs and <sup>99m</sup>Tc-pertechnetate was also adopted due to its high frequency of use. The Standard source was respectively measured the changes according to its depth without changing the volume, in a range of 0 cm to 15 cm from the bottom of the ion chamber. <sup>99m</sup>Tc-pertechnetate was measured at each depth by changing the volume with 0.1 mL, 0.3 mL, 0.5 mL, 0.7 mL and 0.9 mL Respectively. And the depth range was from 0 cm to 15 cm at the bottom of the ion chamber. Results In the case of Standard source <sup>57</sup>Co, <sup>133</sup>Ba, <sup>137</sup>Cs and <sup>99m</sup>Tc-pertechnetat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depth(p<0.05). <sup>99m</sup>Tc-pertechnetate has a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depth, and the error of the measured value was negligible at a depth from 0 cm to 7 cm at 0.3 mL and 0.5 mL, and the range of error increased as the volume increased. Conclusion In clinical practice, it is sometimes installed differently than the Standard depth recommended by the equipment company. If it's measured at the recommended depth and volume, it could be thought that unnecessary exposure of the operator and the patient will be reduced, and more accurate radiation exams will be possible in quantitative analysis.

      • KCI우수등재

        건물의 연쇄붕괴 위험부재 선정

        김진구,박종열,한샘,Kim, Jin-Koo,Park, Jong-Yeol,Han, Saem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7 No.2

        This study presented a critical member selection procedure for building structures subjected to progressive collapse based on column removal scenario. A MATLAB-based program was developed to automatically remove all columns one by one, evaluate the member forces, and to detect a critical member which causes progressive collapse once it is removed. To verify the accuracy of this program and the validity of the linear elastic analysis procedure in finding out critical members, the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nonlinear static and dynamic analysis method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ritical members selected by the developed program generally included those determined by nonlinear dynamic procedure. This is encouraging considering that the main purpose of the developed program is to find out probable candidates for more accurate but time consuming nonlinear dynamic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